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ANET 환경에서 효율적인 V2I 통신을 위한 공개키 기반 세션키 브로드 캐스팅 시스템 설계

        염윤호(Yeom Yun-Ho),김만식(Man-Sik Kim),이재승(Jae-Seung Lee),전문석(Moon-Seog 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논문은 VANET (Vehicular Ad-hoc Network)환경에서 인증이 된 대표 OBU를 이용한 효율적인 세션키 분배 기법을 제안한다. IEEE 802.11i에서는 VANET에서 V2I 환경기반에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법에서는 차량이 RSU(Road-Side Unit)/AP(Access Point)를 핸드오버 할때 마다 4-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 세션키를 공유하여 네트워크 오버헤드와 지연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인증된 OBU 중 하나를 선별하여 RSU를 핸드오버 할때 마다 Challenge-Response 기법으로 세션키를 공유할수 있게 하였으며 같은 RSU를 핸드오버 하는 나머지 OBU들에게 세션키를 브로드캐스팅을 하여 공유키를 분배할수 있게 함으로써 IEEE802.11i에 비해 세션키 교환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오버헤드와 지연시간을 줄였다.

      • KCI등재

        경찰 순찰활동의 범죄예방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염윤호(Yeom, Yun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경찰 순찰활동의 범죄예방 효과를 분석한 국내외 실증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특히, 준실험설계방법을 설정한 선행연구들에서 확인된 실험 및 통제지역의 순찰 전후의 범죄발생건수를 활용하여 단일의 효과크기(effect size)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즈비(odds ratio)를 활용하여 전체연구들의 통합효과(pooled effect)를 분석하고, 이후 순찰유형 및 방법 그리고 범죄유형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는 순찰활동의 통합된 단일의 범죄감소 효과를 10.4%로 추정하였으나,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순찰활동의 방법 및 범죄유형에 따른 차별적 범죄감소 효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도보 및 차량순찰을 병행하거나 차량순찰만을 시행하는 것보다 도보순찰만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더 높은 범죄예방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순찰빈도를 높이는 것보다 피의자 체포나 교통단속 등과 같은 적극적 경찰활동을 수반하는 순찰의 범죄예방 효과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재산범죄보다는 폭력범죄에 대한 순찰의 예방효과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효율적이며 증거에 기초한(evidence-based) 순찰활동을 전개하는데 있어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Using a meta-analysis technique, this study examined the crime deterrence effects of police patrol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everal empirical studies.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with quasi-experimental designs providing numbers of crim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patrol in experiment and control areas and eventually produced a single effect size. Using odds ratios, this study analyzed not only a pooled effect across all studies, but also differing effects based on patrol and crime typ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reatment of police patrol was found to have a 10.4.% crime reduction effect in general, but the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police patrol with different methods and crime type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performing either foot or vehicle patrol independently, rather than in combination, produced a larger effect size. In addition, this study estimated that any patrol accompanied by additional proactive police activities, including arrest, stop-and-frisk, and traffic control, wa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rime than patrols without such activ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for violent crime was larger than that of property crime.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n empirical basis for performing efficient and evidence-based patrol activities.

      • KCI등재

        주류업소밀집도와 폭력범죄율의 관계에 대한 공간회귀분석

        염윤호(Yeom, Yun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주류업소밀집도와 폭력범죄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X시의 Y구를 연구 대상지역으로 설정하였고, 통계지역단위인 집계구를 연구의 지역적 분석단위로 설정하였다. Y경찰서의 범죄통계자료, Y구청의 식품위생업소 자료, 그리고 통계청의 집계구 단위의 인구사회학적 자료를 활용하여, 주점, 일반음식점, 편의점의 세 가지 유형의 주류업소밀집도와 폭력범죄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구조적인 변수들에 내재되어 있는 공간적 자기상관성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오차모형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오차모형의 분석결과, 주점의 밀집도가 증가할수록 집계구 내의 폭력범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다른 사회구조적 변수들을 통제하더라도 계속적으로 지속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점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폭력범죄 예방을 위한 가시적인 경찰예방활동을 전개하고, 이미 발생한 폭력범죄에 대해 즉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경찰자원과 인력을 배치하여 폭력범죄에 대한 대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outlet density and crime rates. The geographic basis for this study was Y-gu,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X city, South Korea. The geographic unit of analysis was the census output area, an equivalent to the census block group in the U.S. This study collected the crime data from Y police station, the on-and off-premise alcohol establishment data from Y-gu Administrative Office, and the demographic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se datasets were collected in 2015. With these datasets, this study tested the differing effects of on-and off-premise alcohol retail establishments on the violence crime rates while controlling other socio-demographic features. Methodologically,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spatial autocorrelation among structural covariates of violent crime rate, this study performed spatial regression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outlet density and violent crime rate. Base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ies be implemented to prevent possible violent crimes within areas with a high alcohol outlet density by deploying more police resources and setting up additional surveillance appliances.

      • KCI등재

        세계 테러리즘 동향 분석: 1970년∼2020년 GTD 자료를 중심으로

        염윤호 ( Yeom Yun-ho ),권오국 ( Kwon Oh-kook ),최재훈 ( Choi Jae-hun ) 평화문제연구소 2023 統一問題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최근 50년간 발생한 전세계 테러사건의 분포 및 수단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 일어날 테러사건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집필되었다. 분석자료는 미국 메릴랜드 대학의 「테러 연구와 테러 대응 국가협력단(the 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Terrorism and Responses to Terrorism, START)」에서 수집한 「세계 테러 데이터베이스(the Global Terrorism Database, GTD)」에 기반했다. 이 자료는 1970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전 세계에서 발생한 209,707건의 테러 사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한 것이다. 연구결과 종교 및 민족적 갈등이 심각한 중동, 소아시아, 아프리카, 인도지역은 테러리즘이 급격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위험한 무장 공격, 폭발물, 인질극 등으로 악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테러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event future terrorist attacks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and methods of global terrorism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analysis was based on data collected by the Global Terrorism Database (GTD), which is operated by the 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Terrorism and Responses to Terrorism (START)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in the United States. The GTD is a compilation of information on 209,707 terrorist incidents that occurred worldwide from January 1, 1970 to December 31, 2020.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regions with severe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s, such as the Middle East, South Asia, Africa, and India, not only experience a rapid increase in terrorism, but also suffer from more dangerous forms of violence, such as armed attacks, explosives, and hostage-tak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counter-terrorism efforts.

      • KCI등재

        청소년 흡연행동에 대한 사회환경의 차별적 영향력 분석: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대한 종단적 다층 로지스틱 모형의 적용

        염윤호 ( Yeom Yunho ),최재훈 ( Choi Jaehun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3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자료 및 행정구별 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 흡연행동에 미치는 사회구조적 특성의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특성의 청소년 비행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기존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청소년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특성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로서, ‘객관적 지표로 측정된’ 사회적 특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혼율, 인구이동률, 외국인 비율로 사회해체 정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사회구조적 특성의 청소년 흡연경험에 대한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해체 정도에 따라 연구대상지역을 세 지역(상위, 중위, 하위)으로 구분하고, 패널자료의 종단적 특성, 종속변수의 이산적 특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종단적 다층 로지스틱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해체 정도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흡연경험은 시간 경과, 규칙저항성, 부모방임, 또래비행, 부정적 사회인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추정하였다. 반면, 사회해체 정도가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의 흡연경험은 규칙저항성과 또래비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회구조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토대로,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에 관한 정책을 마련함에 있어 단순히 청소년의 특성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청소년 비행 예방정책을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ing effects of social context on juvenile delinquency using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and demographic datasets between 2012 and 2016.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impact of structural features on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 have operationalized such features with indices measured by perception of the youth, not with indices measured by social statistic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degree of social disorganization with social statistics, including divorce rate, residential mobility rate, and alien rate. With these dataset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ing effects of these social features on youth smoking experience, a type of juvenile delinquency. In particular,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disorganization, this study divided study areas into three subgroups, including high, middle, and low, and applied a series of longitudinal multi-level logistic models to each subgroup. As a result, this study estimated that the smoking experience of youth living in area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disorgan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ime, impulsiveness, parents’ neglect, peer delinquency, and negative social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the smoking experience of youth living in areas with a low level of social disorganization was positively related only to impulsiveness and peer delinquen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programs be tailored to the unique need of each localized area.

      • KCI등재

        소년범의 재범방지를 위한 미국의 사례 및 그 시사점

        염윤호 ( Yeom Yunho ) 한국소년정책학회 2020 少年保護硏究 Vol.33 No.2

        This study examined U.S. policies on juvenile recidivism. Juvenile recidivism policies in the U.S. are different depending on states and even communities, but they share common facts that such policies ar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cooperations among juvenile justice entities, including police, prosecutor, and judge. At the same time, the U.S. juvenile recidivism reduction policies are customized for each juvenile after thoroughly assessing the individual risk and necessity. This assessment process is not decided by a single juvenile justice officer, but with coordinated efforts by intake officials, probation officers, and judges. These efforts are realized with a variety of specific juvenile recidivism prevention programs, and these programs are predicated on four core values. The four core values are i) “base supervision, service, and resource-allocation decisions on the results of validated risk and needs assessments”, ii)“adopt and effectively implement programs and services demonstrated to reduce recidivism and improve other youth outcomes, and use data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 and direct system improvements”,iii) “employ a coordinated approach across service systems to address youth’s needs”, and iv) “tailor system policies, programs, and supervision to reflect the distinct developmental needs of adolescents.”Based on these core values, policymakers in Korea need to set an evidence-based foundation for juvenile recidivism prevention policies, tailor specific programs to individual risk, and discriminately respond based on assessed risk.

      • KCI등재
      • KCI등재

        공간가중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폭력범죄의 공간적 상이성(Spatial Heterogeneity) 및 사회구조적 원인 분석

        염윤호(Yeom, Yun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국내 X시 Y구의 집계구 내의 폭력범죄와 사회구조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일상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집계구 내에서 관측되는 폭력범죄는 공간적으로 종속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종속성은 국지적 관점에서 다른 방향과 강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공간회귀모형은 변수들에 내재한 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하여 OLS회귀모형보다 적합한 모형을 도출하나, 이는 전역적 관점에 그치는 것으로 국지적 관점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성을 고려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폭력범죄와 사회구조적 변수들 간의 관계에 내재한 비정상성을 확인하고, 공간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여, 전역적 및 지역적 관점에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역적 관점에서, 공간가중회귀모형은 OLS모형이나 공간오차회귀모형과 비교하여, 변수들의 폭력범죄에 대한 영향력을 상이하게 추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적합도가 높은 모형을 도출하였다. 한편, 국지적 관점에서, 공간가중회귀모형은 변수들의 폭력범죄에 대한 영향력의 방향과 강도를 각 집계구별로 상이하게 추정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crime rates and structural variables in Y-gu, X city, South Korea under the routine activity theory. This study observed the rates within census output areas, geographic unit of analysis, are spatially dependant and stationary. Spatial regression models assuming spatial dependance are more suitable than the traditional OLS models; however, they fail to consider spatial non-stationarity. Therefore,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d non-stationarity among structural variables, this study performe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and structural variables. The GWR model produced both global and local level outcomes. In the global level, comparing the results of GWR model with those of OLS model and spatial error model, his study found the GWR model fits better than other two models with lower AIC statistics. Moreover, in the local level, this study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s and structural variables within different census output areas significantly varied in its direction and strength.

      • KCI등재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 운용의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염윤호 ( Yeom Yun Ho ),표선영 ( Pyo Sun Young ),김학경 ( Kim Hak Kyong ),정제용 ( Jung Je Yong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1

        본 연구는 2018년 10월부터 9개월간 전국 경찰서에서 수집된 집회ㆍ시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 운용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전국 254개 경찰관서를 대화경찰 투입 관서(실험집단, 165개)와 미투입 관서(통제집단, 89개)로 구분하고, 대화경찰 투입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관측되는 위법 집회ㆍ시위 비율 및 집회ㆍ시위의 지속시간을 비교하였다. 그러한 과정에 있어, 정책개입의 효과성을 분석할 수 있는 오즈비 모형과 이중차분법을 활용하고,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즈비 모형은 대화경찰을 투입한 경찰관서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찰관서에 비해 위법 집회ㆍ시위가 약 54.55% 감소함을, 집회ㆍ시위의 지속시간은 2.91% 감소함을 추정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이중차분법 모형은 대화경찰을 투입한 경찰관서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찰관서에 비해 위법 집회ㆍ시위는 32% 감소함을, 집회ㆍ시위 지속시간은 6.70분이 증가함을 추정하였으나, 집회ㆍ시위 지속시간과 관련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화경찰 제도 운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동 제도의 활성화에 실증적 근거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증거 기반(evidence-based) 경찰정책 시행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dialogue police by reviewing a dataset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collected at police stations across South Korea between October 2018 and June 2019. The 254 police stations are divided into 165 experiment groups and 89 control groups,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dialogue police. This study used an odds ratio model and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ialogue police. Using the odds ratio model, this study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illegal assembly and demonstration decreased by 54.55% in the experiment groups, a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so, the dura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was estimated to decrease by 2.91% in the experiment groups. Similarly, us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this study estimated that the illegal assembly and demonstration decreased by 32% in the experiment groups and the duration increased by 6.70 minutes. However, the result on the duration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based on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eration of dialogue police promotes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n empirical basis for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operation of the dialogue police in Korea.

      • KCI등재

        The Effect of Alcohol Outlet Density on Crime Rates: A Dose-Response Function Model Approach

        염윤호 ( Yeom Yun Ho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3

        본 연구는 서울시 관악구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설정하고 주류업소밀 집도 등의 다양한 사회구조적 특성이 폭력 및 절도범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러한 분석과정에서 주류업소밀 집도를 연속적 실험처치로 가정하고, 연속적 실험처치에 내재한 ‘0’과잉 문제를 해결하고 외생변수의 종속변수에 대한 직·간접적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용량반응함수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주류업소밀집도는 두 유형의 범죄에 대해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냄을 추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주류업소가 1천 명당 1개소 증가할 때, 폭력범죄는 0.75건, 절도범죄는 1.14건 증가함을 추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외생변수로 측정된 인구밀도, 1인 가구, 남성인구, CCTV 밀집도는 두 유형의 범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범죄유형 및 지역의 사회구조적 특성에 따라 개별화된 범죄예방 정책을 전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outlet density and two types of crime, violent and property, in Seoul, South Korea with a dose-response function model. Assuming the level of alcohol outlet as a treatment variabl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different effects of treatment o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had at least one alcohol outlet within the geographical unit of analysis whereas the counterpart had none. Particularly, observing zero-inflated and continuous nature of the distribution of alcohol outlets, this study applied the dose-response model suggested by Cerulli(2015). This study estimated that alcohol outlet den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wo types of crime.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structural variables, including population density, single-person household, male population, and CCTV density,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wo types of crime. Such associations were found substantially different in their direction and strength depending on the level of alcohol outlet density and the type of crime. This study illustrated the level of alcohol outlet density discriminatorily impacts the two types of crim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law enforcement agencies design more customized crime prevention programs targeting different crimes and areas with different levels of alcohol outlet d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