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윤현숙(Hyunsook Yoon),유희정(Hijung Yoo)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과정 시각에 입각하여 성공적 노화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노인이 전 생애를 걸쳐 경험한 중요한 생애사건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데 있다. 특히 성공노인과 실패노인, 대조적인 두 집단의 비교를 통해서 생애사건과 그것의 주관적 의미가 성공적 노화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 1405명 가운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선발된 성공노화노인 44명과 실패노화노인 36명을 면접한 자료를 활용하여,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우선 이들이 경험한 중요 생애사건은 교육, 직업, 경제, 건강, 가족, 국가관련 6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면접내용을 지속적 비교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생애 사건의 영향의 범위', '생애사건에 대한 개인의 대처방식' 이라는 2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분석결과 두 집단 간에는 중요 생애사건의 경험과 이것이 인생에 미친 영향에 대한 주관적 인식 두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가족과 관련된 부정적인 생애사건의 경험과 그 영향이 성공적 노화냐 실패냐에 결정적으로 중요하였다. 또한 성공적 노화는 생애사건에 대한 대처방식과도 관련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와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기 위한 개입방법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in connection with the critical life events that the seniors have experienced throughout the life course.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ritical life event and its subjective meaning are interrelated by comparing two contrasting groups; the successfully aged and unsuccessfully aged. 4 Successfully aged seniors and 36 unsuccessfully aged seniors who have been selected from 1406 elders according to the rigorous criteria are interviewed. Then the data a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critical life events are classified into 6 areas: education, occupation, economy, health, family, and state. Also two themes, such as the scope of life events' impacts and individual styles to cope with life events, are found through the method of continuous comparis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ect of experience of critical life events and their influences on their lives. Especially, the negative life events in family-related areas and their influences are very important in respect of whether the individuals are successfully aged or not. Moreover, successful aging is related to individual styles to cope with the critical life event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the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the successful aging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자 언어 수준에 따른 외국어 작문에서의 어휘다발 사용에 관한 연구

        윤현숙 ( Yoon Hyunsoo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1

        최근 들어 외국어 습득과 사용에 있어서 어휘뭉치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대되고 있다. 흔히 코퍼스 방법론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어휘다발은 자주 같이 쓰이는 어휘 연속체를 일컫는다. 본 연구는 여전히 이론이 존재하는 주제인 학습자 언어 수준에 따른 어휘다발의 사용 빈도수와 구조적, 기능적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45만 단어 정도의 예비대학생 영어 논술로 이루어진 학습자 코퍼스를 수준에 따라 세 등급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언어 수준과 어휘다발의 사용 빈도수에는 정비례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어휘다발의 구조적 사용에서는 언어 수준이 높을수록 동사구의 사용은 감소하는 반면, 명사구와 전치사구의 사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다발의 각 기능적 사용의 비율 측면에서 보면 지시적 기능에 관해서는 수준별 괄목할만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 수준이 높을수록 저자태도 어휘다발의 사용은 감소하는 반면, 담화조직 어휘다발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제언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된다. The importance of multiword units has been widely recognized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use. Lexical bundles, which are usually studied by a corpus-driven approach, refer to recurrent sequences of multi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2 proficiency and the use of lexical bundles in L2 writing. A learner corpus of argumentative essays at three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and structural and functional uses of lexical bundles by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s and tokens of lexical bundles increased with writing proficiency. In terms of structural types, higher level writers used more noun and preposition phrases while lower level writers used more verb phrases. Regarding functional types, the results revealed a decrease in the use of stance bundles and an increase in the use of discourse organizing bundles with higher level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보화 교육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윤현숙(Hyunsook Yoon),이은경(Othelia Lee),범경아(Kyoungah Beum),김영자(Yeongja G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이 노인이 온라인상에서 형성하는 사회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과 종합복지관에서 정보화 교육(컴퓨터반, 인터넷반, 스마트폰반)을 받는 60세 이상 노인 114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정보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노인 3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사회관계의 측정을 위해서는 사회자본척도(결속형과 가교형)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연대능력영역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온라인 가교형 사회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 노인 대상 정보화 교육은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결속형, 가교형)를 확장시켰으며, 노인의 사회관계 형성과 확장 및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정보화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T education on on-line social relationship of older adults. The study group composed of 114 older adults who received IT education (computer class, internet class, and smart-phone class) at two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IT education of the study group,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any IT education was recruited (N = 30). Social Capital Scale was used to measure on-line social relationship. The on-line social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social bonding type and social bridging typ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y group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on three subscales (emotional support, access to scare or limited resources, and out-group antagonism) of social bonding type except one subscale (ability to mobilize solidarity). With regard to social bridging type of social relationship, the study group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t did the control group on all four subscales (outward looking, contact with a broad rage of people, a view of oneself as part of a broader group, and diffuse reciprocity with a broader communit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T education for older adults to expand and increase social bonding and social bridging of social relationship.

      • KCI등재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윤현숙(Hyunsook Yoon),이은경(Othelia Lee),범경아(Kyoungah Beum),김영자(Yeongja G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 복지관 2곳의 정보화교육프로그램(컴퓨터 기초반, 스마트폰반, 인터넷반)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였다. Williams(2006)의 사회자본척도(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를 사용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를 측정하였으며,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 건강관련 변수, 스트레스 변수를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도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 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IT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 결속형 사회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소에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in facilitating older adults’ learning and adap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well as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At two senior community centers in South Korea, 144 adults aged 60 and older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12 week-long technology classes to learn computers, smart phone, and internet skills. At the baseli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ir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online social relationships.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bonding vs. bridging) was assessed (Williams, 2006). Four-step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Findings suggested that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being widowed, being unemployed, and perceiving poor health status. Adding social capital variables in the final step, older adults who perceived less stressors, greater level of subjective health and high online bonding capitals had less depressive symptoms. Only online social bonding was significant in alleviating depression. This final model explained 48% of the variance. Computer/Internet training for older adults need to consider the significant role bonding social capital can play. The findings of this pilot study provided a preliminary base of knowledge about acceptable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윤현숙(Hyunsook Yoon),원성원(Sungwon Won)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연구는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노인 1,409명을 대상으로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수준, 생활만족도와 우울, 영성과 종교활동은 성별에 따라 일관되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성별에 따른 영향도 포함하였다. 건강상태는 만성질환의 수로 측정하였고, 생활만족도는 PGCMS를, 우울은 CES-D를 적용하였다. 영성은 IE종교성 척도를 활용하였고, 종교활동은 종교모임에 참여하는 빈도로 측정하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노인의 영성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우울에는 영향을 미치며,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의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on this relationship among Korean older persons.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 we hypothesize that health status will have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but that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will moderate this effect in addition to having 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light of the different gender effects on all five variables (health status, spirituality, religious involvemen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 als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 on these variables. The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Hallym Aging Study conducted by the Hallym University Institute of Aging from February to March in 2005. Through stratified multi-stage random sampling, 1409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lived in Seoul and Chuncheon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health status, gender,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could predic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whether the direct relationships were moderated by interactions among these variables. We took three ordered regression steps to examine the hypothesis; the first step contained the covariates of age, education, living with spouse, monthly expense, living with adult children, and household income. We also entered gender into this step, so it would be adjusted for in relation to the other covariates. The second step then looked for any direct effects that gender, health status,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might have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bove and beyond the effects of the covariates. The third step contained interaction terms to look for further variance accounted for by indirect, moderating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health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religious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were found overall to be a moderator, reducing the negative effect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direct effect of religious involv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 involvement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re consistent with the view that spirituality and religion are resources and benefit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 KCI등재

        노인의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윤현숙(Hyunsook Yoon),임연옥(Yeonok Lim),고윤순(Yunsoon Koh),범경아(Kyoungah Beum)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3

        본 연구는 노년기 죽음불안과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 간의 관계를 이론 모형으로 제시하고, 검증된 이론 모형을 바탕으로 노년기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으로 설정하고, 이를 한림고령자패널 3차 자료 중 춘천노인 54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노인의 죽음불안, 우울과 영성이 남성 노인에 비해 더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지지를 덜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영성이 우울과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삭제한 경쟁모형이 연구모형에 비해 실제 자료에 더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성과 죽음불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이중매개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죽음불안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모형을 제시하고, 이론 모형을 바탕으로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죽음준비와 함께 영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영성계발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효과적일 수 있다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mediated effects of spirituality, social support, depression to death anxiety among older adults. The sample was 540 elderly living in Chuncheon, which were came from the 3rd wave data of Hallym Aging Study. Based on the literary reviews, the theoretical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are proposed. The results show that women had more death anxiet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en. The alternative model was accepted. For the accepted model, spirituality had indirect effect to increase death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Spirituality had dual mediated effect to death anxie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We suggest the integrated model with relationship of four variable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to decrease death anxiety among older adults by promoting spiritualty through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L2 Student

        윤현숙(Hyunsook Yo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5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2 No.3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has gained wide recogni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is argued that collocation-based learning can facilitate fluency, naturalness, and effectiveness in L2 use. While collocation is by no means a recent topic in L2 pedagogy, the growing interest in corpus linguistics has brought to the fore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However, although collocation is at the heart of the corpus approach, corpus use and collocation are often addressed separately in L2 research, and the link between the two is missing.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lin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rpus use on students' collocation learning and shed some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L2 teaching. Data were collected in an ESL writing course during an academic quarter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corpus use helped to enhance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 in L2 writing and promoted their L2 learning. This paper concludes that collocation is an integral part of L2 proficiency, and thus, du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collocational field in L2 pedagogy.

      • KCI등재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윤현숙(Hyunsook Yoon),이미진(Mi Jin Lee)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2

        본 연구는 2003년도 「고령화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61세 이상 노인 1,625명을 대상으로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의 심리적 안녕은 Lawton의 PGCMS(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의 17개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은퇴자는 비은퇴자에 비해 여성이 많고 연령이 높으며,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상태, 건강상태, 가족 및 사회관계, 사회활동에서 보다 열악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상태를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은퇴자가 비은퇴자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낮게 나타났으나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에는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은퇴여부는 심리적 안녕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은퇴자와 비은퇴자 집단을 각각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르게 나타나, 은퇴자의 경우 사회활동과 취미생활에 대한 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난 반면 비은퇴자의 경우 학습욕구가 충족될수록 심리적으로 더 안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은퇴 여부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은퇴자와 비은퇴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집단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tire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and identifies whether associative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between retired and non-retired persons. Psychological well-being is measured by the PGCMS developed by Lawton. The sample includes 1,625 older adults aged 60 and over, which derived from the cross-sectional data of the "Aging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A Longitudinal Study" living in Seoul and Chuncheon in 2003. Multivariate OLS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retirement is not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 status, health status, family and social relation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hobbies and learning needs. Also, associative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between retired and non-retired persons. For retired persons, greater social activities and higher satisfaction with hobbies a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higher satisfaction with learning need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non-retired person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cknowled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