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깨의 일장 및 온도에 대한 감응성과 그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익상,Ik-Sang Yu 한국작물학회 197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17

        들깨 재배시기 이동에 따른 실용형질의 생태변이를 추구하고 이를 일장 및 온도처리의 결과로 실증하고자 작물시험장에서 포장실험은 1972년 36개 품종월 4월5일부터 6월20일까지 15일간격으로 6회파종하고 폿트 실험은 1972년부터 1973년 까지 2개년에 걸쳐 양년 모두 5월25일에 파종하고 일장처리는 6개 품종을 공시하여 단일구는 자연일장을 이용하고 장일구는 100₩의 자연전등으로 조명하였으며 온도처리는 3개 품종을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각각 수행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파종기의 조만에 관계없이 9월6일경이었으며 개화일수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일정하게 단축되었다. 2. 성숙기는 10월6일경이나 파종기가 빠른 것이 성숙도 빨랐으며 결실일수는 26∼30일이었다. 3. 생육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개화일수와 같이 일정하게 단축되었다. 4.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일정하게 짧아졌다. 5. 분지수는 제 I, II 및 III 파종기의 조기파종에서는 거의 비슷하고 그 이후의 만기파종에서는 거의 비슷하고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줄어들었다. 6. 건물중은 제I 파종기에서 제III 파종기까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나 제IV 파종기 이후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7. 일장 및 온도처리에 따른 개화반응을 보면 온도의 영향은 극히 미미하고 일장의 영향은 예민하였다. 8. 일장 및 온도처리에 따른 초장 분지수 및 건물중의 변이는 처리시기 및 일수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9. 수량은 제III 파종기(5월 5일)에서 가장 많았으며 이보다 조만파 할수록 감소되었다. 10. 1,000립중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다소 무거운 경향이었다. 11. 화방수는 제III파종기(5월5일)에서 많았고 이보다 조만파 할수록 적었다. 12. 유분함량도 제III 파종기(5월5일)에서 가장 높았다. 13. 개화일수, 결실일수, 생육일수 및 개화기간등은 수량에 별로 영향하지 않았다. 14. 분지수, 화방수, 1,000립중 및 건물중 등은 수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이들 형질이 수량에 관여하는 정도는 파종기에 따라 달랐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larify the variation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day-length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perilla varieties from 1972 to 1973 in the experimental fields of Crop Experiment Station, O.R.D, Suwon. Thirty-six varieties were tested in the field in 1972 under 6 growing seasons differing seeding dates. from April 5th to June 20th with 15-day interval between each seeding. Pot-experiment also were conducted in 1972 and 1973. The seeds of the 6 varieties tested were sown on May 25th. In this pot-experiment natural condition was regarded as a short-day treatment and 100-W incandescent lamps were used for long-day treatment. Three selected varieties were grown under different. temperature treatments in phytotron in Crop Experiment St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varieties tested flowered around September 6. The days required to flower were shortened gradually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2. The varieties used were matured around October 6, but the maturity was shortened when planted early. The days required for maturity after flowering was 26 to 30. 3. The growing period was also shortened gradually when planting time was delayed. 4. Plant height was reduced when planting time was delayed. 5.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number of valid branches among planting time I, II and III, while the branch number was reduc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6. The dry matter weight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planting time I to III, while it was rapidly decreased after planting time IV. 7. It was found that the flowering of perilla was little affected by temperature. The varieties, however, were more sensitive to day-length. 8. No clear tendency was found in the plant h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dry matter weight by the time and period of day-length and temperature treatments. 9.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planting time III(May 5th) and the yield was decreased at either earlier or later planting. 10. 1, 000 grain weight appeared to be heavier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11. The number of flower cluster was largest at planting time III (May 5th) and it was decreased as planting time was earlier or later than III. 12. The oil content was also highest at planting time III (May 5th). 13.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and total growing period and flowering period did not affect the yield much. 14. The number of valid branches, flower clusters, 1, 000-grain weight and dry matter weigh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y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s and yield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planting time.

      • KCI등재

        들깨 수량에 관여하는 주요 형질간의 상관관계와 그들 형질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유익상,최병한,오성근,Ik-Sang Yu,Byeong-Han Choi,Seong-Geun Oh 한국작물학회 197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11

        들깨 수량에 영향하는 형질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형질상호간의 상관관계와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경식경, 화방수, 경중과 유효분지수는 화방수와 높은 정의 상관을 그리고 유효분지수는 1,000입중과 화방수는 1,000입중과 각각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2.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는 형질은 경중, 화방수 1,000입중 유효분지수, 경직경등이다. 3. 간접적 효과는 경장대 경중, 유효분지수 대 화방수, 화방수 대 경중간에 높은 값을 보였다. 4. 들깨의 수량은 경장이 길고 유효분지수 및 화방수가 많으며 1,000입중과 경중이 무거운것일수록 수량이 많다는 사실을 알수 있다.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influence of each character on the yield of perilla,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respectively. Number of internodes showed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 with number of pods per plant, stem weight, respectivel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appeared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l000-grain weigh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l000-grain weight. 2. It seemed to be clear that stem weight, number of pods per plant, l000-grain weight,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stem diameter have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yield of perilla. 3. Indirect influence was observed between stem length and stem weight, between number of valid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between number of pods per plant and stem weight, respectively. 4.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yield of perilla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em length, number of valid branches, number of pods per plant, l000-grain weight and stem weight.

      • KCI등재

        들깨 품종의 생태형과 성숙군의 분류

        유익상,이은웅,Ik-Sang Yu,Eun-Woong Lee 한국작물학회 1973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14

        우리나라 들깨 재래종 136과 일본품종 4합계 140품종에 대하여 개화 및 결실에 관한 제특성의 차이를 검토하며 품종의 생태형과 성숙군을 분류하고 이들 특성과 생태형, 성숙군간의 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태형의 분류는 개화일수의 단, 중, 장(I.II.III)에 결실일수의 단장(a,b)을 상호조합하여 Ia, Ib, IIa, IIb, IIIa, IIIb의 6형으로 나눈바 우리나라 재래종은 IIa, IIb 및 III형에 일본품종은 IIa, IIb에 각각 많이 속해 있었다. 2. 성숙군의 분류는 생육일수의 장, 단에 따라 조생 I에서 만생 III까지 3성숙군으로 나눈바 우리나라 재래종은 II군 및 III군에 일본품종은 I군과 II군에 각각 많이 속해 있었다. 3. 생태형과 성순군 사이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0.685)를 볼 수 있었고 생태형은 개화일수, 생육일수와 성숙군은 개화일수, 결실일수 및 생육일수의 상호 유의적인 상관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우리나라 재래품종은 성숙군수가 많지 않지만 생태형 종수가 많다는 것은 도별로 환경조건과 재배방식간에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 것 같다. In order to classify the ecotypical and maturing groups 136 Korean local and 4 Japanese Perilla varieties were sown at Suwon on May 20, 1972, and investigations were made on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ng and growth duration.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cotype was classified from 6 groups with combination of the long and short duration from sowing to flowering and maturing period. The classified symbols of groups were Ia, Ib, IIa, IIIa, and IIIb. I: long duration. to flowering II: medium duration to flowering III: short duration to flowering a: long duration to maturing b: short duration to maturing Korean local varieties were distributed 3 ecotypes of IIa, IIb and IIIa, however, Japanese varieties did 2 ecotypes of IIa and IIb, respectively. 2. Maturing group was classified from 3 groups with long (I), medium (II), and short (III) growth durations. Korean local varieties belong to II and III groups but Japanese varieties belong to I and II groups, respectively. 3. Three wer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0.685) between ecotypical and maturing group. Ecotype was more related with days to flowering and growth duration, however, maturing group was related with days to flowering, days for maturing, and growth duration. Korean local varieties, more distributed into ecotype than maturing group, were attributed to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ltural practices at different provinces.

      • KCI등재

        우리나라 고농서에서 본 담배 명칭과 전래

        柳益相 韓國作物學會 1994 한국작물학회지 Vol.39 No.2

        농업에 관한 우리나라 전문 고농서는 조선조에 많이 발간되어 중·근세 농업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여기서는 고농서, 국내외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담배의 명칭과 그의 전래를 요약한바 o남영초, 남초, 연초, 어, 연초, 서초, 왜초, 호초, 담파고등으로 기록되고 o국내문헌은 무오년(1618년)을 전후한 년대에 일본 전래설을 통설로 기술되어 있으나 o 일본이 과거 중국, 한국과의 문화교류와 내량, 평안시대에 많은 작물을 도입재배한 역사적 실증과 o한국에의 전래근거가 없다는 인접국(중국, 일본)의 이설 o우리나라 담배 산지 재래종 기원항설과 o김대현(1553-1612년)지방거주와 유정과의 서신사기, 구전등으로 보아 o임진왜란 중 (1592-98년) 명나라 유정장군의 병사에 의한 중국 전래설이 가장 신빙성이 있다고 하겠다. Many old books concerning agriculture in ancient Korea were published during Yi dynasty, giving information on the agriculture of old and recent times, Present work describes the introduction of tobacco to Korea by reviewing old domestic or foreign agricultural literatures dealing with names of tobacco. Historically, tobacco had been called as many names such as Namcho, Yeoncho, Au, Seocho, Oecho, Hocho, Dampa Ko, Namkyongcho and Dampacke, and known to be introduced to Korea during early part of Kwanghwekun rule (year of 1618) from Japan. However, tobacco introduction from Japan to Korea seemed not be true by 2 historical facts. One is that at old time Japan had imported Chinese and Korean culture, and many crops during Nara and Heyan dynasties. The other is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Japanese introduction found in Japan nowadays. The most plausible theory on tobacco introduction is that soldiers under General Youjung of Myong dynasty had brought tobacco to Korea during ImJinWaeRan(1592-1598). The above statements can be verified by old stories about Korean local tobacco varieties, and by letters Kim Dae Hyun(1553-1602) and General Youjoung.

      • KCI등재

        스마트폰 구매결정요인이 브랜드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애플과 삼성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유익상(Yoo, Ik S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reflecting the trend of today s smartphone users into four main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brand trust,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brand trust on purchase intention. it is in The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 was limited to the products of Apple and Samsung, which are bisecting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A total of 141 copies were collected except for 9 questionnaires that were incorrectly filled out with duplicates and omissions, and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variable prior to hypothesis testing. For hypothesis testing, statistical packages SPSS 25.0 and AMOS 25.0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conducted on the subjects, the average smartphone use cycle was 2 to 3 years, 56% (79 people), an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use, watching a video was the highest at 63.1% (89 people). As a result of testing the alternative hypothesis establish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urchasing determinants on brand trust and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ausality analysis, only the brand factor among the four factors for both bran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as a result of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brand reliability influenced by brand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the ß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influence was derived for Samsung products as 0.349 and for Apple products as 0.205, indicating that Samsung products are somewhat higher.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s for the hypothesis on the effect of brand reli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as a result,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트렌드가 반영된 구매 결정 요인들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정의한 네 가지 주요 요인들이 브랜드신뢰에 미치는 요인과 브랜드 신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보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의 범위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애플과 삼성 제품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여, 2021년 10월 4일부터 22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 실시하였으며, 중복표기, 누락 등 잘못 기재된 설문지 9부를 제외하고 총 141부를 수거하여 가설 검증에 앞서 각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측정을 위한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통계패키지로는 SPSS 25.0와 AMOS 25.0 을 사용하였다.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빈도분석 결과, 스마트 폰 평균 사용주기는 2~3년으로 56%(79명)이었으며, 활용빈도에서는 동영상시청이 63.1%(89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매결정요인들이 브랜드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대립가설을 검증하고, 인과관계 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브랜드 모두 네 가지 요인들 중 브랜드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요인이 영향을 미친 브랜드신뢰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ß값에서 삼성제품이 0.349, 애플제품이 0.205로 도출되어 삼성제품이 다소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큰 의미를 찾을 수 없었다. 브랜드신뢰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전체적으로 귀무가설이 기각되는 결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