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한(前漢) 해혼후(海昏侯) 유하묘(劉賀墓) 출토죽간 『역점(易占)』 연구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4

        This paper analyzes of the Haihunhou(海昏侯) Yi Zhan(易占) Bamboo manuscript, which were excavated in Nanchang(南昌), Jiangxi Province(江西省), China, in July 2015 and examines its ideological significance. It includes 64 characters(卦) are placed on 65 bamboo strips (歸妹 gua occupies 2 strips). Most of the pieces of bamboo are intact, but there are not a few damaged ones. There are two marks on the top and bottom tied with string. Since the traces of tying cover the characters, it can be seen that it was written first and then stitched together. Each bamboo strip consists of a hexagram picture(卦畫), a hexagram name(卦名), an explanation of the meaning of the hexagram name, and a Hexagram text(彖辭?) Some hexagram names are different from the received version, but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cause they appear to be jiajiezi(假借字). Compared to other excavated Zhou Yi, the hexagram names of Haihunhou(海昏侯) Yizhan are closer to the received version. Only No.54 ‘歸妹’ is ‘未酉’, but in this case, it cannot be regarded as a jiajiezi(假借字). The names of the upper and lower trigram are placed in front of the hexagram name. From the fact that Haihunhou(海昏侯) Yi Zhan(易占)'s so-called Gwasa is closely related to Xuguazhuan(序卦傳), we can inf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Xuguazhuan(序卦傳). In other words, Xuguazhuan(序卦傳) would have been finally created between the late western Han Dynasty and early eastern Han Dynasty by utilizing manuscripts such as Haihunhou(海昏侯) Yi Zhan(易占).

      • 주공의 동이정벌에 대하여 - 金文 및 淸華簡을 중심으로 -

        원용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2 儒敎文化硏究 Vol.- No.20

        본 논문은 『사기』에 보이는 주공의 東夷 정벌 기록을 서주초기 청동기 銘文(金文)과 淸華大學藏戰國竹簡 등의 출토자료 기록과 비교, 검토한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주공의 동정에 대한 당대의 사적과 후대의 변모된 사적을 분명하게 밝히고, 이에 대한 『사기』의 입장을 정리함으로써 중국 고대의 華夷的 세계관에 대하여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기』 「주본기」, 「노주공세가」에 따르면 은을 멸망시키고 천하를 평정한 주가무왕의 죽음에 의해 일대 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이를 구원한 것은 주공이었다. 주공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했을 뿐만 아니라 주의 질서, 즉 국가예제, 문화, 제도를 세웠고, 후에 성왕은 그 공업을 기려 그를 천자의 예로 대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중국문화의 실제적인 개창자로 주공을 보는 것이 정설이다. 이러한 주공상은 과장된 것인데, 『사기』 「주본기」가 무경 반란의 진압에서 주공의 역할을 강조하고 성왕의 역할을 축소한 것 역시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다. 즉 무경의 반란 역시 성왕이 직접 군대를 끌고 참전하였으며, 주공은 보조적 역할을 담당한 듯하다. 그 실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출토자료다. <小臣單觶>,<禽簋>, < 司土簋>, <大保簋>, <保員簋>등의 금문 자료에 의해 무경의 반란진압은 성왕의 주도 아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청화간 繫年의 기록역시 성왕이 무경의 반란을 진압했다고 하며, 그 동이 정벌에 주공은 등장하고 있지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경의 반란에서 주공의 역할이 확대된 까닭은 춘추말기에서부터 시작된 주공의 영웅화의 결과일 것이다. 특히 주공의 영웅화를 추진한 것은사마천인데, 그 까닭은 ‘주공→공자→사마천’으로 이어지는 계승 구도를 통해 마치주공이 주나라의 문물제도를 만든 것처럼 한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만들고자 한 사마천의 의도가 있었다. 이 같은 시각은 『사기』 이후의 중국 역사서의 모범으로 자리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마왕퇴백서 『역전』의 도기론(道器論) 연구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8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concretely in the history of thought the formation of the Yizhuan易傳betwee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early Han period by examining the discourses on the Dao(道)and the qi(器) in the silk manuscript of the Yizhuan which was discovered at the Mawangdui馬王堆 site from the Han period. The silk manuscript of the Yizhuan vividly shows the Zhouyi’s transformation from a divination text to a philosophy book. Therefore, its proper reading should be done within the context of the stream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in the examination of the view on the Dao and the qi in the Yizhuan silk text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silk text “Xici,”(繫辭) Confucius raises a question as to writings and words, and then he himself says in answer that the sage can convey what he means with “images”(象), “hexagrams”(卦), and “statements”(辭). In short, because what the sage meant could not be conveyed by writings or words, he himself produced “images,” “hexagrams,” and “statements” and conveyed his ideas. Therefore, the excerpt shows that the Confucian sages who practice ceremonies and rituals are superior to the Daoist sages who practice the “teaching without words.” Also the last sentence, “黙而成之, 不言而信, 存乎德行” (to accomplish things while remaining silent and to be trusted without speaking is something intrinsic to virtuous conduct), attests to it. In other words, the Daoist concept of “non-action” (黙而成之, 不言而信) is encompassed in the Confucian concept of action (德行). Now, we can understand that the thesis that “the metaphysical is the Dao and the physical is the qi” was conceived in its theoretical struggle with Daoism. Yet in the silk text “Xici,” the sages are in contact with the metaphysical Dao only through Confucian rituals and do not transmit it to others. It states that they communicate with the shenming(神明), or spiritual brightness, through the mediation of spiritual or numinous things and intervene in the harmony of Heaven, Earth and nature. Xunzi produced the idea of “通於神明, 參於天地” (communicating with the spiritual brightness and engaging with Heaven and Earth) by absorbing those of other theorists and producing his own from i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roughly from the time of Xunzi, Confucian thought began to use the concepts of shenming and “spirits” which transcend cognition. And it became further developed into the thought of the Yizhuan. 이 논문은 백서 『역전』의 ‘도기론(道器論)’을 전국시대 후기의 사상사 속에서 분석하여 유가가 『역』을 경전으로 도입한 이유와 과정을 밝힌 것이다. 백서 『역전』, 「계사」에는 형이상학적 토대가 없던 유가가 도가의 사유를 재해석해서 만들어낸 형이상의 도(道)와 형이하의 기(器)에 관한 새로운 이론이 보인다. 이 형이상의 도는 말로도 글로도 전달할 길이 없지만, 『주역』의 성인은 형이상의 도를 깨닫고 상(象)과 괘(卦)와 사(辭, 괘효사)라는 형이하의 기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그 성인은 신물(神物)을 매개로 신명(神明)과 통하여 천지자연의 조화에 관여하는 자이기도 하다. 이것은 무위를 통해 도를 깨닫고 무위를 통해 도를 전달하는 도가의 성인과 동일한 논리구조를 가지지만 ‘무위’의 자리에 ‘형이하의 기’ 즉 상, 괘, 사를 넣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유가 사상가들이 도가의 논리를 수용하면서도 ‘무위’라는 수동적 행위를 거부하고 유가적 특성을 반영하여 도가 사상을 극복하고자 한 시도였다. 전국시대 후기에 이르러 도가의 형이상학이 현실 정치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하기 시작하자 유가 사상가들은 위기감 속에서 도가 이론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점술서였던 『역』에 눈을 돌린 것은 바로 그 이유였다. 다만 백서 『역전』, 「목화(繆和)」에 보이는 설화를 통해 백서 『역전』 속에는 형이상학적인 도 개념과 함께 기존 유가가 가지고 있던 자연의 도리라는 의미에서의 도 개념 역시 포함되어 있다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상박초간 『주역』 汬괘 고찰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周易』 중 汬괘(제44호간~46호간)의 문자, 음운,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사상사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전국시대 당시 汬괘의 괘효사는 본래 어떤 의미였는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박본 汬괘에는 선진시기 『주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몇몇 용례들이 있는데, 이를 통해 선진시기 『주역』의 양상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지금까지 『주역』에 관하여 여러 방면에서 수많은 연구가 행해졌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이유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출토문헌 때문인데 2015년 현재 『주역』 텍스트만도 3종류가 발견되었으며, 넓은 의미의 ‘易’과 관련되는 자료까지 포함하면 대단히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그 중 상박초간 『주역』은 전국시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최적의 자료다. 상박초간 『주역』 汬괘는 통행본의 井괘에 대응하는 괘로 제44호간~제46호간의 3매의 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괘명인 汬에 대하여 살펴보면 ‘汬’이 『설문해자』에 보이는 ‘阱’의 古文과 자형이 일치하기 때문에 ‘함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설도 있다. 그렇지만 「彖傳」, 『經典釋文』도 우물로 해석하고 있다. 효사의 내용들 역시 ‘우물’로 해석해야 좋다. ‘汬’의 字形이 ‘井’ 아래 ‘水’가 있는 형태인 것은 오히려 우물임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괘사의 ‘无喪无得’은 우물의 항상성(常), 불변성(不變)을 의미하는 구절이나, 상박본의 경우는 그 항상성, 불변성을 일상생활적 관점에서 파악해야지, 유가, 도가의 常德이나 恒德의 의미, 즉 철학적 함의를 지닌 표현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기존의 주석들은 철학적 함의를 지닌 常德을 강조함으로써 전국시대의 『주역』의 본래의 의미가 변색되었다. 상박본에는 ‘汬朻(井收)’라는 말이 九三과 上六에 거듭 보이는데, 이는 왕필 등이 행해온 효의 위치에 따라 효사를 해설하는 방법론이 전국시대의 『주역』을 해석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즉 왕필은 ‘井收’가 상륙효 즉 최상층에 위치한 효의 효사이기 때문에 물을 이미 끌어올렸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상징하며 그래서 크게 길하다는 占斷이 내려졌다고 한다. 그렇지만 상박본에는 “井收”가 상륙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구삼효에도 있는데, 구삼효의 효사는 왕필의 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이상으로 전국시대 『주역』인 상박본은 아직 유교의 경전이 되기 전의 『주역』의 모습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해석도 철학적인 방향이 아닌 점서로서의 모습에 치중하여 행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s, phonemes, and contents of Jing 汬 hexagram (strips 44~46)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and to further explore, from a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histo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hexagram and line statements of Jing hexagram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s Jing hexagram,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Zhou Yi of pre-Qin period. This paper seeks to shed light on the true nature of the pre-Qin Zhou Yi by analyzing such characteristics. Jing hexagram 汬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corresponding with Jing 井 hexagram of the received text, consists of three strips, strips 44~46. If we first examine the name of the Jing hexagram 汬, there is an interpretation that posits the character jing 汬 should be understood as a “trap” since its shape accords with that of the ancient form (gu wen 古文) of the character 阱 which appears in the Shuo wen jie zi 說文解字. However, both Tuan zhuan 彖傳 and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interpret it as a “well”, and the “well” interpretation works better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line statements. The shape of the character jing 汬 is composed of shui 水 under jing 井 and this corroborates the meaning of a well. “Wu sang wu de 无喪无得” in the hexagram refers to a phrase reflecting consistency(chang 常) and invariance (bu bian, 不變) of a we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the meaning of consistency and invariance should be understood from a daily-life perspective,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as chang de 常德 or hang de 恒德. The original meaning of the Zhou Yi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distorted by traditional commentaries which overly emphasize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chang de 常德. The phrase “jing shou 汬朻(井收)” is repeatedly shown in the jiu san 九三 and shang liu 上六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and this proves that Wang Bi 王弼 et al.’s interpretation of line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position is not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be specific, Wang Bi comments that, because “jing shou 汬朻(井收)” is located in the top level (shang liu) of the line statements, water is already pulled up to the top, and this symbolizes great success, leading to the designation of grand accomplishment. However, “jing shou” is also appeared in the jiu san and its line statement cannot be properly explained by the Wang Bi’s interpretation. The above demonstrates that Shanghai Museum Zhou Yi,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the Zhou Yi before it became a Confucian can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spect of a divination book, not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 KCI등재

        상박초간 {주역} 감괘(欽卦) 연구

        원용준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6

        이 논문은 상박초간 『주역』 감괘(欽卦)를 중심으로 중국고대 점복문화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점서였던 『주역』의 경문을 유가가 어떻게 유가 윤리로 만들어갔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상박초간 『주역』 감괘는 현행본의 함괘(咸卦)에 해당하며 ‘감(感)’의 뜻으로, 괘 전체의 주제는 남녀 간의 육체적 사랑과 결혼이다. 청화간(淸華簡) 『서법(筮法)』 등 고대의 점술에 남녀 간의 결혼을 점친 예는 상당히 많은데 이런 자료들도 감괘가 단순히 사랑과 결혼에 대한 점술이었다는 것을 증명한다. 상박초간 『주역』과 마왕퇴백서 『주역』의 감괘 효사 및 현행본 함괘 효사를 비교분석해보면 상박초간본 → 마왕퇴본 → 현행본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주역』 텍스트가 많은 변화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한편 『순자』 「대략(大略)」편, 현행본 『주역』 「단전(彖傳)」은 함괘의 주제를 남녀 간의 사랑과 결혼에서 추상화하여 부부의 도, 나아가 음양 ‘이기(二氣)’의 철학으로 확대한다. 이러한 확대는 결국 자연철학 방면으로는 세계, 우주를 구성하는 ‘이기’의 감응에 의한 만물생성론을, 인간사회 방면으로는 성인의 감화를 통한 천하화평을 주장하는 데에까지 나아간다. 「서괘전」도 함괘를 ‘부부의 도리’로 보고 이에 기초하여 부자, 군신, 상하, 예의로까지 확대시킨다. 「서괘전」이 함괘를 서술할 때 ‘남녀’가 아닌 ‘하늘과 땅’으로 시작하고 있는 것은 「단전」의 논의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주적 질서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예의로 귀결을 맺는 것은 철저한 유가적 사유로, 따라서 「서괘전」이 만들어진 시점에서 『주역』의 유교경전화는 이미 완성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청화간 『서법』의 특징과 그 역학사적 의의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5

        This paper conducts a basic study on the Shifa(筮法) as found in Tsinghua Bamboo-slips(淸華大學藏戰國竹簡). As widely known, the Tsinghua slips are a summary of the slips that were first illegally excavated and later collected by Tsinghua University in 2008. The contents of Tsinghua Shifa was unknown, and it received much attention since its first revelation in many aspects such as its ancient Yixue(易學) and fortune-telling method, its Zhouyi,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Yishu(易書). In Shifa there are several Guahua, hexagram names, and zhanci(占辭). All of the Guahua is arranged in a way that two hexagrams form one set. However, there is only the name of the trigrams(八卦, bagua), and the names of the hexagrams are missing. The name of the Bagua seems to be related with Zhouyi, Guicang(歸藏), and so on. The order of these Gua is related to the Shuoguazhuan(說卦傳). The entire content can be categorized into 30 sections, and the contents Zhanci can largely be divided into 17 topics. The expression of the Zhanci share similarities with Zhouyi’s Guashaoci(卦爻辭), and therefore provide clues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heng(亨), xiang(享, 亯), zhen(貞)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dditionaly, through the content of the Zhanci, we can see that the Guahua is recognized by four locations, meaning two sets of hexagram is understood by four sets of trigram. Several portion of the content of the Zhanci and siweibiao(四位表), renshentu(人身圖), guaweitu(卦位圖) are related to the Shuoguazhuan. Through this,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Zhouyi’s current version can be further understood. The Tsinghuajian Shifa is not only valuable data that can identify ancient fortune-telling culture and philosophy, but it also provides important clues to the research of other discoveries including Zhouyi and Guicang. 이 논문은 淸華大學藏戰國竹簡 『筮法』을 소개하고 그 내용을 『주역』을 비롯한 전국시대 역서와 비교하여 초보적 고찰을 실시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청화간은 2008년 청화대학이 입수한 죽간들로 도굴되었던 것을 입수하여 정리한 것이다. 청화간 『서법』은 그 내용이 전해지지 않은 古佚書로 공개되었을 때부터 고대 易學 및 점법, 『주역』 혹은 기타 易書와의 관계 등의 측면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서법』에는 다수의 괘획과 괘명, 점사가 있는데, 모든 괘획은 두 개의 6획괘가 하나의 세트를 이룬 兩卦一組로 되어 있다. 괘명은 3획괘 즉 八卦의 이름만 보이고 6획괘 즉 64괘의 명칭은 보이지 않는다. 8괘의 명칭은 『주역』, 『귀장』 등과 관련성이 보인다. 괘의 순서는 『주역』 「설괘전」의 소위 乾坤六子설과 관련이 있다. 전체 내용은 30절로 구분되며 점사의 내용은 크게 17개 주제로 나뉜다. 점사의 표현은 『주역』의 괘효사와 유사한 부분이 있어, ‘亨’, ‘亯(享)’, ‘貞’ 등이 전국시대에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실마리를 주고 있다. 또 점사의 내용을 통해 괘획을 사위법에 의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것은 두 개의 6획괘를 좌우상하의 4개의 3획괘(팔괘)로 파악하는 방식이다. 점사의 내용과 「사위표」, 「인신도·괘위도」 등에는 『주역』 「설괘전」과 관련되는 부분이 적지 않다. 이를 통해 현행본 『주역』의 역전부분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추찰할 수 있다. 청화간 『서법』은 고대 점술 문화, 역학 사상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주역』, 『귀장』 및 출토문헌 점서들의 연구에도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청화간 『서법』과 고대중국의 역학(易學)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1

        This paper explores diverse aspects of divination and yixue 易學 shown in the Shifa of Tshinghua University bamboo slip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Section 25 “Tiangan yu gua 天干與卦,” Section 27 “Dizhi yu gua 地支與卦,” and Section 28 “Dizhi yu yao 地支與爻” on Shifa of Tshinghua University bamboo strips assign eight trigrams and number hexagrams (shuzigua 數字卦) to ten Heavenly Stea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which are related to “Tianwen 天文” of the Huainanzi 淮南子 and “Xuanshu玄數” of the Taixuan 太玄, Han Dynasty texts. In other words, these sections in the Shifa show that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Han Dynasty texts had existed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Moreover, there is a reference to the principle of correlating the stems (najia 納甲), which is a representative yixue theory of Han dynasty’s xiangshuyi 象數易. Previously, it was believed that the theory of correlating the stems was originated from Meng Xi 孟喜 and Jia Yanshou 焦延壽 and prospered through Jing Fang 京房, and developed through the Zhouyi Cantongqi 周易參同契 and Yu Fan 虞翻’s Zhouyizhu 周易注. However, this paper finds out that the origins of correlating the stems shown in Jing Fang yixue and matching the stems to the moon’s body (yueti najia 月體納甲) shown in Yu Fan yixue had existed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by analyzing the Shifa. 이 논문은 청화간(淸華簡) 『서법(筮法)』에 담겨 있는 전국시대 역학 및 점술에 대하여 한대 역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 고찰하고, 아울러 기존 연구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몇몇 문제들을 새롭게 논증한 것이다. 청화간 『서법』은 2008년 칭화대학이 입수한 전국시대 죽간에 포함된 문헌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던 고대의 『역(易)』이다. 그 문헌적 성격이 『주역』과는 다르며 따라서 아직까지도 내용의 대부분이 미해결인 채 남아있다. 청화간 『서법』 제25절 「천간여괘(天干與卦)」, 제27절 「지지여괘(地支與卦)」, 제28절 「지지여효(地支與爻)」는 8괘 및 숫자괘를 십간십이지에 배당시키고 있는데 이는 한대(漢代)의 문헌인 『회남자』 및 『太玄』과 연관성을 엿볼 수 있다. 즉 『서법』은 한대 상수역학의 사상적 배경이 전국시대부터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더구나 『서법』 속에는 한대 상수역의 대표적 역학 이론이라 할 수 있는 ‘납갑법(納甲法)’과 관련된 내용이 있다. 지금까지는 납갑 이론이 경방(京房)에 의해 대성되었고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 및 우번(虞翻)의 『주역주』를 통해 발전되었다고 여겨져 왔지만, 『서법』을 통해 경방역의 ‘납갑법’과 우번의 ‘월체납갑(月體納甲)’의 모태가 전국시대부터 존재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서법』 제30절 「십칠명」에서는 설시법(揲蓍法)을 묘사한 문장이 있는데, 고대 『역』의 설시법이 ‘늑(扐)’ 즉 손가락 사이에 시초를 끼우는 점법을 사용했음을 알려준다. 아울러 이 설시법은 『주역』 「계사전」 대연지수장과의 관련성에서도 주목된다. 제12절 「남녀」에 호체를 연상하게 만드는 문장이 보이는 점도 흥미를 자아내는 부분이다. 청화간 『서법』의 발견으로 인해 선진시대의 『역』 이론에 대해 새롭게 살펴볼 수 있는 길이 열렸으며, 지속적이고 더 뛰어난 후속 연구를 통해 미해결인 채 남아있는 청화간 『서법』의 수수께끼들이 해명되어 나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역류 출토문헌을 통한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0

        이 연구는 출토문헌을 통하여 고대 『주역』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괘획, 괘서, 사상적 내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중심을 두고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은상시기 출토자료의 역괘 및 전국시대 숫자괘들을 통해 숫자괘를 함부로 『주역』의 괘로 환원하여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전국시대까지는 여전히 숫자괘를 사용하는 역점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와 ‘━’의 두 가지 부호를 사용하는 『주역』과 함께 통용되고 있었다. 둘째, 상박초간 『주역』, 마왕퇴백서 『주역』, 청화간 『별괘』, 왕가대 『귀장』을 살펴보면 전국시대에는 『주역』의 괘서가 적어도 2종 이상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결국 전한 문제 시기 이후 하나로 통일되어 전승되었다고 생각된다. 셋째, 마왕퇴백서 『역전』, 「이삼자문」과 「단전」 그리고 마왕퇴백서 『역전』, 「목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삼자문」의 성립은 『순자』, 「非相」과의 비교를 통해 이미 『순자』 이후라는 것이 논증되었다. 따라서 「이삼자문」을 보다 발전시킨 논리를 지닌 「단전」은 전한 문제기 이후에 성립되었을 것이다. 마왕퇴백서 『역전』의 내용은 방대하며 하루아침에 성립되었다고 보기 어렵지만, 그 속에는 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여러 제자백가의 사상이 융합되고 있다. 이 같은 종합적 저작이 한나라가 등장하자마자 갑자기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은 무리한 추정일 것이다. 오히려 전국시대 말기부터 서서히 형태를 잡아가고 있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역전』의 저술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다. This is to stud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Zhouyi through the Bamboo-Silk Manuscripts. The Zhouyi will be studied with at three points of view – guahua, guaxu and ideology. First, proving that the numerical symbols can not be replaced with gua at the Zhouyi. Also, yizhan(易占) using the numerical symbols had been coexisted with the Zhouyi which is using the two symbols – ‘’ and ‘ㅡ’ until the Warring States period. Second, it can be found at the Shangbochujian(上博楚簡) Zhouyi, Mawangdui Zhouyi, Qinghuajian(淸華簡) Biegua(別卦), Wangjiatai(王家臺) Guicang(歸藏). That there were two types of guaxu(卦序) of the Zhouyi at the Warring States period. It seems that these two types of guaxu(卦序) were merged and passed after the Han Dynasty. Third, it has been proved that Tuanzhuan(彖傳) had been made by Confucian by analyzing that Mawangdui Boshi through historical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