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신 사회계약론’이 유럽 사회에 주는 함의 -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중심으로 -

        오수웅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3 EU연구 Vol.- No.67

        The ‘New Social Contract Theories’, recently advocated in Europe, are related to individual freedom, welfare and the state(regime) that will protect and realize them, and especially when they call for a change in the state(regime), they can make a great impact not only on European society but also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in these arguments,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is defined in various ways, and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renewing the social contract are not sufficiently presented.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its the necessity and the validity by focusing on Rousseau's Social Contract, then to present the ‘new social contract theories' and theirs implications for European society. As the results, this article showed: Rousseau's conception of the social contract is ‘an act of the general will’ as its essence, unlike Hobbes’ and Locke’s the mixture of appointing, consent and (Hobbes only) covenant. The necessity of the social contract rely on the fact that individuals (human race) must change their “maniere d’être” not to be perished at the “point” when “obstacle” hindering the individual’s power for self-preservation are prevalent. The validity of social contract can be judged on, and stem from three conditions of legitimacy – the formal condition of the “convention” of ‘all’, not the few, the content condition of “volonté général” to find a form of association that realizes common interests, equal freedom, and common power, and the administrative condition that assembly and government maintain in line with legitimacy by following their “règle d’administration.” In conclusion, this article derived and highlighted the implications of Social Contract for the ‘New Social Contract Theories’ and European society, from the latter two conditions.

      • KCI등재

        사랑과 행복 개념의 재구성: 루소와 부버의 ‘정신’과 ‘관계’를 중심으로

        오수웅 한국정치사상학회 2019 정치사상연구 Vol.25 No.1

        After having distinguished between the original meaning of ‘eudaimonia’ and its derivative, this paper aims at conceptualizing what happiness as a goal of love is by reasoning where and how love is shaped, and how love makes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s and keeps on them in the ‘secularized’ individual dimension. This work is intented to ‘feel’ that happiness is to be made and enjoyed at every moment by each one of us, through identifying human soul and their relationship as the space of love. For the reasoning and the identifying,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thoughts of Rousseau, and try to find out the evidences to prove them from the thoughts of Buber. In chapter 2, the meaning of love, soul as a space of it will be 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Confession and Dialogues. In chapter 3, the concepts of character, morals (moeurs) and taste will be explained and their revelation in the human relationships. In chapter 4, by showing the purpose of love and the process in which it expands socially,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reconceptualization of happiness, and points out its implications. 이글은 행복을 eudaimonia와 happiness로 구분하고, 공적 차원보다는 ‘세속화된’ 개인의 차원에서한 인간의 사랑이 어디에서 어떻게 생성되며, 타인과의 관계형성과 유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성찰함으로써, 역으로 그런 사랑의 목적으로서의 행복이 무엇일지를 추론하고자 한다. 이 작업은, 사랑의 목적이 무엇이건 간에, 사랑의 생성과 향유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인간의 ‘정신’과 ‘인간관계’라는 것을 부각시킴으로써, 행복은 각자가 각자의 힘으로 언제나 현재적으로 ‘만들고 향유하고 있는 것’임을 ‘느끼게’ 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루소의 정신과 관계에 대한 논의에 천착하여 사랑의 생성, 공간과 발로, 관계적 확장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고 부버의 논의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2장에서는 『고백록』과『대화』를 중심으로 루소의 사랑의 의미와 그 공간으로서 정신에 대해 설명한다. 3장에서는 정신에 형성되는 성격, 도덕, 취향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들이 사랑을 담아 발현된다는 것을 보여주며, 4장에서는 사랑의 목적이 현존감을 공유하는 것이라는 것과 이런 목적이 사회적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5장 결론에서 사랑의 목적으로서 행복의 재개념화와 현대인에게 주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통일의 당위성 교육 비판 -교육 목적으로서 자유의 가능성

        오수웅 한국통일교육학회 2023 통일교육연구 Vol.20 No.2

        이 글은 통일 의지가 약화하는 현상의 원인을 통일의 당위성 교육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칸트의 윤리학에 기초해서, 당위성을 정언명령이 지닐 관념 간의 논리적 필연성으로, 필연성을 가언명령이 지닐 존재 간의 주관적 필연성으로, 필요성을 실천에 대한 요구로 개념화해서 비판의 기준으로 삼았다. 둘째, 통일의 당위성 교육의 담론과 논거를 살펴, 민족주의의 민족 동일성과 역사성, 실용주의의 유용성, 보편주의의 목적성과 보편성이 지닌 결함, 한계, 성격들로 인해 당위성에 부합하지 않음을 보여줌으로써 통일 의지 약화의 원인일 수 있음을 증명했다. 셋째, 칸트 윤리학의 자유에 주목하고 자유에 관한 논의를 살핀 후 자유를 재개념화해서, 이 재개념화가 목적성, 보편성, 평등성과 확장성을 더 완전하게 충족하고, 통일과 관념 간의 논리적 필연성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에서 이 재개념화를 통일교육의 목적으로 삼아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ed at finding the decisive cause of the weakening of will to unification within the educations on the dangweesung(Sollen/justification) of unification itself. To do so, first, based on Kant, this article conceptualized the dangweesung as the logical necessity between ideas and as the categorical imperative. Second, by examining the discourses on the dangweesung of unification could be classified such as nationalism, pragmatism and universalism and their bases, this article showed that these had logical defects, limitations, and characteristics so did not conform to the dangweesung. And it showed as well that such could be the decisive cause of the weakening of will to unification. Third, inspired from Kant who thought of ethics as philosophy on the law of freedom, this article proposed that the redefinition of freedom as self-directed activeness and arbitrariness of soul based on Aristotle after examining the theories on freedom fulfills Kant’s notion of dangweesung. In conclusion, it argued that the redefinition of freedom has the logical necessity on the concept of unification, thus should be the aim of the educations for unification.

      • NGO 네트워크의 성공과 실패 요인분석- 반빈곤 · 이주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오수웅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다문화사회연구 Vol.5 No.2

        This article aims to extract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ccess and the failure of networks among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NGO) by analysing empirical cases. In doing so, the concept of network is revisited and varying types of partnership-relationship examined. Secondly, some cases of networks especially in the activity fields of Anti-Poverty and Immigration where two Korean (I)NGO have entered, are investigated. ['Good neighbors International', the other is 'The refuge pNan']. The analysis suggests the followings key points as important. First, size of an organization. Here, the size not only includes finance, accounting, and information exchange for local NGO, but also the extension and bureaucratization of an organization for INGO as well. Second, responsibility to a donor in partnership. Third, person-oriented networking which greatly influences the changeability of a network. Lastly, the activity fields of NGO. For regional INGO, broader and diversified activity fields can lead to a separation within a field. In conclusion, this article argued that all networks amongst (I)NGO, when they are based on the proper partnership, could serve to promote democracy of global governance when these factors are properly controlled. 이 글의 목적은 NGO 네트워크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사례분석을 통해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네트워크 개념을 정의하고 파트너십과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한국 NGO들의 반빈곤⋅이주 지원사업의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국제 NGO로서 굿네이버스 인터내셔날을, 지역 NGO로서 피난처를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요인들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NGO의 조직규모이다. 이는 재정 및 회계와 정보교환의 문제는 물론 NGO의 조직 규모의 확대와 관료화라는 특성을 포함한다. 둘째, 기부파트너에 대한 부담감이다. 이는 NGO의 자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NGO의 인물중심 네트워킹이다. 이는 네트워크의 가변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NGO의 활동영역이다. 국제NGO의 경우 활동영역의 확대와 다양화가, 지역NGO의 경우 활동영역의 분화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글은 NGO사이에서 형성되는 모든 네트워크는, 상기한 네 가지 요인들이 적절하게 통제될 때 그리고 적절한 파트너십에 기초할 때, 글로벌 거버넌스의 민주성을 증진시키는 데에 보다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KCI등재

        루소의 moral(moeurs)과 道德의 개념과 번역:도덕교육을 위한 성찰의 시작

        오수웅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3 No.4

        This article has two aims. One is to track when, how and by whom the concept of ‘moral(moeurs)’ in the works of Rousseau were translat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s of Japa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other is to examine how the social-political contexts of Japan those times make an effect in the educational modification of the concept of ‘moral(moeurs).’ These aims will give the clues and implications to the researchers who starts to reflect on our future of moral education, by revealing Japan’s influences on the establishment of moral education in Chosun and Korea. For the aims, in chapter 2,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s of vertu, moeurs, moral and the relations of them in the works of Rousseau, and introduces his explanations on their relationship to political system and moral education. In chapter 3, this article looks at how Rousseau’s concepts of moral(moeurs) were understood, translated, and used in the modern Japanese dictionaries and some books of the thinkers.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examines how such understandings and translations were transformed 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nd reflected in moral education of Japan. In chapter 4, this article discloses that Japanes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moral(moeu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nslation, common use of them, and the establishment of moral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and the colonization period of Chosun. In conclusion, this article emphasizes and highlights the necessity of reestablishment of mor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implications of Rousseau’s thoughts. 이글의 목적은 첫째, 루소의 moral(mœurs) 개념이 일본에서 언제,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추적하고, 둘째,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의 사회적 맥락이 moral(mœurs)의 교육적 변용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조선의 개화기와 식민지기 그리고 해방 후 한국의 도덕교육에 대한 일본의 영향을 드러냄으로써, 도덕교육의 미래를 위한 성찰의 단초와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글은 2장에서 먼저 루소의 moral(mœurs)에 대한 이해와 사회 및 정치제도 그리고 교육에 대한 관계와 함의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근대 일본의 사전과 사상가들의 저서에서 루소의 moral(mœurs)이 어떻게 이해되고 번역되었으며 통용되었는지를 추적함과 동시에 그런 이해와 번역이 일본의 시대적 맥락에 의해 어떻게 변용되고 도덕교육에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본다. 4장에서는 개화기 조선의 도덕의 수용과 통용 그리고 도덕교육의 성립에 있어서 도덕에 대한 일본의 이해와 변용이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5장 결론에서 한국의 도덕교육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과 루소의 사상이 주는 함의를 부각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