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빅 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윤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7년 도입 이후 20여 년간 지속되고 있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관한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빅 데이터 분석의 한 종류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교 정규 영어 교과가 도입된 후 20여 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연구의 양적․질적 팽창이 이루어졌고, 이처럼 방대한 양의 자료를 분석하는 데 있어 빅 데이터 연구 방법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997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표된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관한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빈도, 단어 빈도-역문서 빈도, n-그램, 연결 중심성 등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과 영어교육 정책을 근거로 시기를 구분하여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관한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 시기까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다가 현재 그 증가세가 주춤한 상태이다. 논문의 발간 편수는 증가하지 않고 있으나, 논문 한 편당 사용된 단어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논문의 연구 범위의 폭이 넓어지고 다양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전 시기에 걸쳐 학생의 영어 능력 신장, 교과서, 수업에 활용 가능한 활동 개발 및 적용과 그 효과, 동화 등의 주제는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개정과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영어교육 연구의 중요한 연구 주제이자 관심사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셋째, 연구 주제가 교육과정과 정책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예로 제6차 교육과정 적용기인 1시기에는 효율적인 영어 교수법,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가, 이명박 정부 시기였던 3시기에는 몰입교육과 원어민, 2015 총론이 적용되고 있는 6시기에는 학습부진학생, 창의성, 평가 등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가 시기별로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전 시기에 걸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특정 시기에는 듣기 말하기 연구가, 또 다른 시기에는 읽기, 쓰기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시기별로 편중된 연구의 영역을 다양화하고, 다음으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이 올해부터 3,4학년에 적용되는 만큼,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빅 데이터 또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 지닌 장점을 살려 연구자가 원하는 분야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여 영어교육 연구의 발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긴 시간 동안 발간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연구자의 주관적인 판단없이 분석하여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영문으로 작성된 연구를 포함시키고 분석 대상 단어를 확대한다면 초등학교 영어교육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과 동향을 좀 더 자세하게 파악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생성․유통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본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 방법이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현대 사실조각의 풍자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윤지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of the global cultur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is the disruption of ‘monism’ in the modernism which used to advocate absolute truth and universality, that is, ‘difference’ and ‘plurality’ with regards history and human nature. Accordingly, artists of postmodernism paid their attention to artistic participation in reality and to humans as a subject of historic reality and their desire, escaping the theory that raised the matters of desire, power, discourse and subject and that stressed the formality alone. Realistic sculpture is also spreading into a general art, covering diverse manners of expression. The aspect of realistic sculpture, something like deconstruction, was initiated centering on the U.S. and became even more accelerated with the rise of an objet under the influence of pop art appearing in the 1960’s, and is now evolving into varied types. Especially young artists in the 20th century attacked modernistic aesthetics, authority of museums and tradition of art history, and shaped provocative and heated themes related to death, sex and fantasy, while proposing the sample of modern popular styles with a pop and kitsch susceptibility responding to consumption culture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Apparently, they prefer humor and merrymaking, frivolity and shallowness, shock and novelty and attach importance to the fragmentary, temporary and casual, instead of the heroic, serious, heavy and graceful. And they are criticizing and satirizing the contemporary problems through a new angle of vision. The researcher, too, is selecting the contradictory, unreasonable issues appearing in the actual society as a work material and satirizing them via shaping realistic sculpture. This thesis is intended to consider and compare the evolving satirical aspects appearing since the 1960’s as well as the contemporaries’ and the researcher’s works in this field, and investigate on the satirical expression of the modern realistic sculpture which has captured the contradiction and desire in the irrational reality today. Today, the satirical character manifested by the modern man’s irrational desire has already been witnessed in the realistic sculpture, which the researcher perceived as a communicative method assumed by realistic sculpture. From such a point of view,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what relationship satire and realistic sculpture come to have when they meat each other in the region of the fine arts and to inquire into the researcher’s work. To this end, by considering desire, satire and realistic sculpture in separation, the conceptual summary for each was preceded by, and based on it, investigation on actual works of contemporary realistic sculpture. The introduction of this writing comprises the purpose, content, scop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In the main discourse divided into chapter 2 and 3, the former wa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for human desire immanent in satire, which was described with a focus on Jacques Lacan’s theory, and which also investigated on how the concept of desire is related to satire. And research was made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roles and functions of satire in the fine arts, and satirical aspects of art emerged in around the 20th century. As to realistic sculpture seen from a descriptive histor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sculpture were first investigated, and its evolving aspects around 1960’s were briefly looked into. Then,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such a trend in post-modern realistic sculpture were mentioned. Also, three artists were selected as the ones who disclosed satirical character using realistic sculpture?Maurizio Cattelan’s humorous, ironical sculpture, Duane Hanson’s hyper-realistic works that testified reality, and Jake and Dion Chapman’s abnormal, mysterious doll works ? to investigate their satirical methods of expression. In Chapter 3, relations were studied by comparison between the work by artists above and me. That is, research was made in what manner realistic sculpture affected the author and in the shaping of the work, how it was satirized. And then, the content of the author’s chief work and manufacture process was seen into, and the author’s works were focally described in three sections of humorous satire expressing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ironic satire expressing meditation on an imperfect subject, and societal satire formulating the cross section of absurd reality. The final concluding part included the conclusions of study on satirical expressions in modern realistic sculpture and illumination of what effect it will have henceforth. Exploration into potential human nature should be carried on and it needs to be further investigated as a task to bring up problems and seek for working methods in expressing new social phenomena. 20세기 후반부 세계 문화의 흐름 가운데 한 가지 특징은 절대 진리, 보편성을 주장한 모더니즘의 ‘일원성’의 해체이며, 역사와 인간 본질에 대한 ‘차이’와 ‘다원성’이다. 여기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들은 욕망, 권력, 담론, 주체의 문제가 부상되고 형식만을 중시하는 이론에서 벗어나 예술의 현실 참여와 역사적 현실의 주체로서의 인간과 욕망에 주목하였다. 사실조각 역시 다양한 표현방식을 이루며 총체적 예술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해체주의적인 사실조각의 양상은 1960년대에서 나타난 팝아트의 영향아래 오브제의 등장과 함께 더욱 가속화되어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20세기의 젊은 작가들은 모더니즘 미학, 박물관의 권위, 미술사 전통에 공격을 가하고 죽음, 섹스, 환상에 관계되는 도발적이고 뜨거운 주제를 형상화하는 한편, 후기산업사회의 소비문화에 호응하는 팝 · 키치적 감수성으로 현대 대중 양식의 표본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비장하고 심각하고 무겁고 고상한 것 대신 유머와 유희, 가벼움과 천박함, 충격과 기발함을 선호하며, 파편적이며 일시적이고 우연적인 것을 중시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새로운 시각을 통하여 동시대의 문제들을 비판하고 풍자하고 있다. 연구자 역시 현실사회에서 나타나는 모순되고 불합리한 이슈들을 작품의 소재로 선정하여 사실조각의 형상화로 풍자하고 있다. 본 논문은 1960년대 이후 사실조각에 나타난 풍자적 전개양상을 본인의 작품과 동시대의 작품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부조리한 현실의 모순과 욕망을 담아낸 현대 사실조각의 풍자적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오늘날, 이미 현대인의 부조리한 욕망에 의해 발현된 풍자성을 사실조각에서 심심찮게 목격되는데 연구자는 이를 사실조각이 취하는 소통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견지에서, 풍자와 사실조각이 미술이라는 영역에서 만나 어떤 관련성 갖는지 살피고 본인의 작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욕망(Desire), 풍자(Satire), 사실조각(Realistic Sculpture)을 분리하여 고찰함으로써 각각의 개념정리를 선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의 현대 사실조각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는 연구를 하게 된 목적 및 내용, 그리고 범위 및 방법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본론은 2장과 3장으로 나누어 2장에서는 풍자에 내재된 인간욕망의 철학적 고찰로서 라캉 이론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고, 욕망개념이 풍자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풍자의 개념과 특징, 미술에서의 풍자의 역할과 기능, 20세기 전후에 나타난 미술의 풍자적 양상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통사적 관점에서 본 사실조각은 먼저 사실주의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1960년대 전후의 사실조각의 전개 양상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 후 이러한 경향이 후기 현대 사실조각이 변모하고 있는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사실조각을 이용하여 풍자성을 드러내는 작가들로 마우리치오 카텔란 (Maurizio Cattelan)의 유머스러운 아이러니적 조각, 듀안 핸슨 (Duane Hanson)의 현실 증언적 하이퍼 리얼리즘 조각, 채프먼 형제(Jake and Dinos Chapman)의 변태적이고 괴기스런 인형 작품, 이렇게 3명의 작가를 선정하여 그들의 풍자적 표현 방법을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위의 작가들과 본인 작업의 연관성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즉, 사실조각이 연구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고 작품이 형상화 될 때 어떠한 내용으로 풍자되었는지 연구하였다. 그 후, 연구자의 주된 작품 내용과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표현한 해학적 풍자, 불완전한 주체에 대한 성찰을 표현한 아이러니적 풍자, 부조리한 현실의 단면을 조형화한 사회적 풍자, 이렇게 3절로 나누어서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 결론 부분은 현대 사실조각의 풍자적 표현 연구의 결론과 앞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서 조명하였다. 잠재되어 있는 인간의 본질과 탐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새로운 사회적 현상들을 표현해 가는 데에 문제제기와 작업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것은 앞으로 계속해야 할 하나의 과제이고 고찰해 볼 필요성을 가진다.

      • 서울 지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구

        윤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dolescents develop not just simple intellectual function and skills, but their personality being assimilated and well adjusted to the society, through school education. Adjustment to the school is one of adolescents' developmental tasks, they go through socialization process for their adulthood by this task. Howe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cause they can’t have sufficient study skills and sociality skills due to their disability and they undergo not only radic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as adolescents do but many changes in physical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 at middle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firm and analyze the variables synthetically which affect their school adjustment for proper intervention of their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rehending overall school adjustment level and investigating the effect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tudent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class teachers in 197 middle schools in Seoul, finally, 50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ich was composed of the questions asking student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Na, 2009)’.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in Seoul was high, 3.9 on a 5 point scal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each subordinate scope of school adjustment, the scope which showed the highest score was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While the result show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most.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tudent variable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They appeared to adjust to school better when their intellectual limitation and problem behaviors are milder. Also, the students who attended full time or part-time inclusive class show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the students who attended full-time special class.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family variabl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 higher school adjustment when their parents have more attention. On the contrary, home economic status did not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aningfully.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school adjustment appeared higher when special class teacher was female. The higher special class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hool satisfaction appeared. In addition, class teacher's attention appeared to meaningfully influence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the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higher whe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career is shor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scale and special class scale. Fif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relative influence of student variables (degree of intellectual limitation, degree of problem behavior, degree of inclusion), family variables(home economic status, parents' attention), school and teacher variables(special class teacher's job satisfaction, inclusive class teacher's attention), the variable with biggest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degree of problem behavior, next is parents' attention, class teacher's attention and degree of inclusion in order.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well adjust to general middle school, however they felt relatively difficult in academic engagement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also, their problem behavior appeared to be the variable which most import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Also,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higher parents' attention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attention influenced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mplies that parents‘ and class teacher's role is still important during middle school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chool should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 through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and provide support for successful inclusion, also, it is important that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share sense of duty, and support inclusion through a link with family and cooperation. 청소년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단순한 지적기능 발달 및 기술 습득을 넘어 사회적으로 동화되고 적응력을 지닌 인격을 형성하게 된다. 학교에서의 적응은 청소년들의 발달 과업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성인기를 위한 사회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일반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들은 청소년기에 누구나 겪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 뿐 아니라 장애로 인한 학업적 기술과 사회성 기술의 부족 및 중학교의 물리적, 교수적 환경의 많은 변화로 인해 일반학생들에 비해 학교적응에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적절한 개입을 위해서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적응 수준을 파악하여 현재의 학교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97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학급 학생과 그 담당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4부의 질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와 타당성 검증, 예비조사, 문항 수정을 통해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질문지로, 일반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을 묻는 문항과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나수현, 2009)’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일반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중학생들의 학교적응 수준은 5점 척도 기준에 3.92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학교적응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학교적응 점수를 보인 영역은 학교환경 적응이며, 학생들은 친구 및 교사관계와 수업참여에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적응도가 높았으며, 지적제한성과 문제행동 정도가 가벼울수록 학교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전통합 또는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학생이 전일제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에 비해 학교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특수학급 학생들은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경제수준은 학생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담당 특수교사가 여교사일 때 학생의 학교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생의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담임교사의 관심도는 학생의 학교적응 총점, 친구 및 교사관계, 학교환경 적응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교직경력이 짧을 때 학생들의 학교적응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규모 및 특수학급 규모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생변인(지적제한성 정도, 문제행동 정도, 현재 통합교육 정도), 가정변인(가정경제수준, 부모의 관심도), 학교 및 교사변인(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담임교사의 관심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제행동 정도이며, 그 다음으로 부모의 관심도, 담임교사의 관심도, 현재 통합교육 정도 순으로 학생의 학교적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특수학급 학생들은 일반중학교에 대체로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수업참여와 친구관계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학생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부모의 관심과 담임교사의 관심이 많을수록 높은 수준의 학교적응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는 중학교 시기에도 여전히 부모와 담임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특수학급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문제행동 중재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 것이 필수적이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책무성을 공유하고 가정과의 연계와 협조를 통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CNN 기반 다중레이블 전이학습을 활용한 SNS 관광 사진 분석

        윤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광객이 관광 활동 후 실시간으로 SNS에 업로드한 데이터는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된 데이터로 대중의 관광 선호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데이터이다. 잠재적인 관광객들은 다른 사용자들이 SNS에 공유한 콘텐츠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하고 새롭게 방문할 관광지를 선택한다. 따라서 관광객이 SNS에 게시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관광 주체의 입장에서 대표 관광요소, 관광지 이미지 및 현 관광 트렌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SNS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 연구에 있어 RoA 분석, 이동궤적 분석, 관광지 추천, 텍스트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관광 사진을 직접 분석하려는 연구는 이미지 분석 방법론의 한계로 인해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2012년 AlexNet이 출시된 이후,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CNN 기반의 이미지 분류모델이 빠르게 개발되면서 사진 분석 연구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되었다. 이로 인해 국외에서는 CNN 모델을 활용하여 도시 및 관광 사진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CNN을 활용한 관광 사진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CNN 기반 다중레이블 전이학습을 통해 SNS에 업로드된 한국 관광 사진을 분류함으로써 관광지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관광 사진은 관광 장면을 촬영한 사진으로 여러 객체와 배경 등으로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관광 분야에 사용되는 CNN 이미지 분류모델의 경우 사진으로부터 대부분 1개의 레이블만을 추출하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관광 사진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추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효과적인 관광 사진 분석을 위해 CNN 모델이 다중레이블을 출력할 수 있도록 모델을 미세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 사진에서 다중레이블을 추출하는 CNN 모델을 구축 및 전이학습 하였다. 이를 위해 높은 성능의 딥러닝 모델의 일부 레이어를 교체하고 한국 관광 사진 데이터셋에 대해 모델을 전이학습 하였으며,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촬영한 사진에 해당 모델을 적용하여 관광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The data uploaded by tourists to SNS in real time after tourist activities reflect the tourists' thoughts on tourist destinations, allowing us to directly understand tourist preferences of the public. Potential tourists recognize images of tourist destinations shared on social media by other users and select new tourist destinations to visit. Therefore, analyzing the data posted by tourists on SNS can help us quickly grasp representative tourism elements, tourist destination images, and current tourism trends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ts themselves. Although tourism studies using SNS data have employed various methodologies such as RoA analysis, trajectory analysis, tourist destination recommendation, text analysis, due to the limitations of image analysis methodology, there was a lack of studies that attempted to directly analyze tourism photos. However, the release of AlexNet in 2012 greatly expanded the possibilities of photo analysis studi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NN-based image classification models using deep learning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Foreign studies on city and tourism photography now use the CNN model frequently, whereas there are few Korean studies on tourism photography using CN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destinations by classifying Korean tourism photos uploaded to SNS by using the CNN-based multi-label transfer learning. Tourist photographs of tourist scenes are complicatedly composed of several objects and backgrounds. However, since the CNN image classification model currently used in the tourism field mostly extracts only one label from photographs, it is difficult to extract various contents from tourism photographs if the model is applied as it i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tourism photos, a process of fine-tuning the model is necessary so that the CNN model can output multiple labels.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constructed the CNN model that could extract multiple labels from tourist photographs and performed transfer learning; this study replaced some layers of a high-performance deep learning model, conducted transfer learning on the Korean tourism photo dataset, and applied the model to photos taken by foreign tourists in Korea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 임신 중 태아와의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어머니-신생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

        윤지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 개인의 발달과정 중 특히 생의 초기에 경험하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정상적 발달에 요구되는 환경으로서, 영아의 자기형성 및 이후의 다양한 대상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생의 초기에 이루어지는 어머니-영아간 상호작용패턴은 출생이전시기인 임산부-태아 상호작용과 관련되기도 한다. 임산부는 태아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적절히 해석하여 현실화시켜 태아와의 관계를 받아들이게 된다. 임신 중 태아와의 관계에 있어 임산부의 심리적 건강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임신 중 태아와의 상호작용 증진활동을 위한 집중적이고 구체적 개입이 행해지는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를 통해 임산부-태아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발달심리학과 대상관계심리학을 기초로 하여 임산부가 태아를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보고 태아와의 결속력을 지니며 태아와의 건강한 관계 맺기 행동방식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한 임산부-태아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전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임신 26-34주 사이의 임산부로서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6명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에게는 6주 동안 매주 2회 실시한 12회기의 임산부-태아 상호작용 활동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활동에는 비디오 관람, 강의 및 주제별 활동이 포함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전ㆍ후 와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전ㆍ중간ㆍ후의 임산부-태아간 상호작용 변화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Test, Friedman 분석 및 Wilcoxon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비 언어상호작용빈도, 언어상호작용빈도 및 언어상호작용의 질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증가경향과 향상을 보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점수의 증가를 보이긴 하였으나, 실험집단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낮은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는 출산 후의 자연적 효과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실험집단의 경우 비 언어상호작용 빈도에 있어 프로그램 중간-후에, 언어상호작용빈도와 언어상호작용의 질에 있어 프로그램 전-중간-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 및 향상을 보이고 있다. 실험집단의 상호작용평가과제에 따른 사례별 내용분석을 프로그램 전ㆍ중간ㆍ후의 순으로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태아 및 신생아와의 상호작용이 보다 자연스럽고 친밀하게 되며 보다 구체적이고 명료하며 정서적으로도 깊이가 있으며 아기와도 보다 감정이입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매 회기 프로그램 활동을 마친 후 프로그램 내용의 충실도, 이해정도, 가정에서 행해보기의 적합성, 활동 후 느낌, 도움정도 등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한 결과, 제 7회기(태아의 4가지 얼굴표정에 공감적 표현하기)에 대한 반응이 가장 낮게 나타난 반면 제 3, 4, 9, 11회기(시와 음악을 통해 태아에 대해 상상하고 사고하기, 동화ㆍ노래ㆍ놀이감으로 태아에게 직접 말하기, 태내기 앨범 꾸미기, 임산부-태아 상호작용 모델이 되는 역할극)에 대한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임산부-태아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은 임산부-태아 간 비언어 상호작용빈도, 언어상호작용빈도를 증가시키며 언어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태아가 엄마의 감정에 반응하게 되는 임신말기에 효과적으로 실시하는 임산부-태아 상호작용 발달을 위한 집중적인 임산부-태아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임산부-태아 상호작용의 모델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이다. 임산부-태아 간 건강한 관계패턴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 및 문제점 입증을 통한 프로그램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며, 출산직후 모-신생아 상호작용을 계속적으로 촉진해주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출산 전과 후의 모-자 상호작용 및 태아기와 신생아기 발달간의 연계를 이루어주는 것이 요구된다. Pregnant women have a psychological fantasy to the fetus. They perceive the relationship to the fetus through interpretation and realization of the psychological fantasy. Psychological health of pregnant women influence to their relationship to the fe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as early intervention for the promotion of their interaction enhancement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a control group with pre and 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seven pregnant women in experiment group and six pregnant women in control group at the 26-34 weeks of gestation. The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was comprised of the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object relation psychology. The program composed of 12 sessions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experience of bond between pregnant women and their unborn infants. At this stage experience the pregnant women communicating with fetus. The second stage is to have the opportunity for a professional evaluation of the status of their bonding efforts. At this stage accumulate the pregnant women their bonding with fetus. The third stage is to provide a model of a different format for relating to their fetus. Data were collected with prenatal and postnatal Marschak Interaction Method(MIM). Microanalyses of the interaction behaviors were carried out with videotaped record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ann-Whitney U Test, Friedman test, and Wilcoxon T-test. Furthermore were analyzed participants' self-report materials and program evaluation questionnair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s on enhanc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mother-fetus(newborn baby) interaction. It also indicated that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e program are appropriat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the frequency of nonverbal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e nonverb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fetus(newborn baby) increased after the middle of the program. 2. In the frequency of verbal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fetus(newborn baby)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3. In the quality of verbal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e content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fetus(newborn baby) chang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o be an effective mother-fetus interaction program. Thu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 interaction program model for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en and their unborn infants.

      • 역할극을 이용한 성인 학습자의 영어듣기

        윤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 of role-playing on adult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and their affective domain.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conducted an observational case study for five week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five adults who had the different level of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 pre- and post-test of English Listening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were conducted with the performance of each class. To investigate the affective change more closely, students were given questionnaires after the instruction and were interviewed about a change of attitude toward learning English. The experimental group is required to accomplish the task given by role-playing lessons, of which students reconstruct a situation, story and practice. I hypothesiz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s advanced with regard to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as well as affective domain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teacher's observation, six cloze tests, and pre/post evalu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ith role-playing based teaching improved their listening abilities. This implies that the instruction through role-play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more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affective aspects such as interest, self-confidence and participation. This means that the instruction enables the students to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make themselves understood in English physically and mentally. In conclusion, the role-playing lessons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omain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self-confidence, but also improved listening ability. Thus, the researcher recommends that teachers had better motivate the role-playing learning in a school setting and also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are needed i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apply such role-playing lessons,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s. First, to use role-playing techniques in the classroom, teachers should spend more time to prepare such lesson, and their effort and interest about role-playing techniques should be required. And, teachers also consider all students take part in role-playing. Second, more activities about role-playing techniques should be included in the English textbooks so that teachers could use them easily in class.

      •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관한 연구

        윤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0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제20조가 규정하는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관한 법적 정당성을 검토하고, 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행 청소년성보호법은 성범죄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한다는 목적 하에 형이 확정된 일정범위의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공개를 규정하고 있다. 청소년보호위원회는 반기별로 청소년 대상 성범죄로 인한 형확정자와 관련된 자료를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뒤 1차 심사를 통해 공개예정자를 선정하고, 공개예정사실의 통보 및 당사자 의견 접수 절차를 거친 후, 2차 심사를 통해 공개 대상자를 결정한다. 일련의 절차를 거쳐 공개 대상자가 결정되면 청소년보호위원회는 성명, 연령 및 생년월일, 직업, 주소(시·군·구까지만 포함한다), 범죄사실의 요지 등을 관보와 청소년보호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 그리고 정부중앙청사 및 시·도 게시판을 통해 공개한다. 미국은 신상공개제도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메간법'(Megan's Law)을 제정·시행하고 있는데, 성범죄자 등록제도와 지역사회 통지제도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이 법은 성범죄자의 재범위험성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평가된 위험성의 정도에 따른 차등화된 공개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때 일반공개는 고위험군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영국도 1997년에 신상정보의 등록과 공개를 내용으로 하는 '성범죄자법'(Sex Offenders Act)을 제정하였는데, 미국과 달리 동법은 일반공개 규정을 두지 않았고, '사라법'(Sarah's Law)이라 불리는 2000년 개정법에서도 일반적인 통지제도는 도입되지 않았다. 이러한 국가들의 경우 등록제도를 전제로 신상공개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현행 청소년성보호법상의 신상공개제도와는 다르고, 재범위험성의 평가 결과 고위험군에 한해서만 일반공개의 여부가 논의된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신상공개제도에 대하여는 청소년 대상 성범죄 예방을 위한 조치로서 필요하다는 입장과 범죄자에 대한 과도한 인권침해라는 입장 사이의 논란이 있다.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에서는 첫째, 동제도는 당사자의 처벌이 아닌 청소년 성보호에 대한 전국민의 인식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행정처분이므로 형법상의 책임원칙이나 이중처벌금지의 원칙과는 무관하다고 한다. 둘째, 가해자의 인권과 명예도 중요한 가치임이 분명하나 법률을 위반하여 공익적 목적을 심각하게 위배한다면 이들의 명예나 인권은 다소 유보될 수도 있다고 한다. 셋째, 유독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의 신상만을 공개하느냐는 의문에 대하여 긍정적 입장에서는 다른 범죄에 비해 재범률이 높은 성범죄를 억제하고 피해자를 보호하려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것이므로 평등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고 한다. 넷째, 유죄판결이 확정된 자에 대하여 공개대상 심사에 관한 규정에 근거하여 그 공개여부를 심사하고, 공개가 결정되었다 하더라도 인권침해의 여지를 줄이기 위해 또 다시 본인에게 서면의견의 진술기회를 주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절차상의 객관성이 문제될 여지는 없다고 한다. 반면 현행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가 형식적인 의미에서의 형벌은 아니지만 실질적인 측면에서는 명예형에 가까운 형벌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며 비판하는 입장에 의하면 첫째, 신상공개는 행정기관에 의한 행정행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형벌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중처벌금지의 원칙에 반한다고 한다. 둘째, 국가가 개인의 신상정보나 범죄의 내용을 대중에게 공개함으로써 개인의 일반적 인격권을 제한하는 한편 사생활의 비밀에 해당하는 사항이 일방적으로 공개되므로 신상공개는 프라이버시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한다. 셋째, 불법성의 정도 측면에서 볼 때, 신상공개의 대상이 되는 성범죄보다 더 큰 불법성을 가지고 있는 여러 범죄들, 예컨대 미성년자 살해행위, 미성년자 약취유인행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인질강도행위 등은 신상공개를 하지 않으면서 성범죄를 저지른 범죄자의 신상만을 공개하므로 형평의 원칙상 옳지 않다고 한다. 넷째, 청소년성보호법 제20조 제5항은 신상공개의 구체적인 시기, 기간, 절차 등에 관한 일체의 사항을 대통령령에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으므로 포괄위임입법금지의 원칙에 반한다고 파악한다. 신상공개의 법적 성격에 따라 신상공개제도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동제도의 정당성 인정여부가 달라지므로 신상공개제도와 관련된 모든 논의의 전제이자 핵심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신상공개의 법적 성격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청소년성보호법상의 신상공개는 그 방법이 행정법상 공표와 유사하지만 행정법상 의무위반이나 의무불이행이 있는 경우가 아닌 범죄행위로 유죄판결을 받은 경우에 행해진 것이고, 공표로 인하여 의무이행을 확보하는 수단도 아니므로 신상공개는 행정법상의 공표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청소년성보호법상의 신상공개는 해당 범죄자의 정보에 대한 국민의 정보청구권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정보공개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이 제도는 유사 범죄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도입된 것이고, 공개되는 신상과 범죄사실은 이미 공개된 재판에서 확정된 유죄판결 내용의 일부일 뿐 새로운 내용이 아니며, 설령 이러한 공개과정에서 당사자에게 일종의 수치심이나 불명예가 야기된다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신상공개제도가 추구하는 입법목적에 부수된 것이지, 주된 것은 아니라고 볼 것이다. 그러므로 신상공개의 법적 성격을 기존의 유죄판결상의 형벌 외에 부가된 또 다른 형벌로서 '수치형'이나 '명예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다. 신상공개는 판결이 확정된 뒤에 재범위험성을 전제하여 이루어지나, 법관에 의한 사법심사 과정 없이 청소년보호위원회라는 행정기관에 의해 행해지므로 광의의 보안처분적 성격이 있는 행정처분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보안처분도 헌법에 의하여 보장된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제재이므로 일반적인 법 원칙으로서의 비례성의 원칙이 적용되는 범위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입법취지 해설에서의 혼선과는 별개로 청소년성보호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청소년 성보호라는 목적 자체는 우리 사회의 중대한 공익이므로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일반적으로 해당 범죄인의 신상을 대중에게 공개하는 제도는 일반 성인들에게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효과를 줄 것이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수단의 적합성을 갖추었다. 또한 청소년 성보호라는 목적달성을 위해 보다 적합한 다른 입법수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상공개를 선택하였고 이것이 해당 범죄인들의 기본권을 더 제한하고 있다고는 단정할 수 없으므로 피해의 최소성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으며, 유죄가 확정된 형사판결의 일부를 그것도 직접적으로 동일인을 인식할 수 없는 수준의 신상만을 공개하고 있으므로 법익의 균형성 원칙에도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현행 청소년성보호법상의 신상공개제도는 비례성의 원칙에 반하지 않는다. 한편 성매매를 범죄로 인정하여 형벌을 부과하고 성매수범에게 도덕적 비난을 하는 것과는 별개로 미성년자 성매매의 죄질은 예컨대 동일한 신상공개 대상 범죄로 규정되어 있는 강간죄의 경우와는 다르게 파악된다. 신상공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여타의 범죄들과 비교했을 때 미성년자 성매매는 그 법정형이 낮은데, 이는 불법정도를 달리 평가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미성년자 성매수범의 신상을 미성년자 강간범 등과 동일하게 공개하는 것에 대해서는 재고의 필요가 있다. 현행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는 청소년 대상 성범죄의 위법성을 알리고 일반예방효과를 꾀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지만, 구체적인 목적이 불명확하고 심의기준이 비합리적이며 공개수준을 차등화하고 있지 않다는 몇 가지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청소년 보호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목적을 정하여 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고, 성범죄자의 재범위험성 평가를 위한 과학적·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평가된 재범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신상공개여부 및 공개대상이 단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Youth Sex Protection Law' which was enacted from July 1st, 2000 has been made for the protection for youth' sex. Government's Commission on Youth Protection determined to disclose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sexual criminals for youth and notify their identities, namely, name, birth date, occupation, address(city, county and district) and crimes that have committed on the commission's homepage and bulletin boards at two central government complex and 16 provincial and metropolitan city buildings. In case of notification of offender in foreign country, the United State require offender to be registered. A provision related to registry called Megan's Law is classified sex offend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nger and especially the sex offenders in high danger are notified. The United Kingdom also require sex offenders to be registered in order to guarantee public security to citizen by sharing information among the agencies concerned. There are two issues for 'Youth Sex Protection Law', one is that it needs to protect the youth and another is that it infringe on criminals` right. Problems are obscurities of the purpose, flexibility of the standard and discrimination of the degree of notification. To make up the weak point in the exist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the disclosure as receiving merits of the United State's Megans' Law and must open offenders to the public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nge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ontents of the disclosure of the identity of the sexual criminals for youth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Youth Sex Protection Law and present the issue and alternative.

      • 달크로즈 유리드믹스를 활용한 초등학교 리듬지도 연구 방안 : 초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윤지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듬은 음악을 이루는 구성 요소들 중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 등 다른 구성 요소들이 배제된 음악은 만들어질 수 있지만, 리듬이 없는 음악은 음악으로써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에서 공감할 수 있다. 리듬은 음악을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음악의 뼈대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 오르프(Carl Orff)등 많은 음악 교육학자들 역시 음악 학습에 있어 리듬을 가장 기본적인 주요 내용으로 인식하여 음악 학습의 기초로써 리듬 학습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리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리듬 지도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실이다. 초등학교에서 지속적인 리듬 학습에도 불구하고 리듬을 신체표현이나 소리로 올바르게 표현하지 못하거나 악보에 나타나 있는 리듬의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등 리듬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 많다.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은 리듬 교육의 중요성을 공감하면서도 교사의 리듬개념에 대한 인식 부족이나, 시간이나 공간적인 여건 때문에 리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리듬 학습에서 초래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움직임을 통해 리듬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으로 20세기를 대표하는 음악교육자학자인 달크로즈(E. Jaques-Dalcroze)의 유리드믹스(Eurthythmics)를 활용하고자 한다. 동작과 음악을 연결시키는 음악교육을 주장한 달크로즈는 "음악적 감각은 몸의 움직임과 직결되며, 특히 음악의 리듬감은 몸의 리듬감으로 표현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음악적 리듬감을 발달시켜 주기 위해서 신체 움직임을 통해 리듬을 감지하고 리듬을 표현하게 하는 학습은그 무엇보다도 기본적이고 우선적인 것”이라 하였다(권덕원외 2008, 224-225). 우선 여러 관련 문헌 및 연구 논문들을 고찰하고, 2학년 즐거운 생활에서 유리드믹스를 적용시키기 적합한 제재곡들을 선택하여 그에 맞는 지도방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유리드믹스를 통해 지도할 리듬요소는 크게 빠르기(tempo), 셈여림(dynamic), 박과 박자 및 악센트(beat, meter and accent), 음의 길이(durations),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등이다. 제재곡에 맞춰 걷기, 공 굴리기, 공 전달하기, 말 리듬 익히기 등과 같은 다양한 신체 놀이 활동을 통해 학교에서의 리듬 교육이 좀 더 효과적이고 즐겁게 이루어지며 또한 아이들이 창의적이고 자유로운 음악의 신체적 표현을 통해 학습자의 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리듬감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