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에서 Eye Tracking을 이용한 주의편향의 측정에 대한 연구

        윤나래(Na Rae Yoon),이탁형(Tak Hyung Lee),최정석(Jung-Seok Choi)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8 중독정신의학 Vol.22 No.2

        Objectives : It has been shown that attentional bias is important in the maintenance of addictive behaviors. However, existing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attentional bias in the Internet Gaming Disorder (IGD) is not suffici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n objective method of measuring attentional bias and to observe differences in attentional bias in the cases of excessive internet gamers. Methods : Twenty-two male patients with IGD and sixteen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 were examined with the eye tracking flanker task.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compare eye movement latency and fixation tim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stimuli. Results : Fixation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IGD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In the post-hoc analysis, fixation time in game related stimul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IGD. However, latency was not significant for all stimuli.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eye tracking flanker task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measure attentional bias in IGD patients. Future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and more detailed methods could complement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장애인가족지원제도 시행 전·후의 장애인 가족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비교

        윤나래 ( Yoon Na Rae ),강영주 ( Kang Young Joo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국내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156편의 미술치료 논문을 2010년 정부의 장애인가족지원제도 시행 전과 후의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효과적인 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며, 발표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하였다.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장애인가족지원제도 시행 전에 비해 시행 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가족지원제도 시행 전보다 시행 후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와, 비장애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가족지원제도 시행 전에는 가족들의 증상이나 문제해결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시행 후에는 가족전체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도 구성원의 내적성장에 초점을 둔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연구유형, 연구설계, 총 진행회기, 주당회기, 회기시간 등의 연구 방법은 연구의 고유 영역으로서 장애인가족지원제도의 실행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법적인 제도화는 관련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하여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연구뿐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를 단위로 한 미술치료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the research trends before and aft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disability family support system in 2010 with a total of 156 art therapy paper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97 to December 2019.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m by year of presentation, subject of research, content of research, and method of research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support of families with dis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familie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and research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implementation of the disability family support system. Second, research on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siblings increased after implementation before the system was implemented. Third,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disability family support system, the focus was on the symptoms of the family and the problem solving aspects of the family, but after the implementation, it was seen as focusing on the internal growth of the members in dealing with the whole family. Fourth, research methods such as research type, research design, total progress period, weekly session, and session time were found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disability family support system as a unique area of research. Beyond this, legal institutionalization can be concluded as having an impact on promoting related research. Not only is it necessary to develop a research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each member of the family through follow-up research, but also to develop an art therapy mediation program that consists of the entire family members.

      • KCI등재

        장애인 가족 대상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윤나래(Yoon, Na-rae),강영주(Kang, Young-Joo)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6

        본 연구는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 효과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미술치료가 장애인 가족에게 미치는 전체효과크기와 변인별 효과크기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연구 중 메타분석 기준을 충족하는 4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Meta-AN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험집단원수는 7명 이하, 스트레스 완화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객관적 검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여러 미술치료 기법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평면매체와 그리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총 11~15회기, 주 2회, 회기시간은 61~90분으로 진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메타분석에 따른 미술치료 전체효과크기(ES)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별 효과크기는 연구대상에서는 어머니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실험집단원수가 8~12명 미만, 연구주제는 심리건강회복, 단일기법으로 진행하였을 때 큰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주당회기는 주 1회, 회기당 2시간 이상 연구가 가장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인 가족 대상 미술치료는 8~12명의 집단으로 주 1회, 1회기당 2시간 이상으로 구성하여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제시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meta-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o determine the overall effect size, as well as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 total of 47 papers meeting the meta-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and overall trends were examined, effect size was calculated, a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OVA.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concerned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with fewer than 7 members per experimental group and with stress relief as a topic. Mainly, objective examinations were used, and flat media and drawings were used the most by mixing several art therapy techniques. A total of 11 to 15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with a session time of 61 to 90 minutes.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 Among the variables, the mothers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nd the large effect size was derived when the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members was fewer than 8 to 12, and the topic of study was psychological health recovery with a single technique being used. Sessions taking place weekly for least 2 hours at the time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Weekly art therapy for families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consisting of 8 to 12 people, with sessions lasing at least 2 hou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