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저장전략 비교연구 –물리적·사회적 저장전략을 중심으로–

        우정연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5 No.-

        In previous studies subsistence economy between the Early Bronze Age (EBA) and Middle BronzeAge (MBA) in the Hoseo region has been conceptualized in a rather dichotomic manner, in terms ofextensive farming in the EBA and intensive farming in the MBA. Subsequently, little attention hasbeen paid to the possibility that diverse forms of buffering mechanism for food shortage were used invaried ways as to the local history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the Garakdong, Yeoksamdong, andSonggungni assemblage-clustered areas between the EBA and MBA. Especially, we need to take into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that not only‘ physical storage’but also‘ social storage’was adopted byEBA and MBA agents in the region. With the above in mind, this paper looks at how those two storage strategies were drawn upon,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and material cultural contexts of each area. As a result, it is argued thatin the Yeoksamdong assemblage-clustered area, where most settlements were located on high hills,short-term small-scale storage strategies were preferred as they could be usefully applied toimmediate local situations of food shortage. In the Songgungni assemblage-clustered area, the centreof wet-field rice-farming in the Hoseo region requiring long-term investment in and commitment toland, long-term large-scale storage strategies involving Songgungni-type burials were deployed. Finally, in the Garakdong assemblage-clustered area, where a variety of resources were exploited,different storage strategies seem to have been used in different settlements.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전–중기 생계방식에 대한 기존 연구는 중기의 수도작 확산 현상에만 초점을 두어 그와 함께 강화되었을 흉년 대비책에 대해서는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또 주거지 내외의 저장시설을 이용한 식량자원의 물리적 저장과 함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일년 이상 식량자원을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선사시대 농경사회에서 현재의 가용 식량자원을 사회적 거래를 통해 미래의 의무 또는 채무로 전환하는 전략인 사회적 저장이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측면에서 유용하게 쓰였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호서지역에서 특징적인 시공간적 분포를 보이는 가락동유형 중심권(A권), 역삼동유형 중심권(B권), 송국리유형 중심권(C권)의 물질문화적·자연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당시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한 물리적 저장시설로 쓰였을 수혈유구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을 사회적 저장과정에서 중요한 물적 매체로 쓰였을 수 있는 무덤의 출현 양상과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B권에서는 사회적 저장 방식의 측면에서든 물리적 저장 방식의 측면에서든 거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진 장기간 저장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수도작보다는 사냥이나 화전농경에 적합한 고지형에 입지한 B권 취락주민들은 그때그때의 식량 부족 위험 상황에 맞추어 미시적인 수준에서 자율적·융통적으로 대처하는 저장 전략을 선호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장기적인 운용을 목적으로 상당한 물적·인적 자원을 투자하여 수전을 만들고 관리하였던 C권 주민들은 유지 비용은 높지만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안정적인 사회적 저장 전략이 필요했고, 그러한 과정에서 동원된 중요 정치경제적 자원 중 하나가 C–(2)권에 여러 기씩 군집을이루며 밀집해 있는 송국리형 무덤이라고 해석된다. A권에서는 취락 간 수혈유구의 깊이 차이가 크고, B권이나 C권에서와 달리 구릉지대뿐만이 아니라 충적대지에도 취락이 입지하며, 어망추 출토율이 B권이나 C권에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 등에서, 이 권역에서는 취락 집단 간 다양한 생계 방식이 채택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흉년 대비책 및 저장 전략이 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錦江中流 松菊里型무덤의 象徵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우정연 호서고고학회 2011 호서고고학 Vol.0 No.25

        Songgungni-type burials, as defined by S-O Kim (2001),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the emergence of complex societies of a new level. Nevertheless, little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symbolic meanings of Songgungni-type burials in a systematic way. Hence this paper re-conceptualizes Songgungni-type burials and their burial attributes as part of a structural whole having its own rules and codes in the representation of symbolic meanings. It is then examined what symbolic meanings those attributes may have represented as part of a structural whole. For that purpose, this paper looks at the mid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where Songgungni-type burials are forming a set and most densely clustered in Korea. In analysis, six burial attributes (placement, orientation, grave type, floor type, grave size, and grave goods) are introduced as main variables constitutive of Songgungni-type burials in the research region. After comparing the association of these six attributes with one another and with other material data in the region, it is found that each attribute is composed of a two- or three-fold set of codes which can flexibly represent various interdependent categories. 2000년대 초 구체적으로 정의된 금강유역 송국리형 무덤(김승옥 2001)은 이전의 복합사회와는 뚜렷이 구분되는 새로운 수준의 복합사회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금강유역 중에서도 송국리유적이 위치해 있는 금강중류 남부는 송국리형 무덤이 세트를 이루며 밀집해 있는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 송국리형 무덤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가 시도된 경우는 드물다. 특히, 송국리형 무덤을 구성하는 여타의 속성들과 분리하여 부장품만을 독립적인변수로 다루는 기존의 연구방식으로는, 송국리형 무덤을 구성하는 여러속성들이 서로 간에 맺고 있는 관계와 그 의미에 대해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금강중류 남부 송국리형 무덤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 주요 속성들(배치형태, 장축방향, 무덤종류, 바닥처리, 무덤크기, 부장품목)이, 구조적 전체의 일부로서 지녔을 수 있는 상징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구조는 인간 행위자들이 특정한 행위를 반복적으로 할 때 습관적·전략적으로 참조하는 규칙과 코드이다. 이러한 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로 인해, 구조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를 조직한다. 역으로, 인간의 행위를 통해, 기존 구조는 재생산되거나, 재해석되어 변화된다. 송국리형 무덤 속성들의 상징적 의미가 서로 다른 시공간적·사회적 맥락에 놓인행위자들에 의해 협상되었던 것도 일정한 규칙과 코드에 대한 참조를 통해서였을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틀에 기반하여, 위에서 소개한 여섯 가지 주요 속성들의 상징적 의미와, 이들이 구조적 전체의 일부로서 서로간에 맺고 있는 관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섯 가지 속성 모두 상호의존적인 여러 범주들을 융통적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복잡하게 얽혀있는 상호의존적인 실체들을 둘 또는 세 개의 범주로 나눈 후, 그러한 범주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하여 함께 표현해낼 수 있는-이·삼원적 코드의 세트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錦江中流域 松菊里文化段階 社會의 威信構造에 대한 試論的 考察

        우정연 한국고고학회 2012 한국고고학보 Vol.84 No.-

        Previous studies of Songgungni-assemblage societies tend to reduce various social dimensions of Songgungni-assemblage materials to the problem of social stratification. In opposition to that tendency,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prestige and value structures of Songgungni-assemblage societies in the mid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where diverse elements of the Songgungni assemblage are clustered as a set. For the purpose of this, distributions of material resources and ways of interacting in daily settings were compared with ways in which mortuary categories are represented. As a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while succeeding in inter-group alliances based on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intra-groups was widely sought in sites near Songgungni, complementing and balancing different individuals and groups was highly valued in other sites.

      • KCI등재

        錦江中下流 松菊里型무덤의 巨視的 傳統과 微視的 傳統에 대한 試論的 考察

        우정연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79 No.-

        Since Songgungni-type burials were first formulated by S-O Kim, there have been few contextual studies of these burials. In previous studies, material patterns in macro contexts are thought of as a simple summation of material variations in micro contexts, while material variations in micro contexts are regarded as a simple exemplification of or exception to material patterns in macro contexts. In opposition to these decontextualised approaches to burials, this paper examines how material patterns in macro contexts, defined as traditions, are maintained or modified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burial attributes in micro contexts. For that purpose, this paper looks at the mid-lower stream of the Gum River basin where Songgungni-type burials are clustered as a set. Six burial attributes are introduced as those constitutive of Songgungni-type burial traditions in this region. It is then compare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between macro and micro contexts. As a result, a major difference is found between burial sites near the Songgungni site and those away from it. In the former sites, burial attributes are associated in hierarchical ways to represent seq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burials. In the latter sites, burial attributes are associated in localised and circumscribed ways to represent complementary categories. This difference is interpreted as a difference in exercising power through burials.

      • KCI우수등재

        신라 부착토우 부장 무덤 연구 — 5-6세기 경주 중심지역 무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정연 한국고고학회 2019 한국고고학보 Vol.0 No.111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rtistic characteristic and symbolic meaning of clay figurines attached to Silla pottery. On the other hand, it was almost impossible to study the archaeological contexts where such figurines had been found, for lack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proper excavation reports. It wa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a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ose clay figurines and their archaeological contexts was provided through the recently published excavation report of the Jjoksaem site in central Gyeongju. By comparing the Jjoksaem site with previously roughly reported sit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ypological, temporal and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two different kinds of tombs where such clay figurines were buried as grave goods, namely, the wooden chamber tomb covered with a stone and earthen mound and the stone lined tombs. As a result, a series of differences in the typology and chronology of those burials, and the social status of those buried in the burials a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화장묘 형식 재검토

        우정연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5

        An increasing number of cremated bones or remains are being excavated and reported in South Korean Bronze Age burials. Under these circumstances, more systematic approaches to cremation burials and practices have been made.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heavily focused on structural features of cremation burials, often dismissing varying contents of cremated remains from structurally similar cremation burials. In view of this, I carefully went through excavation reports of cremation burials, paying close attention not only to structural features of cremation burials but also varying contents of cremated remains from those burials. Based on the result, I largely divided cremation burials into four types, and then examin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the four types within and between sites. It revealed that cremation buria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dolmens across South Korea. By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bout mortuary practices in the contexts of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nd emerging social complexity, I understood the close association of cremation burials with dolmens as an indication of the situation where relational, collective identities symbolized by dolmens were more valued than ephemeral, individual identities represented by cremation burials.

      • KCI등재

        남한 지역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무덤과 몸의 가분성(dividuality)

        우정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한국학 Vol.46 No.4

        남한 지역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무덤 출토 인골자료의 증가와 함께 2010년대 이후 한국고고학에서도 인골자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 결과와 관련 물질문화에 대한 해석을 종합하여 당시의 사람과 사회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위계 또는 정체성에서 출발하는 기존의 접근 방식으로는 무덤과 몸 처리 방식에서 관찰되는 다양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이에 화장이나 매장 행위 자체뿐만이 아니라 화장이나 매장 전후의 시신 처리 관행에 대해서도 여러 연구가 이루어진 유럽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참조하여 현대적인 형태의 불-가분적인(in-dividual) 개인 대신 가분적이고(dividual) 관계적인(relational) 존재로서의 사람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할 것을 제안한다. A growing body of skeletal evidence from South Korean Neolithic to Bronze Age burials has stimulated more empirical approaches to studies have South Korean prehistoric people and societies. However, existing they posit fundamental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people as the “in-dividual” as an essential building block of societies across time and spa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 view of prehistoric people as dividual and relational beings is suggested by referring to comparable European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