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대회 논문 : 순자(荀子)의 "화성기위(化性起僞)"내용과 구조

        윤태양 한국공자학회 2013 공자학 Vol.25 No.-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악하다고 규정하였다. 그가 말한 악(惡)이 비록 행악을 즐긴다는 의미라기보다는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과정의 결과로서 악한 상황, 즉 혼란이 생긴다고 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그는 여전히 맹자와 같은 선한 마음을 본성으로 삼는 것을 극력 반대하고 있다. 그런데 만약 누군가 선한 행위를 한다면 그것은 곧 그에게 선한 동기가 내재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선한 동기가 아니면 적어도 유가식의 선행은 설명하기 곤란하다. 예컨대 ``사생취의(捨生取義)``는 순자가 설정한 인간에게서는 절대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순자가 말한 ``화성기위(化性起僞)``, 즉 ``본성을 변화시켜 작위를 일으킨다``는 주장은 모순을 내포하고 있는 듯하다. 이 논문은 바로 저 모순이, 모순이 아닐 수도 있으며, 적어도 순자에게는 모순으로 느껴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인간 본성에 대한 몰이해, 혹은 철학적 사고의 부족함으로 저 모순을 이겨내지 못한 것이 아니라 그의 철학 체계 내에서 ``본성을 변화시켜 작위를 일으키는 것``이 전혀 모순이 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사람은 본성상으로는 금수와 다를 바 없이 욕망의 추구에만 매달린다. 무분별한 욕망의 추구는 곧 혼란으로 이어지고, 순자가 보기에는 바로 이 점 때문에 사람의 본성은 선한 것일 수 없다. 즉, 사람의 욕망은 반드시 절제되고 제어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욕망이라는 사람의 본성을 제어하기 위해 또 다른 본성을 설정하지 않은 순자에게 선한 행위를 설명하는데 내적 동인(動因)에 기댈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조금만 생각해보면 결국 그의 선한 행위는 선해 보이는 행위이지 궁극적으로는 선한 행위일 수 없으며, 결국에는 자신의 이익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사람의 본성을 악하다고 설정한 이상 그 내용이 어떻든 상관없이 외재적 규제 없이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규제를 통한 선한 행위는 과연 선한 행위라고 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내적 모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모순은 적어도 순자에게는 있을 수 없었다. 그에게 있어 보편준칙으로서의 예(禮)는, 마치 수학적 명제와도 같이, 당위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단 1+1=2 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 다음에는 그것을 3이나 4, 혹은 0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단 예가 보편준칙으로 당위 그 자체임을 알게 되면 따르지 않을 수 없다고 순자는 생각한 것이다. 때문에 선한 행위에는 반드시 선한 동기가 있어야 한다는 맹자식의 사고로부터 벗어나 오직 ``지(知)``에 의존하여 ``욕망``을 동력으로 삼는 단일한 도덕행위의 구조를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화성기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의 도덕준칙으로서의 면이 부각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때의 ``화성기위``에는 모순이 없다. Xun-Zi who lives in ancient China defined that Human Nature is Bad. Even Bad he mentioned does not mean "enjoying bad behaviors" but "making bad results", it looks impossible to explain Good behaviors. But Xun-zi said it can be conducted with so-called "Changing One`s own Nature and Doing Good Behaviors". If someone does something Good, it means he or she has a good motive or power, as Ming-zi thought. If there are no a good motives or powers, Good behaviors never be done. This looks clear. If this looks clear, that idea that Changing One`s own Nature and Doing Good Behaviors makes no sense, at a glance. I wrote this paper to show an idea that may solve this problem of Xun-zi`s thought, Changing One`s own Nature and Doing Good Behaviors. In Xun-zi, Human being`s Nature means desire but nothing. When the desire pursued with no rules, human beings going to do anything even Bad. So that desire has to be controled. The points are what can control it and how it can be controled. The first answer is clearly Li[禮], but how can it be possible that people who have only desire and do for themselves do Good behaviors? Even if he or she does something looks Good, that behavior can not be defined Good because the purpose of that behavior must finally be done for himself or herself. So it looks like a contradiction. But it is not. For Xun-zi, Li is claimed to universal validity like mathematical proposition. Whenever we calculate one plus one, our answer is always two because we already know the principle that one plus one equals two. Exactly the same as this, if someone realized that Li is universal and eventually makes human beings desire satisfied, he or she can not choose another way because it is right to do without doubt. And this is so, there are no contradictions to at least Xun-zi even to us too.

      • KCI등재

        孝昭王代 후기 新羅의 對唐 사절 파견의 의미

        윤태양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2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meaning of envoy dispatched by Silla which reached Tang dynasty in February of 699,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Silla-Tang relations. Referring to the Epitaph of Nandande(南單德墓誌銘), we can estimate that the displaced people from Andong Protectorate(安東都護府), including Nanwu, moved from Liaodung to Pyeongyang near 697. The information might be delivered to King Hyoso(孝昭王)’s regime,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attempted to renovate the domestic atmosphere, using diplomacy between Silla and Tang as a political tool.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over a year, the envoy arrived at Tang dynasty as a result of the new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f Silla. However, Tang dynasty around 699-700 sent Godeokmu(高德武) as a chief controller of Andong commandery(安東都督) and tried to rebuild “Goryeo state(高麗國)” as an “external boundary countries which can be related to Tang China(入番)” led by “Go clan chief(高氏 君長)”. This action could mean public approval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Andong Protectorate who settled lately at Pyeongyang, nearby Silla, as constituents of a polity. Also, during the time when the return of the envoy was delayed, a discord in the domestic government was exposed as a form of treason by Gyeongyeong(慶永). The external policy of Tang dynasty was unfavorable news too at that time, so it is seen that the diplomatic policies of King Hyoso’s regime had to be aborted. This political situation shows that the reconstruction of Silla-Tang relations could not succeed only by the will of Silla itself. Also, that demonstrates why Silla could truly switch its diplomatic policy to a more active one afterward the succession of King Seongdeok(聖德王), despite the similarity of ruling political faction between the regime of later period of King Hyoso’s reign and one of the early period of King Seongdeok’s reign. It could have been established around 703 by the change of Tang dynasty’s eastern policy to recover its territory by onshore “Andongdao(安東道)”, not by “Go clan chief” Godeokmu and the displaced people of Andong Protectorate, as the former researches arg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