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유설희(Seolheui Yoo),박보경(Bokyung Park),도현심(Hyun Sim Doh)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pathways from peer relationships to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esteem in late childhood. A total of 354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189 boys and 165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Peer relationships were assessed using the peer rating scale, and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using the self-rating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their self-esteem. Positive relations with peers enabled children to improve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those children who possessed good relationships with pee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as worthy, which led to higher overall level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e study emphasizes the crucial influence of self-esteem on school-aged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만족도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자아관,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유설희(Yoo, Seolheui),노지운(Noh, Jee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긍정적 자아관 및 일상적 스트레스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2기 중 제3차(2016년)에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662명(남아: 325명, 여아: 337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지역아동센터 만족도와 긍정적 자아관, 일상적 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아동센터 만족도는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지역아동센터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만족도는 긍정적 자아관 및 일상적 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지역아동센터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스트레스 수준은 낮았으며 주관적 안녕감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지역아동센터 만족도와 긍정적 자아관, 일상적 스트레스를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ty child center satisfaction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self and daily hassles. To achieve this, a total of 662 6<SUP>th</SUP>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325 boys and 337 girls), using survey on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were utilized and all variables were assessed by means of self reporting by the children involv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aking use of AMOS 22.0. As a result, the level of chil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s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meaning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s led to higher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level of chil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s affected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their positive self and daily hassl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community child centers, the more positive self images were observed, and the lower the stress levels, which in turn led to higher overall level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their liv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crucial influences of community child center satisfaction and positive self image, and daily hassles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improv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community child centers.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차별 가/피해 경험에 대한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 검증

        최홍일(HongIl Choi),정윤미(YunMi Jung),유설희(SeolHeui Yoo)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1 미래사회 Vol.12 No.2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중 2기 패널의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조사에 참여한 표본을 대상으로, 이들의 차별 가해 경험 및 차별 피해 경험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 가해 및 피해 경험 모두 자기회귀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차별 가해와 차별 피해 경험은 다음 시점의 차별 가해와 차별 피해 경험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전 시점의 차별 가해와 차별 피해 경험은 다음 시점의 차별 피해와 차별 가해 경험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차별 가해와 피해 경험이 서로 교차하여 영향을 미치는 교차지연모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차별 가해와 피해 간의 관계에서 모방 및 학습을 통한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차별 가해 및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between two children‘s panel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4th to 6th grade. For this purpose,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oregressive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discrimination and damage experience. In other words, previou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discrimination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Second,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discrimination at the previous point of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abuse at the next point of view,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cross-lagged paths in which discrimination and damage experiences cross each ot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e causal relationship through imitation an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and damage, and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prevent discrimination and damage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