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의 민간 해양구조 활성화 방안 연구 : 해양경찰의 역할 중심으로

        윤병두 한국해양경찰학회 2020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수난구호를 위해 해양 수색구조에 있어서 민간 해양 구조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민간구조의 활성화를 이해하고 우리나라 해양구조체계의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리의 바다에서 연간 약 2,000여 건의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 고 있으며, 바다에서 사고발생 시 재난성 사고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대책이 필요 하다. 이에 해양의 수난구호기관인 해양경찰에서는 정부의 세력만으로 해양사고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민관 협력적 거버넌스 차원에서 미국 해안경비대 민간보조대(USCGAux), 캐나다 해안경비대 자원봉사단(CCGA), 영국 왕 립구명정협회(RNLI), 일본 수난구제회(MRJ) 등의 민간해양구조단체를 벤치마킹하 여 바다의 수색구조 지원을 위해 「수상에서의 수색구조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 여 한국해양구조협회의 법적근거를 마련하고, 2013년 1월 23일에 창립하였으나 2014 년 4월에 발생한 세월호 사고 이후 재정난 등으로 인하여 유명무실한 단체로 전전긍 긍해 오다가 최근에 해양경찰과 한국해양구조협회에서는 한국해양구조협회와 민간해 양구조대 간 통합을 추진하는 등 민간구조 활성화를 꾀하고 있으나 여전히 해양선진 국의 민간구조단체와 같은 구조단체로서의 제 역할을 현재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의 민간 해양구조단체의 운영현황과 우리나라의 민간해 양구조 세력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의 민간구조 활성화의 실제 사 례 등을 토대로 해양구조협회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민간구조단체의 실질적인 통합, 한국해양구조협회에 교육·훈련사업 위탁, 민간구조 세력 확대 등의 해양경찰의 역할 을 중심으로 민간 해양구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promote revitalization of the private rescue programs at sea.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various activities of the private rescue programs at sea, and thus contribute to design an advanced Korean maritime relief system. A large and small marine accidents, continue exceeding about 20000 cases in every year, is taking place in Korean sea, and some of these accidents tend to lead disastrous results. Thus, a well designed rescue system is necessary. Although the Korea Coast Guard is officially in charge of marine rescue it has limitations due to complex nature of marine accidents. Based on the law of rescue and aid at sea, and as a part of build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the Korean Maritime Rescue & Salvage Association was founded on January, 2013. However,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happened, the Maritime Rescue & Salvage Association lost its power, and it is not doing its work as a civilian group of rescue and aid at sea.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operation of private maritime organizations of rescue and aid of Korea and developed marine countries and the problems of private marine rescue in korea, and it also reviews problems of private marine rescue activities. Then, it proposes a plan to revitalize the civilian marine rescue plan based on the cases of the revitalization of the civilian rescue of Korea Coast Guard Region-East, such as financial support plan to Maritime Rescue & Salvage Association(MARSA), integration of private rescue organizations, outsourced education and training projects to MARSA, expansion of private rescue forces, etc.

      • KCI등재

        해양경찰 미래 발전을 위한 인적 자원 확보 방안연구

        윤병두 한국해양경찰학회 2021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의 미래 발전을 위한 유능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 방 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해양경찰의 직무에 부응하고, 조직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능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조직의 경쟁력 제고와 성공적인 운영에 있어 ‘사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많은 조직이 인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핵심인재 채용과 육성을 도모하고 있다. 해양경찰도 창설 이래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창설된 지 67 년이 지났음에도 직원들이 전문성이 없다는 지적을 여전히 받고 있으며, 조직의 핵 심인재를 충분히 양성하지 않아 창설 이래 2명의 청장을 제외하고는 경찰청 출신이 청장으로 임명되어 오다가 「해양경찰법」이 제정되어 2020년 2월에 시행되면서 비로 소 자체에서 청장이 임명되게 되었다. 또한, 해양경찰은 인사권자(청장)의 잦은 교체로 인해 인사 정책이 수시로 변해 현재까지 제대로 된 「중장기 인력 수급 계획」도 없으며, 해양경찰의 인적 자원에 관 한 연구 논문도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상황과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고 해양의 특성에 걸 맞는 유능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최근 5 년간 채용현황과 계획, 국내외 유사 기관의 인적 자원 채용현황 등을 토대로 해양경 찰의 채용 문제점을 고찰하여 핵심인재 양성 측면에서 국내외 유사 기관과 같이 ‘해양경찰대학’을 신설하거나 현재의 해양경찰간부후보생 채용인원을 대폭 확대하여 핵 심인재를 양성하는 방안, 해양경찰관의 전문성 측면에서 해양경찰의 직무 특성을 고려하여 순경 공개채용보다는 경력채용 위주로 하는 방안, 인적 자원 저변 확대 측면 에서 해양경찰학과 출신 순경 채용인원을 대폭 늘리고, ‘경장 채용제도’를 부활시키는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improvements and problems to secure competent human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Coast Guard(KCG).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securing competent human resources to respond to the duties of the KCG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e role of people is very important i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an organization and in its successful operation. Accordingly, many organizatio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and they are seeking to recruit and nurture core talents. The KCG has also tried to secure competent human resources since its foundation. However, the KCG is still being pointed out that its employees have no expertise, although 67 years have passed since its foundation. It has been appointed as the Commissioner General of the KCG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except for two of its own ever since due to the lack of cultivating enough core talents. Only after the Maritime Police Act was enacted and implemented in February 2020, the Commissioner General of its own became to be finally appointed. Also, due to frequent replacement of personnel authority(the Commissioner General), a properly planned ‘Long-term projet on the demand and supply for the KCG human resources’ has been absent. There are not many research papers on the human resources of the KCG. Therefore, to meet the current situation, actual demands and secure competent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ean, this study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evious studies, and examines the recruitment problems of human resources of the KCG based on the recruitment status and plans for the past 5 years, and analyzes the human resource recruitment conditions of the similar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Various methods to improve to secure competent human resources are proposed, such as in terms of cultivating core talent, a plan to cultivate core talent by establishing a ‘University of KCG’ like similar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or by significantly expanding the number of Maritime Police Officer Candidates, in terms of maritime police officers’ professionalism, a plan to recruit careers rather than Police Officer open recruitment in consideration of the maritime police’s job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xpanding the base of human resources, a plan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personnel from the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and resurrect ‘Senior Police Officer Recruitment System’, etc.

      • '농업직불제도' 어떤 것이 있나

        윤병두 한국양봉협회 2008 양봉협회보 Vol.336 No.-

        최근 쌀직불제가 온통 세상을 시끄럽게 만들고 있다.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까? 제도상의 허점도 있지만 경자유전의 법칙이 지켜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쌀직불제의 경우, 실제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 돌아가야 할 돈이 농사를 짓지 않고 땅을 소유한 지주가 받아간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제도는 농업, 농촌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WTO체제하에 허용된 농가의 생산비와 소득보전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농업직불제도의 특징과 제도를 이해하고 이것이 안고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 KCI등재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 연구

        윤병두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7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measures taken in coastal waters to prevent coastal accidents.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bout 800 cases of large and small coastal accidents in coastal waters annually. On average, these accidents have been responsible for 129 deaths annually, Thus, there is a need for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Accordingly, the Korea Coast Guard enacted the Coastal Accident Prevention Act in 2014 and has cooperat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o safely manage coastal waters. However,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in human coastal activities, coast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due to the lack of a safety mindset among the Korea Coast Guard, a lack of public safety awareness, a lack of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and poor interest from related organizations, among others.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s and problems faced with regard to safety management in coastal waters based on recent coastal accident data, and analyzes foreign coastal waters safety management cases. Various method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efficiency in coastal waters are proposed, such as enhancing the safety mindset and capabilities of the Korea Coast Guard, strengthening cooperation among related organizations, increas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expanding and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inculcating a culture of maritime safety, and activating private-public collaborative govern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 연안해역의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연안해역에서 연간 약 800여 건의 크고 작은 연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연평균 129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연안해역의 안전관리 담당기관인 해양경찰에서는 2014년 「연안사고예방법」을 제정하고, 지방자치단체, 해양수산부, 소방청 등의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연안해역을 안전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여가를 활용하여 수상, 수중, 낚시 등의 연안체험·레저활동이 급증하는 것에 비해, 해경의 인력 및 안전마인드가 부족하고, 국민의 안전의식이 미약하며, 관계기관의 관심 저조 및 협력 미흡, 안전관리시설물 부족 등으로 인하여 연안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연안사고 통계자료 등을 토대로 연안해역의 안전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외국의 연안해역 안전관리 사례를 분석하여 해양경찰의 안전마인드 제고 및 역량 강화, 관계기관 간 협력 강화, 지자체의 역할 제고, 신기술 적용한 안전관리시설물 확충 및 관리 강화, 해양안전문화 확산, 민관협력거버넌스 활성화 등의 연안해역의 효율적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여객선 안전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세월호 사고를 중심으로

        윤병두 인하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하사회과학논총 Vol.29 No.-

        It occurs approximately 1,700 maritime incidents in Korean territorial waters and there are around 100 deaths and missing every year. Major maritime incidents were 326 dead for sinking of Ferry Namyoung in 1970, 292 dead for sinking of Ferry Seohae in 1993 and the oil tanker Hebei Spirit spilled 12,547㎘ of crude oil into the sea in 2007. There was the Ferry Sewol incident which was a fatal man-made disaster with 295 dead and 9 missing persons. This study reviews Korean safety management of passenger ship on the basis of Ferry Sewol incident, analyzes change of maritime safety management policy which was announced after ferry Sewol from the government through the Birkland policy process and propose the improvement of passenger ship safety policy. 우리나라는 크고 작은 해양사고가 해마다 1,700여건이 발생하여 연평균 100여명의 사망(실종)사고가 발생하고‘70년 남영호 사고(326명 사망), ‘93년 서해훼리호 사고(292명 사망),‘07년 허베이 스프리트호 오염사고(원유 12,547㎘유출)에 이어‘14년에 전대미문의 세월호 사고(304명 사망)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객선 안전관리 실태를 세월호 사고 중심으로 살펴보고 세월호 사고이후 정부가 후속대책으로 발표한 해양안전정책의 변화과정을 Birkland 정책학습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여객선 안전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해양안전 집행업무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선박안전 관리를 중심으로-

        윤병두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7

        This study examines an effective operational plan of a maritime safety enforcement task that is distributed in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Korea Coast Guard for maritime safety. Considering the sinking of the MV Sewol and Seohae vessels and the MV Hebei Spirit oil spill, normally marine safety accidents tend to not only damage human life, property, and marine environment but can also expand to disasters; therefore, precautionary measures are required.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takes superficial efforts in case of large-scale accidents. In case of the MV Sewol ferry, the government only focused on punishing the officials involved as a follow up and never mentioned any effective plan, such as “unification of maritime safety enforcement,” in contrast to an advanced country. As a result, there are endless major and minor backward accidents. The probability of large-scale maritime accidents and backwardness accidents is increasing owing to vessels becoming large sized, high speed, and aged; sailors being unqualified; port traffic increase, development of marine leisure; and inefficiency dual marine safety systems. Therefore,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aritime safety, major advanced country’s cases, and unified case of the vessel traffic service,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methods such as coastal vessel safety management, port state control and aid to navigation management, which are directly connected with maritime safety.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안전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KCG 등에 분산되어 있는 해양안전 집행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사고는 세월호 사고, 서해훼리호 사고, 태안 허베이 스피리트 오염사고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인명, 재산, 해양환경 등에 막대한 피해는 물론 재난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사고를 예방하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대형사고가 발생하면 단편적인 땜질식 처방만 해 왔으며, 세월호 사고 이후에도 관계자 처벌을 위한 후속조치에만 치중하고, 주요 해양선진국에서는 당연시 되고 있는 ‘해양안전 집행업무 일원화’ 같은 근본적인 대책은 거론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에 크고 작은 후진성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고속화·노후화, 선원의 자질저하, 선박통항량의 증가, 해양레저의 발달, 해양안전업무의 이원화로 인한 비효율성 등으로 대형 해양사고, 후진성 사고의 개연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해양안전 관련 선행연구 검토, 주요 해양선진국의 사례 및 VTS의 일원화 사례 등을 토대로 해양안전과 직결되는 내항선 안전관리·PSC·항로표지관리 등의 해양안전 집행업무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 수난구호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의 활성화 방안 - 해양 수난구호를 중심으로 -

        윤병두 한국해양경찰학회 2016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 수난구호에 있어서 협력적 거버넌스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해양 수난구호 민관협력을 이해하고 한국 수난구호체계 선 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의 바다도 선박교통량 증가로 인하여 해양사고의 발생 개연성이 증가하고 있고 세월호 사고, 허베이 스피리트호 오염사고 등에서 알 수 있 듯이 해양사고 발생 시 재난성 사고로 확대될 우려가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해 양 수난구호기관인 국민안전처(해경본부)는 광활한 바다에서 해경의 세력만으로 해양 사고를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민관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수상구조법 」에 근거하여 해양구조협회를 2013년 1월 23일에 창립하였으나 세월호 사고이후 해양 구조협회는 동력을 잃고 수난구호 민간단체로서의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적 거버넌스 이론을 토대로 국내외의 해양민간구조단체 운영현황과 해양경찰관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분석하고 국내 수난구호 민관협 력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여 협력적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promote activation i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rescue and aid at sea. This research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rescue and aid at sea and the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Korea's rescue and aid at sea. Due to increasing vessel traffic in oceans, marine accidents in coastal waters are increasing, and as the Sewol ferry accident and the MT Hebei Spilit pollution tell, there is a necessity for a measure when a marine accident happens. The Ministry of National Security and Safety (Korea Coast Guard) regraded that there are limits with corresponding with marine accidents only with the Coast Guard. Based on the law of rescue and aid at sea and as a part of build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the Korean Maritime Rescue Association was founded on January 23, 2013. However,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happened, the Maritime Rescue Associations lost its power and is not doing its work as a private group of rescue and aid at sea.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private organizations of rescue and aid at sea of Korea and developed countries along with the perceptions of the Coast Guards on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It also provided a way to activate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b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relationships in rescue and aid at sea based on a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theory. To enable efficient and effective rescue and aid at sea, public-private partnership governance made by activating civilian marine rescue organizations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achieve this civilian rescue organization, Maritime Rescue Institute was asked to provide support and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