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적 디자인의 모티브에 관한 연구

        윤우중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디자인연구소 2012 조형논총 Vol.- No.9

        한국의 디자인은 산업사회를 거쳐 현대사회에 이르는 동안 전통문화의 단절 속에서 과거의 다양했던 문화유산을 계승 빌전시키지 못하고 민족정서가 배제된 채 일방적인 서구문화의 수입과 적용에 익숙해져 왔다. 이것은 새로운 가치의 창조보다는 일시적인 모방을 통해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수동적인 습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 부재에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 이미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선진국의 대열에 근접해 있는 우리로서는 민족의 정신적, 문화적 특성과 고유의 조형적 형질을 찾아내고 발전시켜 한국적 디자인으로써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민족 감성을 표현하는 대표적 항목 중 하나인 융통성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접근 범위와 성향을 분류하여 한국적 디자인의 모티브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적 디자인의 가치 창출에 있어 융통성 있는, 즉 새롭고 돌발적인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종합적인 사고능력은 상호간에진정한 소통의 역할로 나타나 현대 산업사회에 우리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창의적인 표현력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To date, Korean designs have been accustomed to one-way imports and applications of western cultures, neither incorporating people's emotions nor inheriting and developing colorful cultural heritages of the past in the midst of separation from traditional culture over the course of industrialization toward a modern society. Such a phenomenon has been the greatest reason of lacking identity in Korean designs let alone passive tendencies of creating outputs by temporary imitation rather than creating a new value. Given that Korea is on the verge of becoming a developed country in political, economical,and social aspect, we should endeavor to acquire design competitiveness in Korean ways by exploring and developing spiritu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ve qualities. To achieve this, a concept dealing with "Adaptability,"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quality of Korean people's emotions, has been defined and proposed as a Korean design motif after its classification into approachable ranges and traits. In tenns of creating a new value in Korean design, a Adaptable that is, a systematic thinking capable of coping with new and unexpected circumstances shall serve a function for trustworthy mutual communication, playing a role as a creative expressivity that hikes country's competitive edge.

      • KCI등재

        한국 전통 문화콘텐츠의 디자인 형상성 연구 - 의식주(衣食住)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

        윤우중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ve properties of traditional Korean housewares as objects of cultural contents.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cultural co ntents contemplated i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house ware goods related to clothing, foods, and housing. The study methods involved processes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contents and designs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ncepts of modern designs. Also in this study, the linguistic properties of the desig n Feature-in-Form, the process of identifying such prope rties and their roles were explained, and the concepts of these design Feature-in-Form were applied to the design cases of traditional houseware goods and modern design s, with a view to perform f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With this study, Culture is the ultimate representation of a life style. the researcher aimed to examine the creati ve potential of Korea’s traditional houseware as cultural contents and confirm that the formative values of the tra dition has a trait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ociet y, as well. Also, the researcher intended to emphasize tha t design concepts are essential conditions that complete the final outcomes of the cultural contents and important factors that develop the creative superiority of Korean tra ditional cultural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properties of Kore a contained formative properties that can be relevant to modern designs, and the identification and endowment of meanings to the design Feature-in-Form increases the in tegrity of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cultural contents, while it was explained that it establishes a Korean desig n identify and functions as an opportunity through which the superiority of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can be re-recognized.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소재로서 한국 전통 생활용품들에 대한 조형적 특성을 찾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통 문화콘텐츠의 범위는 의식주의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콘텐츠와 디자인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를현대 디자인의 개념과 비교하였다. 또한 디자인 형상성의 언어적 특성 및 도출과정과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 이러한 디자인 형상성 개념을 전통 생활용품과 현대 디자인 사례들에 적용하여 문화콘텐츠의 조형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은 문화는 생활방식의 결정체이므로 한국 전통생활용품을 통해 문화콘텐츠로서의 창조적 가능성을 살펴보고 전통의 조형적 가치가 현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형질임을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 개념은 문화콘텐츠의 최종결과물을 완성하는 중요한 조건이며, 한국 전통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우수성을 개발하는 중요한 사항임을 강조하고자하였다. 한국의 전통형질 속에는 현대 디자인에 접목 가능한 조형적 특성들이 잠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디자인 형상성의 도출과 의미부여는 문화콘텐츠의 개발 가능성 및 완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통문화 유산의 우수함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작용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 푸드 스타일링과 디자인 표현요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윤우중(Yoon, Woojo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의 이론적 고찰과 구성조건 및 표현방식을 살펴 디자인 전반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는데 있다. 푸드 스타일링에 적용되고 있는 개념과 표현원리들을 디자인과 비교 설명하고 이를 조형원리와 요소, 시각과 감정적 요소로 구분하여 상호간의 공통점을 찾고자 하였다. 푸드 스타일링의 범위는 시각적 요소 이외에 식기, 도구, 조명, 음악과 같은 소품들이 함께 사용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푸드 스타일링의 표현요소와 방법에서 디자인과 연관된 개념과 컬러의 감성적 상호작용 및 형태의 조형적 결합, 크기의 비례와 공간의 관계, 감정적인 부분 등의 조형적 공통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푸드 스타일링과 디자인은 시각적 요소인 컬러, 형태, 비례, 점?선?면과 디자인 원리 및 유형 그리고 감정적 요소인 희로애락의 감성들이 어우러져 결과물이 생산된다는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은 생활 속에서 아이디어 창출이 가능한 실용학문이며, 특히 디자인 초보자들에게 기초조형에 대한 이해와 생활환경에 녹아 있는 가치를 읽어낼 수 있는 안목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생활소재인 푸드 스타일링을 통해 디자인 이해의 가능성과 적합성을 확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design"s concepts and principles by investigating theoretical researches and constructive conditions of food styling, and its expression methods. This paper firstly describes the concepts and principles, being applied to food styling, in comparison with design, and tries to find mutual similarities by dividing formative principles and elements, and visual and emotional elements. The range of food styling includes dishes, tools, lighting and music as well as visual elements, but this research explains the range focused on visual expressive elements. From expression elements and methods of food styling, It was possible to analogize the formative similarities such as the concept related design, the emotional interaction through color and the combination of formative fo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to the size and space, and emotional parts.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food styling and design, that used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 shape, proportions, dots, lines, planes and design principles, and emotional elements to express all sorts of emotions in harmony to create the final output.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design is a practical study being able to create idea in real life, especially explained the understanding of formative basis and d the importance of the insight that can read the value dissolved in living environment for design beginners .A summary o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ssibility and the suitability of understanding of design was confirmed through the food styling which is everyday-life materials.

      • KCI등재

        디자인 교육을 위한 음식의 구성조건과 디자인프로세스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윤우중(Woo Joo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3

        디자인은 생활 속에서 아이디어의 개발과 이를 응용 하고 적용하는 실용학문이다. 이는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목적으로 재료들을 선택하고 결합하여 새로운 가치의 결과물을 생산해냄을 의미한다. 인간이 경험하는 수많은 소재와 현상들 속에는 디자인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특성들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음식의 조건은 단순히 생존을 위한 현실적인 수단에서 인간의 성향과 품위를 표현하는 감성적인 소재로 발전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과 활용도의 범위는 광범위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생활환경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소재 중 하나인 음식의 조건과 구성요인 등을 살펴 디자인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것은 디자인 입문 초년생들의 디자인 접근에 필요한 개념 및 원리의 이해와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충족조건을 전달하는 디자인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식과 디자인의 환경 및 과정별 구성 요인을 설명하고 원리에 대한 특성을 개념과 조형적인 관점에서 거론하였다. 김치 담그는 과정에 나타나는 항목과 디자인 전개의 비교는 일상적인 생활 소재인 김치를 통해 디자인프로세스의 전반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교육 활용을 위한 시도를 통해 디자인은 창조적 가치가 내재되어 있으며, 생활 속에서 아이디어 소재 개발이 가능한 실용학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김치의 생산 과정 중 무질서와 혼돈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재활용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적 의미를 제시하였으며, 향후 계획되는 디자인의 개발조건에 잠재적 변용과 사고전환이 중요함을 설명하였다. Design is a practical learning to find, develop andapply ideas in a daily life. Especially the food convertedand developed its method as a realistic way of survivalto emotional material expressing one’s personality anddignity; thereby, a scope of its significance andapplication seems to be very extensive and broad.Therefor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ditionsand components of food that takes a crucial role in livingenvironment for human and to further find itsrelationship with th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is to provide an educative material to the beginner-levellearners of design to help them achieve an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nrequired for a design approach and to requirements fordesign developments. Also in this study, theconstructive elements of each process and designenvironment of foods and design were presented and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inciples were discussedin the perspectives of the concepts and modeling.The items included in the process of makingKimchi and the comparison of the unfolding of thedesigns were provided to help the learners understandthe overall process of designing through Kimchi, whichis a common element of our everyday life.With such attempts, it could be shown that creativevalues are the internalized values of designing anddesigning is a practical discipline with which variousideas and objects that could be used in our everydaylife could be developed. Also in this study, sustainablemeanings of designs, as well as the theme of recycling,were presented as a suggestive solution for the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chaos and confusionduring the Kimchi making process, while furtherexplanation was provid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of the potential variance of the development conditionsof the designing works and a shift in thinking.

      • 한국적 디자인 형상성과 신조형주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윤우중(Yoon, Woojoong),이현진(Lee, Hyunj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2 No.-

        21세기는 다양한 디자인과 미술 양식이 공존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실험적인 표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실험적인 표현 및 양식 속에는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공통된 디자인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성이 나타나는 현상과 함께 각 나라마다 대표되는 디자인 형질들이 요구되는 패러다임 또한 요구되고 있다. 미국의 실용주의, 프랑스의 장식주의, 독일의 견고한 함축미 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경향은 그 나라의 디자인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한국의 경우 차별화된 디자인 형질, 즉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대디자인의 경향과 연관된 신조형주의의 개념을 통해 한국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형상성의 보편적 리얼리티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와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과거부터 잠재해 있던 본질적인 한국의 조형적 원리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면과 색채의 구성에서 매우 뛰어난 조형성을 보여주는 19세기 조선의 조각보와 현대 추상예술의 선구자인 몬드리안의 사례로 살펴보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형상성의 개념을 통해 조각보와 신조형주의인 몬드리안 작품이 지닌 내재적인 의미와 외재적 의미를 조형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상성의 조형개념이 조각보와 몬드리안의 작품에 보편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형적 보편성은 현대디자인에도 적용되고 있음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한국의 조각보에는 잠재된 한국 특유의 조형가치가 충분하며, 이를 신조형주의의 개념과 비교하여 한국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표현형질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dentity of the Korea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Neoplasticism related to the tendency of modern design.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intrinsic formative principle of Korea, which is latent from the past, as compared to the correlation of Neoplasticism expressing universal reality of Feature-in-form. To prove this, we examined traditional patchwork, showing remarkable Feature-in-form in the composition of line and colour, at the Jose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works of Mondrian, who is a pioneer of abstract art in modern, as examples. Research method formatively analyzes intrinsic and extrinsic meanings on the work of Mondrian and patchwork through the concept of Feature-in-form. As a result, we could notice that the formative concept of Feature-in-form was expressed as universality on the work of Mondrian and patchwork, and the formative universality has been applied to the modern design.Eventually, We found that the formative value in Korea’s patchwork having uniqueness was sufficient and the superiority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in Korea design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concept of Neoplasticism.

      • 한국 전통 보자기와 사물인터넷의 가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윤우중(Yoon, Woojoo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4 No.-

        본 연구는 컨버전스 시대의 결과물인 사물인터넷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한국 전통 보자기를 가변적 형질로 비교하여 상호간의 유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방법은 가변성의 상황에 따른 조건의 변형으로 형태에 따른 기능 변형의 변환(transformable), 형태 변형의 전환(convertible), 환경반응성 변형의 변이(variable), 디자인 교체를 통한 변형의 교체(changeable), 조작에 의한 변형의 조절(modifiable) 등의 다섯 가지의 유형 중 한국전통 보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사용 환경시스템에 적합한 기능의 변형(transformable), 형태의 변형(convertible), 상황의 변형(variable) 세 가지 요소로 유추하여 상호간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변성의 개념을 통해 한국 보자기의 다양한 활용방법과 사물인터넷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의 사용방법 및 조형적 형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 형질의 가변적 조형개념이 전통 보자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가변적 원리는 현대디자인 및 과학기술 분야에 적용되고 있음을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민족 문화유산인 전통 보자기의 가변적 형질은 한국디자인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과 함께 현대 디자인의 활용가치로 충분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변적 형질은 유비쿼터스 사회 환경에 필요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성의 근간이 되었으며, 한국문화의 표현형질에 대한 조형적 우수성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was initiated in an attempt to explore similarity, through comparison, between wearable devices affordable from the era of convergence by taking advantage of IoT (Internet of Things) and variable traits identifiable in traditional Korean cloth wrappers. For the method of study, the similarity between Korean traditional wrapping cloth and wearable device were examined based on three elements: function, form, and circumstance, considering user’s structural system among five changes in conditions such as change, transition, modification, replacement, and adjustment due to the circumstances of variability. The finding, that is, the principle of variability has already been prismed to modern design and other applications of scientific technologies, which was also confirmed herein by taking examples from wearable smart devices. To summarize, variable traits dormant in traditional cloth wrappers as one of the Korean cultural heritages are found to be sufficient enough to be utilized for modern design, thereby urging us to get closer to the identity the Korean design has. In light of the fact that such variable traits provide a source in designing wearable devices in a fashion more intimate for the ubiquitous social environment, the formative superbness and design-oriented applicability in explicit expressions of the Korean culture could surely be verified via this study.

      • 컨버전스 개념의 트랜스미디어 2F 전략에 관한 연구

        윤우중(Yoon, Woojoong),이현진(Lee, Hyunj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1 No.-

        과학기술의 발달과 새로운 미디어들의 등장으로 인해 우리는 매우 다양한 체험과 혼돈의 패러다임 속에서 살고 있다. 그로인해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정서가 바뀌면서 변화는 우리 삶에 매우 익숙한 단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컨버전스의 통합(integration)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여러 학문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었으며, 기존의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관계도 크게 바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컨버전스의 구체적인 개념인 ‘트랜스미디어(transmedia)’의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인 2F(flexible + fit) 전략에 대한 해석과 응용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컨버전스의 통합(integration)개념과 트랜스미디어와의 상호간의 연계성을 다루었으며,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콘텐츠의 개념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Fit된 일관성 있는 개념에 새로운 기술가치인 Flexible개념을 통합 했을 때 다양한 시너지와 상호작용 및 소통이 가능하면서 능동적인 소비자로 변화하였다. 이는 현재 트랜스미디어의 활용도와 향후 응용, 발전될 통합(integration)에 의한 뉴 미디어의 가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 복잡하고 다양한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컨버전스적인 사례연구를 토대로 디자인과 테크놀로지로 대변되는 트랜스 미디어를 연구하는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환경에서의 마케팅과 차별점이 있으며, 새로운 시대와 기술을 통한 변화와 관련된 디자인콘텐츠 연구에 대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2F(flexible+fit) strategy that is an integration marketing communication of "transmedia", the concrete concept of convergence in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integration concept and connectivity to transmedia has been dealt and the concept and examples of design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has been analyzed. The result of integrating the flexible concept as a new technology value to the conventional consistent concept(fit) is that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synergies led to the result of the fact that passive consumers turned into active consumers. It aims to figure out the utility of existing transmedia and the value of new media created by integration to be applied and developed in future. This is the research of transmedia represented by design and technology based on sample study with convergence in current complex and various digital media environment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from the marketing in existing analogue environment. Also this can be called an approach to study of the design contents related to change and technology of new er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