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산배수 자연정화시설 내 버섯퇴비의 중금속 흡착능력 평가

        용보영,조동완,정진웅,임길재,지상우,안주성,송호철,Yong, Bo-Young,Cho, Dong-Wan,Jeong, Jin-Woong,Lim, Gil-Jae,Ji, Sang-Woo,Ahn, Joo-Sung,Song, Ho-Cheol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1

        휴 폐 광산으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는 낮은 pH와 다량의 중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어 지하수·하천 오염 및 주변 환경 파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정화시설에서 기질물질의 흡착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버섯퇴비에 의해 광미로부터 용출된 중금속이 흡착 처리 되는 과정에서 황산염환원균의 영향을 파악하였고, $Cd^{2+}$, $Cu^{2+}$, $Pb^{2+}$, $Zn^{2+}$을 포함한 인공 광산배수와 버섯퇴비를 반응시켜 중금속 흡착 처리 효율 평가 및 등온흡착곡선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광미에서 용출된 Mn은 미생물 혹은 흡착에 의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Zn의 경우 황산염환원균에 의한 제거 기작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Fe는 미생물을 제거한 경우보다 미생물이 존재할 경우 다량의 Fe가 용출되었으며 이는 철환원박테리아가 $Fe^{3+}$를 소모함에 따라 Fe를 포함한 광물이 용해되어 용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버섯퇴비 투여 시 산화환원전위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와 pH 측정을 통해 환원 환경 및 중성 환경이 조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인공 광산배수를 사용한 흡착실험결과 pH 6 조건에서 버섯퇴비의 중금속 흡착 효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pH 3 조건에서는 보다 낮은 흡착 효율을 보였다. Acid mine drainage (AMD) from abandoned mine sites typically has low pH and contains high level of various heavy metals, aggravating ground- and surface water qualities and neighboring environ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removal of heavy metals in a biological treatment system, mainly focusing on the removal by adsorption on a substrate material. Bench-scale batch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 mushroom compost to evaluat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leached out from a mine tailing sample and the role of SRB in the overall removal process. In addition, adsorption experiments were perform using an artificial AMD sample containing $Cd^{2+}$, $Cu^{2+}$, $Pb^{2+}$ and $Zn^{2+}$ to assess adsorption capacity of the mushroom compost. The results indicated Mn leached out from mine tailing was not subject to microbial stabilization or adsorption onto mushroom compost while microbially mediated stabiliz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moval of Zn. Fe leaching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microbes as compared to autoclaved samples, and this was attributed to dissolution of Fe minerals in the mine tailing in a response to the depletion of $Fe^{3+}$ by iron reduction bacteria. Measurement of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and pH indicated the reactive mixture maintained reducing condition and moderate pH during the reaction. The results of the adsorption experiments involving artificial AMD sample indicated adsorption removal efficiency was greater than 90% at pH 6 condition, but it decreased at pH 3 condition.

      • KCI등재

        혐기 혼합균주에서 황산염 농도변화에 따른 수소 발효 특성

        황재훈(Jae Hoon Hwang),최정아(Jeong A Choi),이종학(Jong Hak Lee),정태영(Tae Young Jeong),차기철(Gi Cheol Cha),송호철(Ho Cheol Song),용보영(Bo Young Yong),김동진(Dong Jin Kim),전병훈(Byong Hun Jeon) 大韓環境工學會 2009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1 No.6

        황산염의 농도변화에 따른 연속 혐기성 수소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서 혼합균주를 사용한 완전 혼합형 반응조를 운전하였다. 기질은 글루코오스를 사용하였고, 수리학적 체류시간은 1, 0.5, 0.25 일로 각각 고정하였다. 황산염 농도는 0~20,000 mg/L로 단계별 증가시켰고 pH 5.5로 운전하였다. 실험 결과 높은 황산염 농도에 관계없이 수소가 발생하였고, HRT 0.25일로 짧아짐에 따라 수소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HRT 1, 0.5, 0.25일 각 조건별 수소 생성량과 수소 수율은 2.9, 4.6, 9.4 L/day, 2.0, 1.8, 1.6 mol H₂/mol glucose로 나타났으며, 잔존 황산염 96~98, 95~97, 94~97%로 나타나 황산염 환원이 발생하지 않았다. FISH 결과 모든 조건에서 수소생성균의 분포는 나타났지만 황산염환원균의 분포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effect of varying sulfate concentration on continuous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was studied using enriched mixed microflora in continuously fed reactor. Glucose was used as a model substrate for carbohydrates,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was maintained at 1, 0.5, 0.25 day, respectively. Sulfate concentration was 0~20,000 mg/L and the operating pH was maintained at 5.5.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hydrogen production is not affected by high sulfate concentration and shorter HRT of 0.25 day enhance hydrogen production. At HRT 1, 0.5, 0.25 day, the hydrogen production rate and hydrogen yield were 2.6, 4.6, 9.4 L/day, and 2.0, 1.8, 1.6 mol H₂/mol glucose, respectively. Residual sulfate content was 96~98, 95~97, and 94~97% at HRT 1, 0.5, 0.25 day which show that no sulfate reduction occurred in the reactor during the experiments. Results of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HPB (hydrogen producing bacteria)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However, SRB (sulfate reducing bacteria) were not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