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가 제국을 흔들었을까?

        이사하야 요이치(Isahaya Yoichi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23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0

        이 논문은 중세 기후 이상기(약 800~1260년)에서 소빙하기(약 1550 ~1910년)로의 사회적-기후적 전환의 맥락에서 몽골제국(1206~1368년) 의 역사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몽골에서 부족 세력을 통합한 칭기즈칸(재위 1206~27년)은 몽골의 우기 15년(Mongol Pluvial, 1211~25년)이라는 유리한 기후 조건 아래 중국 북부, 간쑤 회랑 지대, 중앙아시아로 이어지는 일련의 군사 원정에서 성공했다. 몽케가 사망할 무렵(재위 1251~59 년) 몽골제국은 중앙 유라시아의 거의 모든 초원지대를 통치했다. 제국의 영토 근처에 더 이상 광활한 대초원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환경조건은 몽골이 한족 해군을 통해 생태적 어려움을 극복한 남중국을 제외하고는 몽골의 추가 침략을 막는 장벽으로 작용했다. 1279년 남송이 멸망한 이후 제국은 더 이상의 확장을 멈췄고, 이후 통합제국은 4개 지역의 칸국/울루스로 해체되었다. 이 논문은 위에서 언급한 지형적 제약뿐만 아니라, 특히 1270년대부터 유라시아 규모에서 가시화한 기후변화의영향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란의 일칸 제국(1256~1357년)에서는 아바카(재위 1265~82년)가 사망하고 가잔(1295~1304년)이 즉위하기까지의 시기가 불안정한 시기로 기록되어 있다. 러시아의 킵차크 칸국(1240 년경~1359년 이후)도 몽케 테무르(재위 1266/67~82년) 통치 이후부터토크타(재위 1291~1312년)가 왕위에 오를 때까지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중국 원나라의 경우, 쿠빌라이의 통치(재위 1260~94년)가 황후 차브이의 죽음(1281년)을 계기로 상당한 난관에 부딪히는 동안, 쿠빌라이의 강력한 맞수였던 중앙아시아의 카이두(재위 1271~1301년)의 권력은1280~90년대에 정점에 다다랐다. 이 논문은 유라시아 규모의 기후변화라는 관점에서 1270~80년대에 초점을 맞추어 몽골제국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려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1206– 1368) in the context of the socio-climatic transition from the Medieval Climate Anomaly (ca. 800–ca. 1260) to the Little Ice Age (ca. 1550– ca. 1910). After consolidating tribal powers in Mongolia, Chinggis (r. 1206–27) succeeded in a series of military expeditions to Northern China, the Gansu Corridor and Central Asia under a favorable climatic condition called the 15-year Mongol Pluvial (1211–25). By the time of the death of Möngke (r. 1251–59), the empire ruled over almost all of the steppes in Central Eurasia. No more vast steppes existed next to the imperial territories. Such environmental conditions acted as barriers against the further Mongol invasion except for South China, where the Mongols overcame the ecological difficulty by means of the Han navies. Since the fall of the Southern Song in 1279, the empire stopped its expans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dissolution of the united empire into the four regional khanates/uluses. This paper attempts to calibr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which became tangible in Eurasian scale especially from 1270s,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topographical constraints. In the Ilkhan Empire(1256–1357) in Iran, the period from the death of Abaqa (r. 1265–82) to the coronation of Ghazan (r. 1295–1304) is marked with instability. The Khanate of the Golden Horde (ca. 1240–after 1359) in Russia was also in the political disturbance after the reign of Möngke-Temür (1266/67–ca. 82) to the time when Toqta (r. 1291–1312) ascended the throne. In the case of the Yuan dynasty in China, Qubilai’s reign (r.1260–94) suffered a remarkable setback with timing of the death of the empress Čabui (d. 1281), while Qaidu (r. 1271–1301)—Qubilai’s formidable adversary—reached the height of his power in 1280s–90s in Central Asia. This paper is to shed a new light on th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 by focusing on 1270s to 80s from the standpoint of Eurasian-scale climat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인과 ‘일본회귀’: 아사노 아키라(浅野晁)의 전향과 조선의 소거

        히로세 요이치(廣瀬陽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3 No.-

        本論の目的は日本人の「日本回帰」がどこへの回帰であるかを、<大東亜戦争>最大 のイデオローグとして活躍した文芸評論家·詩人の浅野晃を取りあげて論じたもの である。 まず、浅野が1930年代に共産主義思想を放棄し、当時の日本でほぼ無名だった岡倉 天心を、<大アジア主義の先覚者>として創出していく過程を明らかにした。その際、 美術研究者や日本浪蔓派の同人たちの天心評価と比較することで、浅野が天心の「ア ジアは一つ」を、誰よりも単純な形で<大東亜戦争>の勝利を預言した言葉として読み かえることで、「日本回帰」したことを明らかにした。 その上で浅野の「日本回帰」が、植民地朝鮮への視座の捨象と表裏一体の関係にある ことを、1942年におけるジャワでの体験や、天心と彼の師であるフェノロサの、朝鮮 の文化に対する評価の差異を通じて示し、朝鮮の消去が「日本回帰」の鍵になったこと を指摘した。 最後に、敗戦後に浅野を断罪した左翼的な日本人文学者も、朝鮮をはじめ植民地の 人々に対する蔑視観を引きずっている点を指摘し、韓国の転向や<親日>研究から日 本人研究者が学ぶ意義を訴えた。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ntellectual and spiritual site to which the Japanese reverted when they ‘returned to Japanese Nationalism’ (Nihon Kaiki) in the context of Akira Asano, the Japanese literary critic and poet who was the founder and primary proponent of the most significant nationalist ideology during the Greater East Asia War.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Asano abandoning his communist philosophy in the 1930s and of helping Tenshin Okakura, who was mostly unknown in Japan at that time, to become the pioneer of Pan-Asianism. By comparing this process with the views on Okakura of other art researchers and followers of the philosophy of Nihon Romanha, this paper also sheds light on how Asano achieved a ‘return to Japanese Nationalism’ by simply interpreting Okakura’s expression “Asia is one” as a prophecy of Japanese victory in the Greater East Asia War. Based on Asano’s experiences on Java island in 1942, and on the differences between Okakura and his teacher Fenollosa’s views on Korean culture, this paper shows that Asano’s ‘return to Japanese Nationalism’ constituted the abandoning of his original views on Korea under Japanese rule. Furthermore, the forced assimilation and marginalisation of Korean culture became the key to Asano’s renewed Japanese nationalism. Lastly, left-wing Japanese literary scholars, who condemned Asano after Japan lost the war, continue to look down on countries that were under Japanese rule, such as Korea. This paper challenges this perspective and offers reasons for Japanese researchers to learn more from Korean research on tenkō and from those who sympathize with Japan’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