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교화 이론에 근거한 교수설계: 중학교 경제교육 중심으로

        여상희(Sanghee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수업의 계열화 전략과 다양한 인지적 전략을 포함하고 있는 정교화 이론의 교수설계 원리와 기법을 활용하여 중학교 경제단원의 교수설계안을 제작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수설계안은 정교화 이론에서 제시한 7가지 교수전략을 적 용한 구체적인 사례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설계안을 통해 기존의 교육과정내용에 누락이나 중복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새롭게 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교수방법을 개선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교화 이론 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하는 일선 교사에게 이론을 실제에 적용한 좋은 예시가 될 것이며, 교과내용의 중복과 누락 등을 확인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하려는 교수설계자에게도 이론에 근거한 교육과정개선의 방법을 제시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instruction of Economic unit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ven teaching strategies from elaboration theory were applied to the instructional plan including specific examples.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elaborated and the macro-instructional plan was developed into a series of tables. The study created standard blueprint for theoretical elaboration, especially on Economic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The effects of the standard blueprint in designing instruction is as follow: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who intend to identify whether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curriculum are missing or overlapping, newly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improve the teaching method, the macro-instructional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ose teachers in conducting an instructional plan based on theories.

      • KCI등재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여상희(Sanghee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ptimal PBL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for medical schools in Korea by analyzing the transi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a medical school over the past 18 years.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ition as well as the pros and cons of course arrangement methods, number of sessions, methods for distributing study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in detail.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d that implementing PBL according to the findings below is advisable for universities that intend to adopt lectures as their primary teaching method and use PBL as supplementary method. First, arrange lectures and PBL classes in parallel and once a week by considering the academic burden of the students and to facilitate the recruitment of tutors. Second, leave a term between the examination periods and classes. Third, the student leader should distribute the PBL materials and all materials should be distributed in the first session of the case. Fourth, use various methods to evaluate the grades but the final grade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a pass-fail grading system. In addition, as the PBL platform was converted into a web-based PBL, students could conveniently use various PBL materials. It would be valuable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a web-based PBL in the future. 본 논문의 목적은 한 의과대학이 지난 18년 간 운영한 문제중심학습 수업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국내 의과대학에 적합한 최적의 PBL 수업운영방식을 제안하고자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수업 편성방법, 수업횟수, 수업자료 배부방식, 튜터배정 방식, 수업진행방식, 평가방법의 변천과정과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의를 주된 수업법으로 채택하면서 PBL 수업을 보완적으로 실시하는 의과대학에서는 다음의 PBL 운영형태가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튜터 모집의 원활 성과 학습자의 학업 부담을 고려하여 강의와 PBL 수업은 병렬로 배치하고, 수업횟수는 주당 1회로 한다. 둘째, 수업요일은 가급적 시험날짜와 떨어진 요일로 정한다. 셋째, 수업자료는 학생조장이 배부하고, 각 사례의 첫 번째 수업에서 모든 자료를 배부한다. 넷째, 성적사정은 다양한 평가도구를 포함하되, 최종성적은 통과/탈락으로한다. 그 밖의 중요한 변화로써, PBL 수업 플랫폼이 웹기반으로 변환되어, 다양한 수업자료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향 후 웹기반 PBL 운영경험을 분석한다면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중요한 함의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의과대학에서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한 컴퓨터 기반 임상술기 실습 교수설계

        여상희(Sanghee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교수설계이론을 적용하여 의과대학의 임상술기(clinical skills)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교수설계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수설계는 Dick, Carey & Carey(2005)의 체제적 교수설계모형에 근거하였으며, 학생들이 의과대학의 임상실 습실에서 자율적으로 반복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 실습교육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교수설계는 ① 목적규명을 위한 요구사정, ② 학습자와 상황분석, ③ 교수분석, ④ 수행목표 작성, ⑤ 평가도구 개발, ⑥ 교수 전략 개발, ⑦ 교수자료 개 및 선정, ⑧ 교수의 형성평가 설계, ⑨ 총괄평가 설계의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서, 체제적 교수설계의 모든 단계에서 설계결과물을 제시하였으며, 최종 연구성과로 목표기반 시나리오 수업방법에 따른 컴퓨터 기반 수업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Dick, Carey & Carey(2005) 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한 교수설계의 단계에서 요구하는 교수설계 활동에 따라 교수설계 결과물을 모두 제시하였다는 점과 의과대학에서 중요한 임상술기 실습교육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크다. This study designed a clinical skill training program by applying a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is study is based on a model for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developed by Dick, Carey, and Carey (2005). The training program is computer-based, allowing students to autonomously receive continual training in a clinical training room of a medical school.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eded in the following stages: ① assessing needs to identify an instructional goal, ② analyzing learners and contexts, ③ conducting instruction analysis, ④ writing performance objectives, ⑤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⑥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ies, ⑦ developing and selecting instructional materials, ⑧ designing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⑨ designing the summative evalu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outcomes of all stages of the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as well as the final outcome, which is the computer-based training program based on goal-oriented scenario instructional methods.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because it has presented the outcomes of all stages in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by Dick, Carey, and Carey (2005).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a good case for medical schools and instructors that seek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by applying a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 KCI등재

        의과대학에서 임상술기 유형분류와 처방적 교수전략 설계

        여상희(Sanghee Y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임상술기(clinical skill)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임상술기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임상술기의 유형에 따라 상이한 교수전략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첫째, 임상술기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임상술기의 지식종류(knowledge), 복잡성(complexity), 실습대상(practice), 위험도(risk)를 기준으로 한 임상술기 분류틀을 제시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임상술기를 2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임상술기의 유형에 따라 네 가지의 상이한 교수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의 중요한 학습내용 중 하나인 임상술기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임상술기의 특성에 적합한 교수전략을 교육이론에 근거하여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이론에 근거한 술기교육을 하고자 하는 의과대학 교수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In medical schools, clinical skill education is essential to training future physician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skill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atrix that enables a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clinical skills—which is an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in medical schools—and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ffectively teach clinical skills based on the categories. The matrix categorizes clinical skills according to four criteria: Knowledge, Complexity, Practice, and Risk. Second, the obtained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eaching-learning types, and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suitable for each type were develop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has categorized clinical skill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presented prescrip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each category. As there is a trend of strengthening clinical skill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when improving clinical skill education.

      • KCI등재

        한국형 온라인 수업준비도 검사의 타당화 및 의과대학 교수 특성에 따른 온라인 수업준비도의 차이

        여상희 ( Sanghee Yeo ),임선주 ( Sunju Im ),윤소정 ( Sojung Yun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의과대학 교육상황에 맞는 온라인 수업준비도 척도를 타당화 하고, 교수의 전공계열과 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준비도 검사의 타당화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국 의과대학 교수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준비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Mann-Whitney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의과대학 온라인 교수준비도 척도는 교수자 시간관리, 온라인 수업설계, 온라인 수업도구 사용, 온라인 수업태도 교육, 수업시간 외 학생과의 의사소통,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수업사전준비의 7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의과대학 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온라인 수업준비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교육경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의과대학 전공계열 특성별 온라인 수업 준비도 제고를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faculty’s readiness to teach online scale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he major field and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i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readiness to teach online scale was validated using factor analysis, and the scale was conducted on 250 faculties at medical schools nationwid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test. As the results are the scale consists of seven factors: time management, online class design, using online teaching tools, online teaching attitude education, after-hours communication, class interaction, and before class prepa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ess to teach online by the major field of professors, but no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After that, a faculty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readiness to teach online by medical school major fiel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여상희(Sanghee Yeo),김동자(Dong Ja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시험이 불가하게 됨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시간 화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학생평가에 대한 학생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대구소재의 한 의과대학 대학원 61명이며, 온라인 시험을 실시한 과목은 총 3 과목이다. 온라인 시험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1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시험진행은 학생들이 화상강의를 받았던 웹엑스로 하였다. 학생들은 웹엑스로 온라인 시험링크를 받아서, 미리 접속하고 있다가 동시에 시험을 시작하고 동시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시험응시 환경의 세팅은 학생 본인이 직접 시험을 응시하는 것이 확인되도록 본인의 모습이 촬영되도록 핸드폰이나 태블릿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부정행위에 대한 예방책으로 시험 진행과정은 녹화하였다. 결과 설문에 응답한 59명(96.7%)을 분석한 결과, 54명(91.5%)의 학생은 기술적 문제가 없이 온라인 시험이 원활히 진행되었다고 하였다. 30명(51.4%)의 학생은 온라인 시험이 익숙하지 않아 심적으로 부담된다고 응답하였으며, 25명(42.4%)의 학생은 온라인 시험방법에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해 성적에 영향을 줄까봐 우려한다고 하였다. 전반적인 평가에서는 대면시험보다 온라인 시험을 선호하였다. 온라인 시험 시에 우려되는 점으로는 네트워크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시험진행 과정에서 차질이 있을까봐 우려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45명, 76.3%),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26명, 44.1%), 시험문제가 쉬워져 변별도가 낮아질 것을 우려하는 의견(5명, 8.5%)이 있었다. 결론 실시간 온라인 평가를 시행해 본 결과, 원거리에서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학생이 많은 대학원 수업에서 온라인 평가를 시행하는 것은 인터넷 네트워크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면 권장할 만하다. 다만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를 경감시키기 위해 온라인 시험감독이 가능하도록 시험환경을 세팅할 필요가 있다. 향후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의 지속성을 고려해 볼 때 온라인 시험에 대한 시도, 대비 및 노하우를 쌓아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Objectives As COVID-19 put a halt to face-to-face tests, online assessment became compulso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s of real-time online student assess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for graduate studen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who have taken online co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1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and a total of three courses were selected for the online tests. Students were given a survey with 13 questions developed by the author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levels on online tests. To conduct the online tests, students first logged onto WebEx, on which they received online lectures, to access the link to the test which was given over WebEx chat. Results it was found that 54(91.5%)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no technical issues during the test. Thirty(51.4%)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felt psychologically pressured as they were not used to taking online tests, and 25(42.4%)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concerned that online tests would affect their grades as they are not used to taking tests online. Among the concerns for online tests, the issue about which the students were most concerned was the possible technical issues such as network issues that may lead to a setback during the tests (45 students, 76.3%), followed by cheating (26 students, 44.1%), and failure to guarantee distinction among the student levels as questions on the test may be too easy (5 students, 8.5%).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online assessments would be worth considering for graduate school classes where a number of students take the course online from a distance, given that there is a stable Internet network. As there are concerns that students may cheat,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testing environment appropriately to supervise the tests online.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의과대학생이 경험한 일상생활 변화, 정신건강 문제 및 스트레스 대처

        김혜원,여상희,안신기,Kim, Hae Won,Yeo, Sanghee,An, Shinki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2 의학교육논단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on areas of Korean medical students' lives, assess concerns, and investigate the strategies they used to cope with stress due to the pandemic. An online survey with a total of 53 items on the impact of COVID-19, concerns, and coping strategies was sent to medical students, an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pril 27, 2021 to May 30, 2021. In total, 1,329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ost-hoc Scheffé test or Games-Howell test was perform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 main negative impacts of the pandemic were on hobbies/leisure activities and mental health, and medical students expressed the highest levels of concern regarding restriction of movement, returning to everyday life, and risk of infection for family and friends. Female students more strongly agreed that COVID-19 had increased their depressed mood and anxiety (p<0.001 and p=0.003,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negative impacts of the pandemic on different areas of life significantly affected current levels of depressed mood and anxiety. To cope with pandemic-related stress, students used several strategies such as talking with family or friends (91.5%), sleeping (83.1%), exercising (72.8%),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60.8%), drinking alcohol (37.8%), and practicing meditation/mindfulness (24.4%); the effectiveness of these strategies ranged from 3.45 to 4.19 on a 5-point Likert-type scale (1-5).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COVID-19 has influenced the ment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and raised concerns in many areas of their lives. Students used various strategies to cope with the pandemic-related stress; since the effectiveness of frequently used approaches varied, it is essential to guide medical students to develop effective coping strategies.

      • KCI등재

        Bilinear - pairing을 이용한 대리서명, ID 기반 부분은닉서명과 대리부분은닉서명 방식

        김현주(Hyunjue Kim),여상희(Sanghee Yeo),원동호(Dongho Won)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1 No.6

        대리서명은 대리서명자로 하여금 원서명자를 대신해서 서명하도록 하는 암호방식이고, 부분은 닉서명은 서명자가 은닉서명을 발행할 때 그가 삽입하기를 원하는 어떠한 정보를 서명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방식으로, 부분은닉성과 익명성(또는 불추적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에서 전자화폐나 전자투표 등과 같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보안을 요구하는 응용분야에 중요하게 적용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bilinear-pairing을 이용한 대리서명 방식과 ID 기반 부분은닉서명 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두 방식을 결합한 대리부분은닉서명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들은 GDH군에서 성립하며 CDHP의 어려움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제안하는 ID 기반 부분은닉서명 방식과 대리부분은닉서명 방식에서 공통정보를 제거하면 두 서명 방식은 각각 ID 기반 은닉서명 방식과 대리은닉서명 방식이 된다. Proxy signature scheme allow a designated proxy person to sign a message on behalf of the original signer.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allows the signer to insert non-removable common information into his blind signature. Proxy signature and partially blind signature are very important technologies in secure e-commerce.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proxy signature scheme and ID-based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using bilinear pairing. Further combining them, we propose a proxy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The security of our schemes relies on the hardness of Computational Diffie-Hellman Problem. If we removing common information form propose ID-based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and proxy partially blind signature scheme, then they become variants of ID-based blind signature scheme and proxy blind signature scheme of Zhang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