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대 청소년의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칠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The popular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various smart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video content viewing, but also the adverse function of over-viewing cannot be igno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seek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on the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in this process. proceeded. For this purpose, the survey subject collected a total of 206 pieces of data from teenagers who watch digital video content too much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addiction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and innova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immersion, it was confirmed that 'disinhibition' and innovativeness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immersion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by mediating immersion showed that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and immersion in innovativeness It has been found to play a role in thi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trol had no moderat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igital video content addiction.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개인화는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시청에 긍정적인 점도 있지만 과다 시청이라는 역기능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용자 특성인 감각추구성향과 혁신성이 디지털 동영상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과다 시청하고 있는 10대 청소년에게서 총 206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만 중독행위에 영향이 있었고, 혁신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용자 특성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몰입이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수용자 특성이 몰입을 매개하여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에서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를 총체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OTT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혁신성이 콘텐츠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인게이지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윤칠상 ( Yoon Chil Sang ),김인재 ( Kim In Jae ),성열홍 ( Sung Youl H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최근 OTT 서비스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이는 OTT 서비스가 다양한 장르와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편리한 디바이스로 적극적인 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다시청으로 콘텐츠에 대한 의존성이 커지고 콘텐츠 시청을 통제하지 못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가 초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TT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혁신성이 콘텐츠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이용자들의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콘텐츠 중독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표본으로 남·여 총 215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OTT 서비스의 이용 동기에서 콘텐츠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간 때우기·습관’, ‘회피’로 확인되었으며, 이용자들의 혁신성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미디어 인 게이지먼트가 콘텐츠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OTT 서비스의 이용 동기가 콘텐츠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매개 역할을 하는 요인은 '시간 때우기·습관'과 '회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이용자들의 혁신성이 콘텐츠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OTT 콘텐츠 중독 예방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며, 후속 연구로 코로나 19 관련 OTT 콘텐츠 중독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기대한다. Recently, OTT services are growing rapidly. This is because the OTT service enables active viewing of various genres and contents at a desired time and place with a convenient device. However, due to excessive viewing, the dependence on the content increases, and the inability to control the viewing of the content causes serious obstacles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OTT service use motivation and innovation on content addiction, and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users' media engage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content addiction in this process. .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data of a total of 215 men and women as a samp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ent addiction in the motive of using OTT service were identified as ‘time-filling/habit’ and ‘avoidance’, and the innovativeness of users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media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ntent addiction, and the factors that play a mediating role of media engagement in the influence of OTT service use motives on content addiction are 'time-killing/habits' and It was confirmed to be 'avoidance'. Likewise, it was confirmed that media engage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of users' innovation on content addic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basic data for OTT content addiction prevention and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and as a follow-up study, we look forward to in-depth research on OTT content addiction related to Corona 19.

      • KCI등재

        10대 청소년의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윤칠상 ( Yoon Chil S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3 No.-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개인화는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시청에 긍정적인 점도 있지만 과다 시청이라는 역기능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용자 특성인 감각추구성향과 혁신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를 다른 연령층에 비해 과다 시청하고 있는 10대 청소 년에게서 총 206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자 특성이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만 중독행위에 영향이 있었고, 혁신성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수용자 특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몰입이 콘텐츠 중독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수용자 특성이 몰입을 매개하여 콘텐츠 중독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감각추구성향의 ‘탈억제’와 혁신성에서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통제력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 중독행위를 총체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opular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various smart devices has a positive effect on digital video content viewing, but also the adverse function of over-viewing cannot be igno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seeking orientation and innovativenes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on the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in this process. proceeded. For this purpose, the survey subject collected a total of 206 pieces of data from teenagers who watch digital video content too much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addiction behavior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addiction behavior of digital video content, and innova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immersion, it was confirmed that 'disinhibition' and innovativeness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immersion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audience characteristics on content addiction behavior by mediating immersion showed that 'disinhibition' of sensation seeking orientation and immersion in innovativeness It has been found to play a role in thi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self-control had no moderating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igital video content addiction.

      • KCI등재

        감각추구성향과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1인 미디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승용,윤칠상,성열홍,Beak, Seung-Yong,Yoon, Chil-Sang,Sung, Youl-Hong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media use based on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is, sensory propensity and media engagement effec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factor and the 'Experience Seeking'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 satisfaction of personal media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Disinhibi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media engagement, and that media engagement ha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media use. Finally,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ensation seeking on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media use through media engagement, the 'Thrill and Adventure Seeking' factor, the 'Experience Seeking' factor, and the 'Disinhibition'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basic material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and marketing strategy for personal media production.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이용 만족도를 개인의 심리특성 즉, 감각추구성향과 미디어 인게이지먼트 매개효과를 토대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감각추구성향 특성이 1인 미디어의 이용 만족도에 '스릴과 모험추구' 요인과 '경험추구'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추구성향 특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는 '탈(脫)억제'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1인 미디어 이용 만족도에는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감각추구성향 특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를 매개로 하여 1인 미디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스릴과 모험추구' 요인과 '경험추구' 요인 그리고 '탈(脫)억제'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1인 미디어 제작 방향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