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에 대한 평가지표 항목구축에 관한 연구

        왕휘휘,홍관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Recently, the vitality of local communities is being decreased due to numerous vacant houses generated by factors such as the hollowization of cities, exacerb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loss of placeness of houses. Hence, this research,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ies, aim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vacant houses and detailed items of the criteria to arrange references and theoretical basi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of vacant house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research contemplated upon relevant concepts and characteristic,regeneration value of placeness and community,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talization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ommunities and placeness. First, the researchers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through 6 dimensions (morphological dimension, perceptional dimension, societal dimension, visual dimension, functional dimension and temporal dimension)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rom <City Design> by Matthew Carmona. Subsequently, the study organized the detailed items for the placeness evaluation criteria for vacant houses within local communities by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Lastly, for the detailed items above, research was done by 15 experts through the Delphi method for 3 times, and after the items were derived, for scientific 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his research, while excluding the subjectivity and the emotional part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Delphi method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expert group, a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placeness of the local communities, 9 criteria: connectivity, identity, safety, aesthetic impression, diversity, accessibility, openness, convenience, publicness have been derived, and 3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It is only possible to revitalize the communities, restore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and provide clear statistical data on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within the local communities if the state’s items are referred as standards. 최근 도시의 공동화, 생활환경의 악화, 집의 장소성 상실 등의 이유로 도시에 빈집이 급증하면서 지역커뮤니티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와 세부항목을 구축하고, 빈집의 장소성 평가를 위한 참고기준과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빈집, 장소성과 커뮤니티의 개념 및 특성,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현황, 재생 가치와 장소성 간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Matthew Carmona가 제기한 <도시설계>의 6가지(형태적, 지각적, 사회적, 시각적, 기능적, 시간적) 차원을 분석하여 계층분석법(AHP)을통해 장소성의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특성을 정리한 후,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에 대한 세부항목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세부항목에대해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기법을 통해 15명의 전문가 조사를 진행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한 후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주관성과 감정적인 부분을 배제한 채 델파이 기법을 통해 전문가 그룹과 상호 작용하면서 지역 커뮤니티 빈집의 장소성 평가지표로 각각 연계성· 정체성· 안전성· 심미성· 다양성· 접근성· 개방성· 편리성· 공공성의 9가지와 33가지의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상술한 항목들을 참고기준으로 해야만 빈집의 장소성을 복구하여 지역 커뮤니티의 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 빈집 장소성의 명확한 통계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역사문화거리 빈집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중국 항저우 중산로를 중심으로-

        왕휘휘,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with the most concentrated urban cultural heritage, the development of both side streets is impac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ain street, which shows a gradual decline. The loss of placeness on both side streets has resulted in more empty houses. Therefore, it is urgent to pay attention and take countermeasures to the empty hous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blocks. In this study, the vacant houses on Zhongshan Road in Hangzhou, China were taken as the object of study to understand the location theory and the six dimensions of Matthew Carmona’s urban design. Meanwhile, it further analyzed the evaluative features of the placeness of the vacant houses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o provide direction and basis for the flexible using of other empty houses in Zhongshan Road. Then by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t obtained the importance scale of each evaluative feature and compared the evaluation results of experts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cases, getting the results as follows: In the flexible application of vacant hous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the evaluation result of placeness indicates that this kind of usage should be in order of societal level, perceptional level, functional level, morphological level, visual hierarchy and temporal level; among the evaluative features, security, identity, usability, individuality, aesthetics, connection, diversity, openness, continuity, accessibility, order and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in turn. 도시의 문화유산이 가장 집중된 역사문화거리의 중심가에 비해 주변 거리의 발전은 점차 쇠퇴하는 상황을 보이고 있으며 장소성 역시 상실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빈집이 발생함에 따라 역사문화지구 내 빈집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중국 항저우 중산로의 빈집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장소성 이론 및 Matthew Carmona의 도시 설계의 6가지(사회적, 지각적, 기능적, 형태적, 시각적, 시간적) 차원을 적용해 이해하고, 항저우 중산로에 있는 다른 빈집의 활용 방향과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역사문화거리에 있는 빈집의 장소성 평가 요소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AHP 계층분석법을 활용하여 각 평가요소(6차원의 12가지)의 중요도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의 평가결과와 사례의 분석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역사문화거리의 빈집 활용의 장소성의 평가 결과, 12가지 평가 요소에는 안전성, 동일성, 사용성, 개별성, 심미성, 연계성, 다양성, 개방성, 연속성, 접근성, 질서성, 역사성이 차례대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도출되었다.

      • 장소기억에 기초한 산업유산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왕휘휘(Wang, Hui-Hui),홍관선(Hong, Kwan-S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3

        A large number of idle old industrial land is the witness to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 while the profound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rich industrial heritage are its own values. Due to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urban space, the old industrial area was blindly pushed over for reconstruction, which cut off the public memory identity and place context while the memory of the old industrial area was being erased.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adopt place memory to connect people with space. In addition, there are three parts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The first part is the theoretical part, which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cope. The second part is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hich concludes the concept, characteristics, memory and place memory of the old industry and industrial heritage, and analyzes the basic memory elements in the place memory, as well as summarizing the principles of industrial heritage reproduction design based on place memory. The third part is case analysis that dissects three typical cases of urban industrial heritage, and discusses how the regeneration based on place memory is used in industrial heritage. Finally, it concludes the expression of place memory in the industrial heritage, which can serve as reference for the resurrection of the industrial a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