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英BBC 교육재단 협력 마이크로비트 글로벌 챌린지

        오숙현(Sookhyun, Oh)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2(B)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은 英 BBC 마이크로비트 교육재단(Micro:bit Educational Foundation)과 함께 어린이와 청소년이 SW 정보기술을 즐겁게 다루며, 미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2021 마이크로비트 글로벌 챌린지>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챌린지는 9~19세 아동,청소년들이 챌린지를 통해 UN의 지속가능한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이해하고, 창의성과 SW 정보기술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주제와 방식, 튜토리얼 등을 구성하여, 전국 42개 지역의 약, 2,700명의 초, 중,고등학생의 참여를 지원하였습니다. SW정보기술 분야의 전문 교수와 현직 교사 10인으로 구성된 전문위이 정보교육의 본질적인 의미와 필요를 바탕으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운영 가능한 ‘해커톤’ 형식의 프로그램을 고안하였고, 프로그램과 교보재, 마이크로비트를 포함한 교구 일체를 제공하여 각 학급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또한, 전국적인 감염병 이슈로 인하여 비대면으로 운영 가능한 방식으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한 위클리 챌린지와 청소년의 온라인 커뮤니티 또한 제공하여 감염병 이슈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시기의 한국의 초, 중, 고등학생 청소년들이 글로벌 대회에 참여하여 국제적 감각을 갖추고 SW정보기술을 일상에 접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 발표는 2,700명 아동/청소년 참여자의 기록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을 이끈 교사들의 교육 방법론과 철학을 되짚어 보고, SW 정보기술을 처음 배우는 아이들이 미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 스스로 하고 싶고, 만들고 싶은 것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자들이 교육 방향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2015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미술 교과서 참고작품 분석 연구

        오숙현(Sookhyun OH)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1 마이너리티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대상으로 단원별 참고작품 수, 참고작품의 양식(평면, 부조, 입체), 내용 수준별로 제시된 작품의 수(기초, 주요, 심화), 작가(학생, 교사, 성인작가:외국, 국내) 등을 기준으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참고작품과 단원 목표와의 연계성, 표현 방법 및 재료의 적절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특수교육 초등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의 수는 총 563개이고, 5-6학년 미술 교과서의 참고작품 수가 3-4학년 미술 교과서의 참고작품 수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고작품의 양식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평면작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입체, 부조 순으로 나타났으며, 작품 제작자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국내작가, 외국작가,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초등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을 단원 목표와의 연계성, 표현 방법 및 재료의 적절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수정·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본교육과정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참고작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 다양한 기준으로 분석하는 연구, 참고작품이 특수교육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연구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reference work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reference work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per unit, the style of the reference works (flat, relief, three-dimensional), the number of works presented by content level (basic, major, advanced), and the artist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students, teachers, adult authors: foreign, domestic), etc.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nkage between the reference works and the unit goa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methods and material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rt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is a total of 563, and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in art textbooks for grades 5-6 is higher than the number of reference works for art textbooks for grades 3-4. An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 style of reference works, flat work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ree-dimensional and reliefs. appeared a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ference works contain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rt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ce to the unit goals, the appropriateness of expression methods and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se results, a study to find out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reference works contained in the art textbook of the basic curriculum, a study to analyze it based on various criteria, and a study to look into how the reference works are being us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ill be conducted. suggested the need.

      • KCI등재후보

        유아기 주도성(主導性) 형성교육 탐색 연구

        오숙현(Oh Sook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주도성 형성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기초로 그 의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탐석해 보는데 있다. 동서양 문헌고칠 결과 역사ㆍ철학적인 측면에서 인간의 삶은 자신의 주도적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우리의 전통적 아동중심시심에서도 유아기 주도성 형성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주도적 삶은 또한 가치지향적이어야 한다는 것에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교육적 차원에서 인식하고 접근하려는 대부분의 시도들은 유아기 주도성을 가치지향적 교육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단지 학습자로서의 유아의 주도적 역할만을 강조하는 경향이다. 따라서 유아기 주도성 형성 교육은 이러한 좁은 시야에서 탈피하여 보다 자신괴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율적으로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력 인내 할 수 있는 능력 등과 관련된 가치지향적 방향에서 설계되고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about the meaning, necessity and educational suggestions of initiativenes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from historical, philosophical, social, cultural,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From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dimen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es on the documents of the east and west about human life, initiative life is very important and all documents show a same viewpoint that initiative life must promote values (morality). Particularly, Korean traditional principles on children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n education of initiativeness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From social and cultural dimensions, in terms of children's social abilities, which is a center of attention today, initiativeness was found to be a crucial component. However, most of trials to perceive and approach initiativeness in educational viewpoint rather emphasizes instruction-learning area, such as 'Early Childhood Initiariveness Education', than to grasp it as value promoting education. Such reality could be also learned through a fact that even though important 'values', which must be promoted in human life, are presented in educational curriculum, we lack an effort to perceive and reflect them in education. Also in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dimension, it is a common knowledge that development of initiativeness in early childhood is an important assignment for development, which was also very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views on children. In conclusion, in human development, a stage of early childhood is a period to develop an ability to cooperate with others by leading their on life initiatively and actively. Therefore, such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initiativeness must be planned and practiced in a direction of promoting values related to an ability to perceive and control self and other's emotions, communication with others, voluntarily planning and performing certain actions, and endurance.

      •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일반유아의 장애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숙현(Sookhyun OH)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18 마이너리티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ole play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on non-disabled children’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y. For this purpose, 3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wo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in C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role-play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 whereas the comparative group listened to the stories of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The experiments were treated 12 times in total. First, role play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s percep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role play using disability-related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cceptance. This result can interpret that they have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disability by listening to the picture books with the information about disability and reconstructing it as role pl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icture book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est of children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accept disability well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일반유아의 장애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위치한 C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5세 2개 학급의 일반유아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장애 관련 그림책’을 동화로 들려주었다. 실험처치는 총 12회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 그림동화를 듣고 이를 역할놀이로 재구성하여 표현해 봄으로써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지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유아들이 장애를 잘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유아의 발달적 수준과 흥미에 적절한 그림책의 개발과 관련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명상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숙현(Sookhyun OH)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2 마이너리티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명상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G시에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원아 38명으로 실헙집단 19명, 비교집단 19명이다. 실험처치에 사용한 명상놀이는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20회기로 구성하였다. 실험처치는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주 2-3회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명상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일반적인 놀이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상놀이는 유아의 자아개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상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명상놀이가 유아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명상놀이를 현재 진행되고 있는 누리과정에 통합하여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명상놀이를 진행하는 교사교육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tation play on children's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 children aged 5 years at a public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Jeollanam-do, 1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Meditation play to be used for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mposed of 20 sessions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2-3 times a week from May to July 2021. In the experimental group, a meditation game was performed, and in the comparison group, a general game was played.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est’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editation play promotes children's self-concept. Second, it was found that meditation play enhances children's social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ditation play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nhance children's self-concept and social ability. Therefore, research on ways to effectively operate meditation play by integrating it into the current Nuri course should be conducted, and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who conducts meditation play is also needed.

      •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유아를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오숙현(Sookhyun OH),김정애(Jungae KIM)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21 마이너리티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진 장애유아 교수․학습 실행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특수학교 및 유아특수학급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총 9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88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유아를 위한 비대면 원격교육은 대면교육 보다 누리과정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수․학습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유아의 교수․학습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 또는 안내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아를 위한 비대면 원격수업 시 장애유아의 특성 및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 어렵지만 유아특수교사들은 장애유아가 가정에서도 다양한 교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유아의 교수․학습을 위한 지원으로는 ‘장애유아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지침 안내’, ‘효과적으로 조력하기 위한 부모교육’,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적절히 제공’, ‘다양한 상황에서의 IEP설계와 운영’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장애유아의 교수․학습을 위한 유아특수교사들의 다각적인 노력과 행정적 지원, 교사교육 및 부모교육의 방향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각 분야의 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and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idst the COVID-19 pandemic. Total 9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that gave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es for young children. Of them, 88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remote onlin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orded a lower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present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than face-to-face education. There were no specific guidelines or instructions provided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andemic situation. It was difficult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remote online classes for such children, but ECSE teachers made efforts so that the children could engage i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at home, as well. They made a couple of requests to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idst the pandemic including instructions for lesson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 education to provide effective assistance, proper provision of face-to-face and online classes, and IEP design and management under diverse situations. The findings are significant to figure out the multifaceted efforts and administrative supports of ECSE teacher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ids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directions of teachers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 KCI등재

        유아를 위한 보성 비봉해안지역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오숙현 ( Oh¸ Sook-hy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9개정 누리과정을 토대로 하여 지역화 교육과정 운영 방안으로써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보성 비봉해안지역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2019개정 누리과정 및 유아과학교육 관련 문헌고찰과 보성 비봉해안지역 답사를 통해 보성 비봉해안지역 약 3km 범위 안에 있는 ‘선소마을 해안가 갯벌’, ‘공룡알화석 산지’, ‘비봉공룡공원’을 체험학습지로 선정하고, 유아 발달, 흥미, 사전 경험 등을 고려하여 발달수준에 적절한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방법,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10개의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후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12개의 체험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은 보성 비봉해안지역 약 3km 범위 안에 있는 ‘선소마을 해안가 갯벌’, ‘공룡알화석 산지’, ‘비봉공룡공원’이 유아과학교육과 유아 놀이 체험과 관련하여 가치와 의미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는 ‘보성 비봉해안지역의 자연환경 및 공원을 탐구하는 과정을 즐긴다.’, ‘보성 비봉해안지역 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탐구기술을 활용한다.’, ‘보성 비봉해안지역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동식물이 살아가기에 좋은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로 설정되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유아 발달, 흥미, 사전 경험 등을 고려하여 발달수준에 적절한 교육 내용을 토대로 12개의 활동이 개발되었으며, 구체적으로‘흙으로 놀아요’, ‘갯벌 위에 사는 동물’, ‘갯벌 속에서 사는 동물’, ‘갯벌에 사는 식물 친구들 알아보기’, ‘선소마을 해안가에 있는 신기한 암석’,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비봉공룡공원에 있는 공룡들과 만나요’, ‘공룡 로봇과 만나요’, ‘공룡들과 놀아요’, ‘어떤 공룡의 알일까?’, ‘공룡알의 엄마(아빠)가 되어봐요’, ‘공룡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해요’이다. 셋째, 활동 전개 및 교수-학습 방법은 사전 준비 및 활동, 본 활동, 사후 활동으로 구성되며, 교사의 역할을 포함하고, 활동의 실제를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첫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중점인 유아·놀이중심 교수·학습과 연계하여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자연탐구의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지역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으로써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가 있다. 둘째, 체험학습이 일회적인 관광식 접근으로 이루어졌던 기존의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보다 유기적이고 지속적인 체험활동 프로그램 접근으로 실천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rogram as a way to operate a localized curriculum based on the 2019 Nuri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is to develop a Boseng-Bibong coastal area field trip program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on the 'Boseong Seonso coastal mud flat', the 'dinosaur eggsite', and the 'Bibong Dinosaur Park' within a 3km range of the Bibong coastal area of Boseong through a review of the 2019 Nuri curriculum and literature related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an expedition to the Bibong coastal area in Boseong. The experiential learning site was selected, and 10 activities were devised focus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role of the teacher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child's development, interest, and prior experience. After that, the final 12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through expert valid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is that the 'Boseong Seonso coastal mud flat', the 'dinosaur eggsite', and the 'Bibong Dinosaur Park' within a range of about 3km in the Bibong coastal area of Boseong have values and meaning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children's play experience. Second, the purpose and goal of the program is to 'Enjoy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arks of the Bibong coastal area in Boseong.', 'Utilize exploration technology by participating in the Boseng-Bibong coastal area field trip program.', and with the 'Boseong-Bibong coastal field trip program, we are interested in the favorable environment for animals and plants to live.' In addition, 12 activities were developed based on educational content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level in consideration of infant development, interests, and prior experiences. Specifically, 'Playing with sand', 'Animals living on mud flats', 'Animals' living inside mud flats', 'Plants living on mud flats', 'The mysterious rock of the Seonso coast', 'Bibong-ri dinosaur eggsite', 'Let's go see the dinosaurs of the Bibong Dinosaur Park', 'Meeting with the dinosaur Robot', 'Let's play with dinosaurs', and 'What dinosaur does this egg belong to?' Third, the activity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sts of a pre-preparation activity, main activity, and post activity, including the role of the teacher, and presenting the actual activity. Th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s that first, this program developed as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nature inquiry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infant and play-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focused on the 2019 Nuri curriculum, has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as a fiel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Second, the stud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continuous and organic field trip program with greater educational effects as it has a continuous and organic linkage compared to the one-time field trip focused on a tourist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