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존 듀이 교육학에 대한 오해와 새로운 이해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01 교육원리연구 Vol.6 No.1

        John Dewey had a distinctive conception of education which has influence on the various educational movements of many countries. He contributed to the pedagogical shift from traditional patterns of educating by rote memorization to learning by doing or learning by experience. Although his production of educational works are prodigious: forty books and more than 700 articles, they are widely read. But his works are not exactly understood. Some people consider that his educational theory attaches much importance to mundane and bread-and-butter character of education, and systematizes their common sensical view point of education. They applaud Dewey to the echo. But other people interpret Dewey`s educational theory as sacrificing the essence of education for its cash-valu e. They con sider the value of subject-matter as the educational value. They claim that Dewey` s theory mu st be exiled from the territory of education. But both the sides misunderstand the insights and the essential points of Dewey`s educational theory.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Dewey`s real intention that has been neglected by his followers and antagonists. If Dewey` s educational theory is saved from its various abuses, misuses, and misunderstandings,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within which education`s unique value and principles are revitalized .

      • KCI등재
      • KCI우수등재

        Kierkegaard 가명 저작의 방편성

        엄태동(嚴泰動) 한국교육학회 1998 敎育學硏究 Vol.36 No.4

        Kierkegaard의 교육방법인 간접전달은 가명의 저작술을 사용한다. 가명의 저작술이란 자신의 실존은 숨겨 두고, 독자들이 거쳐야 되는 실존들, 저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미 극복된 과 거의 실존들을 담은 저작을 발표하되, 이에 가명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때 가명 저작에 담긴 실존들 사이에, 그리고 그 실존들과 저지의 실존 사이에는 불일치와 모순이 존재한다. 가명 저작들에 담긴 실존들은 저지인 Kierkegaard의 실존에 비추어 보면, 거짓에 해당한다. 그러나 Kierkegaard는 자신의 저작이 전달하는 내용들 사이에 모순이 존재하도록 꾸밈으로써 독자들이 주체적으로 이를 해소하여 새로운 실존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한다. 이는 부처가 자신의 깨달음을 직접 주기보다는 중생의 수준에 걸맞는 것을 제시하여 단계적으로 이들을 이끄는 불교 교육방법의 원리인 방평에 상응한다. 방편으로서 Kierkegaard의 가명 저작은 교육본위의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한 특이한 교육방법을 시사한다.

      • KCI등재

        논어 ‘학이시습지’ 장(章)에 대한 교육학적 오독(誤讀): 학시습의 열(說)과 회화의 낙(樂), 그리고 홍도(弘道)하는 삶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19 교육원리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unended study is to rethink, or redescribe what is education by rea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hermeneutic method called intentional strong misreading.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draw new academic concepts, educational imagination and insights from the first three sentences of the Analects. The first three sentences are very important to interpret consistently the hundreds of fragmented sentences of the Analects, understand the details of Confucius' thought, and disclose the hidden aspects or totality of education. The tentativ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elf-sufficient flow-experience(Yeol-Rok, 說樂) of education is depicted and exalted to be worthy of living for everyone. The educated man(Gunja, 君子) is willing to devote his life to pursuing and enjoying Yeol-Rok. This kind of educational life of Gunja accompanies naturally the life of searching and widening human transcendental ways(Hong-do, 弘道). The educational life of pursuing Yeol-Rok and attempting Hong-do can be conceptually divided but exist as one that can not be separated. Although these results are very far from satisfaction and just first step to educational conceptualization, the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of educational interpretation on the Analects and making autonomous educational theory. 이 글은 공자의 교육사상을 논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교육학이 하나의 자율적인 학문이라면, 동일한 텍스트를 놓고도, 다른 학문이 하는 것과는 다르게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논어 학이편의 첫 세 문장인 학이시습지 장을 중심으로 논어를 교육학의 시선을 통해 의도적으로 오독한다. 그럼으로써 논어 속에 등장하는 단편들을 재료로 삼아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학이시습지 장은 학시습의 열과 회화의 낙을 서로 구분되는 각별한 삶의 보람으로 노래하고 있으며, 이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보라고 권고하는 글로 읽을 수 있다.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공자는 도(道)가 아니라 도를 넓히는 홍도(弘道)에 주목한다. 홍도하는 삶은 교육의 열락을 쫓으며 사는 삶의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말할 수 있다. 교육의 열락이 없이는 홍도하는 삶이 가능하지 않다. 논어에 대한 이러한 교육학적 오독을 계속 수행해서 논어 전편을 다시 서술하는 가운데 이를 가지고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은, 논어 연구는 물론이고 교육학 연구와 관련해서도,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연리와 이행”, `공조와 동행”이 빚은 현대미술의 교육적 탄생: 마티스, 피카소, 브라크의 경쟁과 협력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12 교육원리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선진과 후진이 같은 길(道)을 교육의 소재로 삼아 함께 걸어가는 ‘사제동행’ 이외에도 하나의 커다란 길을 형성하는 서로 다른 작은 길(이질적 품위 계열)에 속한 경쟁자들 사이의 ‘이행’(離行), 그리고 같은 길을 가는 등등 품위 소유자들 사이의 ‘공조’(共助) 등 다양한 장면에서 교육이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마티스와 피카소 사이의 교류를 살펴보면, 이들이 미술계 내의 이질적인 유파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상구를 통해 상대의 장점을 흡수하여 자기 발전을 도모하면서도(連理), 동상적인 교육의 경우와는 달리, 상대와 자신 사이의 차이를 더욱 심화시켜 이행함으로써 미술계 전체의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입체주의 탄생시킨 브라크와 피카소의 협력을 분석하면, 그들이 개별적인 주체가 아니라, 양자 가운데 어느 한 사람으로 환원될 수 없는 ‘서로-주체’로 결합하여 독특한 공조상구를 전개하였음이 드러난다. 그 동안 상대적으로 교육학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이러한 교육의 양태들을 드러내어 개념화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본위론을 좀 더 풍요롭게 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의도이고 목적이다.

      • KCI등재

        ‘삶과 앎과 교육의 삼중체(三重體)’와 홍운탁월(烘雲托月)의 사유 방식

        엄태동 한국교육원리학회 2022 교육원리연구 Vol.27 No.2

        This report is to rethink and reanswer one important question, ‘What is education?’, by reconsidering the boundary of education and non-education. Living and knowing seem to be conceptually different from education, but they are ontologically entangled with education.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belong to each other. They make each other. Therefore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can not be divide into three mutually exclusive self-sufficient entities. They exist only as one entanglement, or in the relationship of entangled-belonging-together(共屬). If this conjecture is reasonable, the question, ‘What is education?’, asks us to depict living, knowing and education together in terms of entangled-belonging-together. Traditional academic approach of discriminating education from non-education according to the logic of analytic inquiry and binary opposition can not depict education with living and knowing as one entanglement. Hongwuntakweol(烘雲托月) as the technique of oriental painting can suggest new way to handle this difficult problem. The new way to think and depict education with living and knowing in the entangled-belonging-together is expected to make possible academic solidarity with the Humanities.

      • KCI등재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본 초급지식의 성격 : 교육의 가치와 교과의 가치에 대한 분석

        엄태동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1

        초등교육은 기초적인 초급의 교과지식을 다루는 준비 교육으로 규정된다. 이 경우 초등교육은 초급지식의 낮은 위상과 함께 교육의 질과 수준이 높지 않은 초급교육으로 인식될 우려가 있다. 교육은 교과에 들어 있는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교과의 가치의 교과의 수준이 높을수록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초급지식이라는 개념은 초등교육의 실체를 제대로 드러낼 수 없다. 초등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초급지식이 아니라 언제나 최선을 다해야만 이해가 가능한 최고·최선의 지식을 배우고 있다. 또한 교사는 자신의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의 지식을 교과로 삼아 가르치고 있다. 교사에게 초급지식이 있다면, 그것은 그의 현재의 지적 수준을 조금 상회하는 지식을 의미한다. 학습자가 자신에게 최고·최선의 지식을 충실히 배운다면, 그리고 교사가 이를 제대로 가르친다면, 그들의 교육은 고급의 교육으로 평가받아 마땅하다. 이 점에서 초등교육은 교과지식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고급의 교육이 될 수 있다. 교육의 가치와 교과의 가치는 동일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Most people define primary education as that in which teachers teach elementary knowledge to students and prepare students for higher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term primary education is often used as a synonym of elementary education. But the notion elementary education as the antonym of higher education makes many people identify primary education with the lower or inferior education. To further confuse the issue, there is a general agreement amongst a group of educator that the value of subject matter is the end that education should make effort to achieve. From this point of view, elementary knowledge is less valuable than higher or advanced knowledge. Therefore, the notion elementary education degrades itself to has less respect than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education and differentiate the value of education from the value of subject matter. The unique argumen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notion elementary knowledge is meaningles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ach of the students always has his or her own knowledge that he or she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In this respect, as a matter of course, every student, including primary school student, learns his or her own valuable knowledge. There is no student who learns only elementary knowledge. 2) The inherent educational value cannot be attributed to subject matter. The value of subject matter get maximized as subject matter reaches the highest level. However, the educational value can be experienced at each level of subject matter. Accordingly, every student, including primary school student, can experience educational value without learning higher level knowledge. It is possible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learning elementary knowledge can have valuable educational experience like other students who learn more advanced knowled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primary educat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without using the term elementary knowledge or overemphasizing the value of subject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