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자기계발, 소명의 고안과 여성성의 잔여화

        엄혜진(Yum, Ha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근거한 근대적 젠더 관계가 급진적 신자유주의화 이후 어떻게 변모되었는지를 여성 자기계발 담론에 나타난 여성 자아 기획에 대한 징후적 독해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신자유주의 이후 삶의 모든 영역을 자산가치화 하라는 정언명령 속에 개인의 자발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선택과 그에 따르는 책임을 강조하는 주체상이 사회 저변에 뿌리내렸다. 이에 따라 성차와 성역할에 대한 기존의 관념은 사라지기보다 새롭게 재구성되었다. 시장 논리에 따르면 성차는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질이자 속성의 하나로 사고되며, 성 역할조차 개인의 ‘자발적’ 선택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여성의 저임금을 만들어내는 성차별적 구조를 그대로 승인한 노동의 유연화는 여성에게 ‘기회’로 의 미화되는 한편, 가사노동이나 양육과 같이 기존의 성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여성 자신의 ‘선택’이자 그에 따른 ‘책임’으로 이해된다. 근대적 성별분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비가시화하는 새로운 젠더 규범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의 자아기획과 자기계발은 여성성을 잔여화하는 전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젠더 의제의 탈정치화와 맞물려 여성의 삶을 더욱 위태롭게 만드는 데 기여하게 된다. The new order of the neoliberal era was to construct the whole spheres of life with the logic and language of market. The women have been utilized as a flexible labor force, and the logic of competition as a result of market norm has acted in the expansion of the principles of management to the private family life. It seemed that the modern gender norm was cancelled as the women as well as men were appellated as subjects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but the existing notions on the sexual differences and gender roles have been, rather than vanishing, newly constructed. The sexual differences have been thought as not the constructs according to structural positions of men and women but the tempers and attributes of each individuals, and the gender roles have been regarded as being performed through “autonomous” choices by individuals. For the imperatives that one should make all the spheres of life into one’s own asset, and the entrepreneurial self-image that emphasizes the spontaneous and self-directed choice by individuals and the responsibilities due to it, have taken root at the base of whole society. In the process, the new gender norm, which utilizes eff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makes invisible the modern sexual division of labor, has been created, and in the gendered realities which were concealed, the women had to embody the degendered subjectivities.

      • KCI등재

        페미니즘 교육은 (불)가능한가?

        엄혜진(Yum, Hae Jin)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3

        올 초 초·중등학교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 청원을 전후로 페미니즘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청이 증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의 현실을 진단하여 페미니즘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를 탐색했다. 첫째, 페미니즘 지식 생산 및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연구가 정체되어 있다. 학제 간 연구로서 여성학의 저변은 넓어졌지만, 독립 분과 학문으로서 여성학의 학문적 시민권이 여전히 취약한 상황에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에 기반한 체계적인 교양지식의 개발과 페미니즘 교육 주체 생산이 요구된다. 둘째 초・중등학교에서 잔여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는 성평등 관련 교육은 젠더와 섹슈얼리티 개념을 착종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성평등(gender equality)을 양성 간의 형식적 균형을 조율하는 ‘양성평등’의 개념으로 치환하려는 젠더정책 흐름의 효과이면서 핵심적인 생산지대가 되고 있다. 셋째 수월성을 목표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교육 체제는 이상적 시민을 ‘경쟁력 있는 개인’이라는 젠더중립적 존재로 표상하지만, 실은 남성 주체를 특권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규범을 재생산하고 있다. 성적 차이를 가진 시민들의 공존의 전망과 돌봄 민주주의의 상상력을 가로막는 교육 제도와 실천을 넘어서는 것, 이것이 페미니즘 교육의 도전 과제이자, ‘교육 불가능성’의 시대를 넘어설 페미니즘 교육의 가능성이다. Care Since the petition for compulsory feminism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earlier this year, public interest and request for feminism education have been growing. However, we should remind the fact that there are already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well as sex educatio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though these programs are dispersed. In this paper, prior to half-baked policy-level effort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need to diagnose the current structure blocking realistic and effective feminism education, and analyze this in three dimensions. Firstly, there is the problem of stagnations of feminist knowledge production and research in feminist pedagogy. Though the gender studie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ve widened so far,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cholarly citizenship of gender studies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s still fragile, the systemic development of general knowledge based on feminist pedagogy and the production of agents of feminism education have been difficult. Secondly,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as a kind of remnants, has been performed insufficiently, not only entangles the concepts of gender and sexuality but also is, in itself, a effect and at the same time key production zone of gender policy tendency, which transforms gender equality into a formal balance keeping mechanism. Thirdly, the neoliberal education regime, aiming at nurturing individuals with merit and competitiveness, reproduces gender norms which privilege male subject, assuming the ideal citizen as a gender neutral being.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nd practice, which blocks the vision of coexistence of citizens with sexual differences as well as and imagination of caring democracy, are becoming structural obstacles against feminism education.

      • KCI등재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의 불안한 결속: ‘82년생 김지영’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엄혜진(Yum, Hae J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82년생 김지영』의 재현 전략 및 수용 과정이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소설적(영화적) 표현이라는 점을 제안하고, 자기계발을 성공뿐 아니라 생존의 일반 양식으로 삼게 된 청년 세대 여성들의 페미니즘 기획과 부합할 수 있었던 역동을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82년생 김지영’은 오늘날 자기계발하는 여성 주체의 규범적 표상이자, 여성 자아 정체성 기획이 처한 새로운 곤란과 위기를 나타낸다. 1990년대 이후 여성도 남성처럼 살 수 있다고 격려해왔던 성공 담론의 한계 효용 속에서 좌절과 실패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공감과 위로의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자기계발 담론을 갱신했다. ‘82년생 김지영’이 페미니즘의 기호로 부상할 수 있었던 과정에는 청년 세대 여성들이 구축한 페미니즘 담론장의 특성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여성혐오의 피해자라는 동질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러링(거울보기)을 통해 이를 공고히 하는 공감 정치의 실천이 ‘82년생 김지영’이라는 여성 자기계발 담론의 세계와 안정적으로 만나 폭발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여성의 보다 나은 삶과 주체적 삶을 공통의 가치로 삼는다는 점에서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은 모호한 경계를 공유하며 경합해 왔다. ‘82년생 김지영’ 신드롬은 자기계발과 페미니즘 사이에 상쟁하는 이 긴장 속에서 형성된 불안한 결속을 나타낸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suggest that the representative strategy and acceptance pro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are the novelistic(and cinematic) expression of women’s self-help. And at the same time, by virtue of critical discursive analysis (CDA) I searched the dynamics through which the novel has been successfully in harmony with the feminist schemes of young women who embodied self-help as an general modes of success as well as survival. “Kim Jiyoung, Born 1982” is the normative icon of self-helping female subjects, and represents the new difficulties and crisis that face women’s self-identity scheme. In the process that has made Kim Jiyoung, Born 1982 as a feminist icon, the features of the discursive field of feminism built by young women have been closely linked. The features are activism based on misogyny discourse and personalized politics of sympathy. Although these trends spreaded socially the idea that the discriminations experienced by contemporary women are cummulative but also new, they, rather than resisting the system itself that values most competition based on the norm of market, tried to secure the rights of equal participation into self-help. The practice of the politics of sympathy, which confirms the homogeneous identity as the victims of unequal field of competition, and of the widespread misogyny, and strengthens itself through mirroring, has met with the world of women’s self-help of “Kim Jiyoung, Born 1982”. And this encounter has made great explosion.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자아 기획의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엄혜진(Hae-Jin Yum)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한국의 여성 자기계발 담론은 여성의 고학력화 등 주체적 조건의 변화 속에서 일을 통해 자아를 실현하려는 여성들의 높은 열망과,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의 관점에서 여성노동력 활용을 적극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새로운 환경이 만나 형성되었다.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독립적인 일을 통해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주체로 호명되었지만, 이내 여성의 자아의 실현과 기획은 남성과 달리 ‘개인’과 ‘여성’ 간에 놓인 긴장과 갈등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의 문제와 연결되었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는 근본적으로 신자유주의 시대가 독려하는 기업가적 자아라는 주체의 형상과 여성 자아를 일치시킬 수 없는 모순에서 발생했다. 여성은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초래된 여러 부담과 갈등을 ‘여성’과 ‘개인’을 오가며 책임지는 유연한 주체가 되어야 했다. ‘개인’이 남성으로 동일화된 사회에서, 이는 이중의 기획이었다. 남성처럼 되기도 해야 했으며, 여성성을 끊임없이 재의미화하면서 여성으로서의 경쟁력과 위험을 관리해야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동요하는 경계에서 형성된 여성 주체가 ‘속물’이다. 기존의 젠더 규범을 역전시키기 보다는 시장 및 가부장제와의 협상과 공모를 통해, 스스로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신자유주의적 에토스에 부합시킨 여성 주체인 것이다. In the postmodern neoliberal era, the contradictions and gaps between the modern subjectivity, which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women as “the others”, and the female self are now creating new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Women had to constantly adjust the sexual differences and gender roles that discorded with the neoliberal entrepreneurial self-images according to market norm, and this required for them to mobilize and flexibilize their femininities in diverse forms. The situation, in which women have to search degendered subjects and at the same time devise and play the contradictory femininities, poses more difficult challenges than following the demands of femininities of the modern gender roles. The discourses of women’s self-help have been shaped ultimately around the issue of how to deal with these twofold and contradictory challenges. While woman is asked to forget her being as woman and search her “self”, in reality, both in workplace and family, she has to shape and manage her femininity according to “men’s rules” and the order of market. This has been the key of female subjectivity and self-enterprise.

      • KCI우수등재

        성차별은 어떻게 ‘공정’이 되는가? : 페미니즘의 능력주의 비판 기획

        엄혜진(Yum, Hae Jin)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2

        최근 들어 능력주의에 관한 사회 담론과 학술 논의가 활발하다. 불평등의 심화뿐만 아니라, 이를 공정하다고 믿고 정당화하는 원동력이 능력주의라는 데 주목하면서다. 군가산점제도 위헌판결 이후 지난 20년간 젠더 관련 담론장을 지배해 온 핵심 역동이 공정을 둘러싼 이전투구와 합의의 실패에 있다고 할 때, 페미니즘의 능동적인 논의 개입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다양한 수준에서 전개되어 온 능력주의 비판에서 젠더 의제가 부수적 효과로 다루어지는 공백을 발견하고, 그동안 페미니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제기되어 온 논의 성과를 바탕으로 젠더 관계를 정의롭게 구성하기 위한 능력주의 비판의 쟁점을 제안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첫째, 능력주의가 여성을 정치 · 경제 · 사회적으로 배제적으로 포함시킨 근대 사회계약론과 그에 따른 분배 패러다임에 기초해 있다는 것이다. 능력주의의 성차별 구조는 정의를 재화와 물질의 분배로 접근하는 분배 패러다임의 한계와 더불어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능력주의는 이상적인 개인과 표준적인 노동자를 남성으로 상정한 노동시장의 성차별적 구조를 경제적으로 비가시화해, 여성을 개인으로 호명하는(작동) 한편, 여성의 능력을 개인이 아니라 여성 집단의 특징으로 정형화하는(오작동) 이중적인 체계다. 이를 통해 능력주의는 젠더 관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노동 지위와 보상을 둘러싸고 젠더 관계를 배치하는 장치로 기능한다. 셋째, 오늘날 능력주의는 불평등을 자연적 질서로 두고 어떠한 형태의 평등 노력도 부정하는 신자유주의 기획과 결속되어 형성되었다는 데 그 고유성이 있다. 신자유주의적 능력주의는 성차별을 ‘공정’하게 만드는 제도적 장치이자 육화된 에토스로 기능하고 있으며, 구매력과 시장 경쟁을 통해 여성의 권리를 실현하라는 포스트 페미니즘의 구조이기도 하다. 젠더 관계의 거대한 전환기를 맞이해 젠더 관계를 이익 충돌과 제로섬 게임으로 치환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정의롭고 평등하게 구성하기 위한 제도적·실천적 과정에 이와 같은 논의가 개입되어야 한다. Over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heated social discourses and intense scholarly discussions about meritocracy. For inequality has been intensified, and at the same a lot of people think that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inequality is meritocracy. Meritocracy justifies the inequality as fairness. Over the two decades, after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 Korean men used to get extra points when applying for public jobs for completing their military service - was found unconstitutional, the key dynamics that have dominated gender-related discoursive field were struggles over fairness issue and the failure of consensus making. Meritocracy, therefore, is also an important issue for feminism. This essay discovers that there is a vacuum in the various critiques on meritocracy - they address gender agenda only as an additional effect - and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s of feminist political philosophy, proposes an issue about critiques of meritocracy to construct more just gender relations. Firstly, meritocracy is founded on the liberal paradigm of distribution that is based on the modern theories of social contract. The theories themselves exclusively include women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sexual discrimination caused by meritocracy, and the structural limits of the paradigm of distribution that confines justice to distribution of goods, must be examined. Secondly, meritocracy makes invisible the sexually discriminative structure of labor market that assumes man as ideal individual and standard worker. Thus it is a twofold system, which appellates woman as an individual(functional), while it stereotypes women’s merit as characteristics of women as a whole, not of individual women (dysfunctional). Through this, meritocracy not only actively exploits gender relations, but also operates as a mechanism that arranges gender relations around labor market status and compensation. Thirdly, the peculiarity of present meritocracy is that it has emerged at the same time as the neoliberal project, which assumes inequality as natural order and negates any efforts for equality. This neoliberal meritocracy is now effectively combining itself with post-feminism, which attempts to realize women’s rights through competition and free choi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could understand that meritocracy is now functioning as an institutional mechanism as well as an embodied ethos for making sexual discrimination ‘fair’, and that in order to correct present gender inequality, we need corrective approaches to distributional principle, as well as institutional efforts to tackle the structural injustices of sexual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