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출 방법에 따른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우정향(Jeong Hyang Woo),신소림(So Lim Shin),장영득(Young Deug Chang),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3

        항산화 활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되는 남구절초(Dendranthema zawaskii var. yezoense)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지상부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출수율은 두 종 모두 초음파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환류냉각추출물보다 1.11?¹.92배 증가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초음파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함량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코스모스에서 80.70㎎ · g?¹ DW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남구절초에서 50.41㎎ · g?¹ DW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가 없거나 환류냉각추출물이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며, 환류냉각추출한 코스모스 지상부 추출물의 소거능(RC??=0.135㎎ · mL?¹)이 가장 우수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남구절초와 코스모스 모두 초음파 15분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각각 RC??=0.159, 0.139㎎ · mL?¹). Fe²? chelating효과는 30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남구절초 지상부에서 가장 높았다(RC??=0.803㎎ · mL?¹). 남구절초 지상부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환류냉각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코스모스 지상부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45분 동안 초음파추출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 식물 종과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추출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op part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DZY) and Cosmos bipinnatus (CB) are believed to contain substances with antioxidant effects and activity. Present experiments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an adequate and efficient extraction method which ensures the highest yield of antioxidant components. Extraction yield was 1.11-1.92 times higher by ultrasonic method than other methods in both species. By 45 minute ultrasonic extraction, total polyphenol contents reached the highest level, 80.70 ㎎ · g?¹ tannic acid equiv./DW in Cosmos bipinnatu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50.41 ㎎ · g?¹ naringin equiv./DW in DZ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most the same among extraction methods or slightly higher in reflux extraction.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was observed by reflux extract in CB (RC??=0.135 ㎎ · mL?¹).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by 15 minute ultrasonic wave in DZY and CB, RC ??=0.159 ㎎ · mL?¹ and RC??=0.139 ㎎ · mL?¹, respectively. High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were obtained by 30-minute ultrasonic wave in DZY (RC ??=0.803 ㎎ · mL?¹). Extracts of top parts of DZY obtained by reflux method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effect against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extract of CB obtained by ultrasonic for 45 minutes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effect. In conclusion, optimum extraction metho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and antioxidant substances.

      • KCI등재

        국화과 Chrysanthemum 속 식물 3종의 항산화 효과

        우정향(Jeong Hyang Woo),신소림(So Lim Shin),정헌상(Heon Sang Jeong),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 추출한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shoot)의 페놀성 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은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국화잎줄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Fe²? chelating 효과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국화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마가렛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BHT보다 억제활성이 낮았다. 연구의 결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은 페놀성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금속이온 chelating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다소 낮으므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develop a natural antioxidant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flower and shoot extracts of Chrysanthemum frutescens,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ssp. naktongense were obtained and their phenolic compound contents, scavenging effects on DPPH and ABTS radical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and inhibition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were studied. Shoots of C. morifolium showed the highest levels in all above mentioned analyses. Especially, shoot extract of C. morifolium had high scavenging activities on ABTS radicals, similar to ascorbic acid or BHT.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the lowest in a C. morifolium shoot extract, but the highest in a C. morifolium flower extract. Inhibition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was the highest with C. frutescens and C. morifolium shoots, but activity was lower than BHT. From present study, a shoot extract of C. morifolium is demonstrated as a valuable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antioxidant. However, due to its low levels of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and inhibition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a combination of other antioxidants with C. morifolium extract is recommend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antioxidant.

      • KCI등재

        기생초 꽃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우정향(Jeong Hyang Woo),정헌상(Heon Sang Jeong),장영득(Young Deug Chang),신소림(So Lim Shin),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1

        본 연구는 기생초 꽃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하여 시행하였다. 기생초 꽃의 조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및 물로 용매별 순차분획하였다. 순차별 분획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n-butanol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건조시료 1g당 각 643.67, 318.47㎍ · g?¹의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각각의 RC??은 0.063㎎ · mL?¹ and 0.072 ㎎ · mL?¹으로 나타나 BHT보다 효과적이며 ascorbic acid와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n-butanol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RC??은 각 0.101, 0.109㎎ · mL?¹이었다. 따라서 기생초 꽃은 매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써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Coreopsis tinctoria flowers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Flowers of C. tinctoria were solvent fractioned stepwise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In n-butanol fraction, soluble solid yield was the highest.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whose RC?? was 643.67 ㎍ · g?¹ and 318.47 ㎍ · g?¹,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shown in ethyl acetate fraction whose RC?? was 0.063 ㎎ · mL?¹ and 0.072 ㎎ · mL?¹, being even more effective than BHT and similar to ascorbic acid. Next was n-butanol with hig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hose RC?? was 0.101 ㎎ · mL?¹ and 0.109 ㎎ · mL?¹,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flowers of C. tinctoria have high antioxidant effect and thus have high potential as good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 KCI등재

        국화과 식물 중 꽃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우정향(Jeong Hyang Woo),신소림(So Lim Shin),이철희(Cheol 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국화과 15종 식물 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e²?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식물 유래의 항산화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저먼캐모마일 꽃,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코스모스의 꽃에서 가장 높았으며, 미국쑥부쟁이의 꽃과 수리취 꽃봉오리의 페놀성 물질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알프스민들레의 꽃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높았으며, BHT보다 1.14배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저먼캐모마일 꽃과 수리취 꽃봉오리의 추출물에서 우수하였으며, 각각 ascorbic acid보다 1.9, 1.2배 높고 BHT보다 2.1, 1.3배 높은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Fe²? chelating 효과는 저먼캐모마일꽃에서 가장 높았으나, EDTA의 chelating 효과보다 극히 낮았다. 32일 동안 4일 간격으로 추출물의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저먼케모마일과 톱풀의 꽃 추출물은 BHT보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우수하고, 32일까지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유지되어 장기간 동안 지질과산화를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각시취와 수리취의 꽃 추출물도 BHT보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우수하고 지속기간도 길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식물 종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목적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맞는 식물종을 선택하여 항산화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new antioxidants from EtOH extract of flower resources of Compositae plant concern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and ABTS radical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and inhibition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EtOH extracts from Matricaria recutica, Cosmos bipinnatus, Synurus deltoides, and Aster pilosus showed higher level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C. bipinnatus. However, scavenging activity on DPPH radicals was the highest in EtOH extract of Hieracium pilosella -1.1 times higher than BHT control. The activity on ABTS radical scavenging was the highest in EtOH extracts of M. recutica and S. deltoides-2.0 and 1.2 times higher than ascorbic acid, and 2.2 and 1.3 times higher than BHT, respectively.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was also the highest in M. recutica, but the level was much lower than EDTA. Inhibition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measured at every 4 days for 32 days, was superior and longer lasting with M. recutica and Achillea alpina, compared to that of BHT. In conclusion, antioxidant activ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species, so selection of proper plant species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antioxidant is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