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다행복학교가 학생들의 학업 성장에 미치는 효과

        제민아(Je, Mina),윤민종(Youn, Minjong)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부산다행복학교가 학생들의 학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BELS) 자료를 활용하여 부산에 소재한 67개 초등학교(혁신학교 10개교, 일반학교 57개교)의 학생 2,708명(혁신학교 331명, 일반학교 2,3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를(propensity score) 활용하여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에 존재하는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통제하였다. 이후 3수준 선형성장모형(3-level linear growth model)을 통해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 학업 성장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는 국어, 영어, 수학 교과에서 학업 성장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혁신학교가 학생들의 학력을 저하시킨다는 주장에 대해 실증적 반론을 제기하고 동시에 혁신학교를 통해 교육격차를 완화하려는 시도에 대해 재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associated with low achievement scores of innovation schools. While the early dominant view in innovation school policy is that innovation schools reduce the achievement scores of students, recent empirical studies demonstrate that students in innovation schools gain more cognitive development than their peers in general schools. However, these findings have been limited to innovation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mong 17 cities and provinces implementing innovation school policy.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not strictly controlled selection bias betwee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in estimat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 policy. Using propensity score to control selection bias between two groups and 3-level linear growth mode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s in Busan to examine whether the previous findings are applicable to the effects of innovation schools in other regions.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analyzing 2,708 students(331 innovation schools, 2,377 general schools) of 67 elementary schools(10 innovation schools, 57 general schools) in Busan. Result suggests that Busan innovatio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have no difference in cognitive development in Korean, English, and Mathematics. This leads us to reconsider the previous findings that innovation school policy has effects on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일반고 청소년의 대학 비진학 결정 과정에 대한 이해: 비진학 결정의 배경과 인식을 중심으로

        김영미 ( Kim Youngmi ),김진경 ( Kim Jinkyung ),윤민종 ( Youn Minj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일반고 청소년의 대학 비진학 결정 과정을 살펴본다.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이 일반고 재학 중 대학 비진학을 결정하게 되는 배경과 이 결정을 합리화하는 인식-대학, 성공-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이들의 불리한 가정배경은 경제적 부담, 누적된 학업결손과 낮은 학업성취, 부모의 방임이라는 형태로 대학 비진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낮은 학업성취로 인하여 대학 진학의 발판을 마련하지 못한 채 학교에서 소외와 좌절을 경험한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이들은 대학과 성공에 대한 나름의 인식을 갖게 되면서 비진학으로 결심을 굳힌다. 연구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서울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이른바 ‘인서울’대학)은 되어야 투자 가치가 있고, 고졸 학력으로도 실력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인식을 통해서 대학 비진학 결정을 합리화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 비진학 행위가 가정배경과 학업성취의 일차적이자 직접적인 결과물이라는 단순한 이해를 넘어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일반고 청소년의 대학 비진학 행위는 처해진 조건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에게 비진학 결정은 입시중심의 질서 속에서 분투(奮鬪) 후 이루어지는 선택이며, 나름의 미래 전망을 통한 합리적인 판단이었다. 다만 이들의 비진학 결정이 가정, 학교와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홀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그 결정이 갖는 현실적 의미를 더욱 자세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고에서 비진학을 선택하는 청소년들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는 연구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의는 일반고 비진학 청소년들에게 적절하고도 실리적(實利的)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tails the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decided not to attend college by interviewing 22 high school students and graduates. We found that disadvantaged family backgrounds and lack of support from school influenced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es. Disadvantaged family backgrounds affected them in three ways: financial difficulties, low academic achievements, lack of support from parents. Moreover the participants with such conditions could not get enough support and attention from school and teachers regarding career and college decisions. When they finally decided not to attend college, their perception on college and success helped them to rationalize their choice. To put it concretely they believed that only ‘in-seoul’ 4-year college credentials were worth the cost and they could succeed in their lives with great practical skills and work experience, not a college credential. Hence they concluded that they would rather not to go to college than go to less prestigious, local one. These findings give new insights that a simpl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cannot explain college-(not) going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is a result of constant struggles and rational choic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provide appropriate and practical support for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 who decide not to attend college.

      • KCI등재

        대안교육 민간위탁 기관의 설립 유형이 학생의 학교 적응과 교과 운영 충실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선(Dongsun Kim),강보은(Boeun Kang),윤민종(Minjong Yo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이 연구는 2020년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 운영한 학업중단 예방 정책 사업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부산광역시교육청 대안교육 민간위탁 사업에 참여한 7개의 민간위탁 기관에서 재직 중인 교사 69명과 재학 중인 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교사 설문 60부와 학생 설문 18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분석자료의 위계적 구조를 반영할 수 있는 휴벌트-화이트(clustered Hubert-White) 표준오차 추정 방식을 활용한 다중 회귀 분석이다. 분석 결과 대안교육 민간위탁 사업의 효과는 위탁 기관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등학교 내 부설기관이 민간 비영리법인 기관보다 학생의 학교 적응, 보통교과 운영의 충실성, 대안교과 운영의 충실성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최종 분석 모형에서 교사의 열의 변인을 투입한 결과 학교 유형에 의한 차이가 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교 적응과 기관의 보통교과 운영의 충실도 그리고 대안교과 운영의 충실도에 그들이 속한 기관의 법인 유형의 차이가 일부분 반영되지만, 그 격차의 결정적인 차이는 기관에 소속된 교사의 열의의 차이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sur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tracting-out project operated by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20.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9 teachers and 277 students enrolled in 7 contracting-out institutions. A total of 60 teacher questionnaires and 189 student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using a clustered Hubert-White standard error estimation method that can reflect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Contracting-out project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stitu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affiliated institutions within high schools exhibited higher effect than non-profit private corporations in terms of student adaptation to school, fidelity in general curriculum management, and fidelity in alternative subject management. However,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variable of teacher"s enthusiasm in the final analysis model,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ce by school type disappeared.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a certain degree of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orporations of the institutions they belong to, but the decisive difference in the gap is the enthusiasm of teachers belonging to the institution.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력과 조절효과

        강보은 (Bo Eun Kang),이수지(Suji Lee),윤민종(Minjong You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 거부, 강요, 비일관성)가 자녀의 협동심(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에 미치는 장기 영향력과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중학교 1학년 코호트(1학년, 3학년) 자료를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이중 통제를 적용한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을 동원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의 집단촉진에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구조제공이 장기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팔로워십과 갈등문제해결에는 부모의 구조제공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거부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협동심 발달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협동심 수준이 낮은 자녀일수록 부모는 자녀가 가정에서자신의 존재가 거부당하는 경험을 하지 않도록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자녀의 협동심에 도움을 제공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실증적으로 면밀하게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자녀의 협동심 발달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effective parenting styles that foste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lasting impact of parenting styles(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rejection, coercion, chaos) on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group promotion, followership, conflict resolution).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parenting styles. Using the cohort of middle school students(1st and 3rd grader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KCYPS 2018),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dual control approach.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l warmth and structur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sustained positive impact on children's group promotion. Similarly, structure had a lasting positive effect on followership and conflict resolution. Conversely, rejection exhibited a detrimental impact on these dimensions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yles, this study identifies substantial moderation by parental rejecting attitudes. To elaborate, when children exhibit lower levels of cooperative competence, parents demonstrating accepting attitudes— preventing the experience of familial rejection - prove effective in fostering cooperative competenc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specific measures to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operative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