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 내 장애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동기 ( Dong Ki Han ),강유석 ( Yoo Seok Kang ),양한나 ( Han Nah Y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 상황에 있는 초등학령기 정신 및 정서 장애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의 또래관계와 신체활동에 관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고, 현장의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일반교사, 특수학급교사, 부모,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수집된 자료는 전문가 협의를 통해 분석 및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과 목표의 설정, 프로그램의 구성 기준 설정, 프로그램의 영역 및 내용 설정, 그리고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및 준거의 설정 등의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였다. 또한 개발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의 검토과정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으며, 최종적으로 8개의 대영역과 26개의 중영역, 그리고 각각의 중영역을 세분화하여 총 109개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추후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review about peer relationship and physical activity was made first, then deep interview and field observation were conducted on regular class teacher, special class teacher, parent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 understand the field. Validity test of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by the discussion of professionals. Analysis of data found that changing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eacher was mostly in need and amo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e with will to participate and developed motor skill had a positive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overall analysis, the direction and goal of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the form basis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the development of model and reference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were decided. Additionally, 8 major categories and 26 subcategories were classified. Ramifying each subcategories resulted in developing 105 physical activiti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the field.

      • KCI등재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발달장애인 신체활동 중재에 관한 문헌 분석

        권현진 ( Hyun-jin Kwon ),양한나 ( Han-nah Y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신체활동 연구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KERIS)를 통해 2000년부터 2020년 사이에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가상현실’, ‘증강현실’, ‘Wii’와 ‘장애’, ‘운동’, ‘재활’을 조합하여 검색한 결과 총 296편을 찾았고 3단계의 검토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9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 경향에 따르면 2010년에 처음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고 초기에는 심동적 영역의 효과에 관심을 기울였으나 점차 정의적 영역으로 관심의 폭이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아동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다양했으며 중재 프로그램으로는 Nintendo Wiifit/sports, X-Box와 같은 상용 제품을 주로 사용하였고 최첨단 ICT 기술을 적용한 연구는 실행되지 않았다. 종속변인으로는 심동적 영역에서는 물체조작 기술, 건강 체력, 협응력, 평형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주의집중, 운동 몰입도, 우울과 같은 정신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영역에서는 게임 규칙 및 전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발달장애인의 강점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첨단의 ICT 기술이 활용된 프로그램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할 것이며, 장애인의 신체활동에 가상현실 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examine published research literature exploring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ing for individual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evant articl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20. When searching published literature, we used the following search terms, aggregated when possible,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Wii’, ‘disability’, ‘exercise’, and ‘rehabilitation’. Nin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a three-step review process from an initially found 296 studies, and were analyzed. There were major 3 finds in these studies: (1) the first research publication was in 2010, and main topic of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programming on psychomotor outcomes among the participants. Later, the research topics were gradually extended to cognitive domain for those population; (2) the age range of participants was from children to adults, and the Nintendo Will fit/sports and X-Box were used as the intervention programs. However, no study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known as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has been carried out; and (3)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elicited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manipulative skills, fitness, coordination, and balance in psychomotor domain, attention, sport flow, and depression in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rules of game and strategy in cognitive domain. Future research should aim not only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using the highly regarded ICT technology, but also should explore the implementation of a variety physical activity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 KCI등재

        시각장애 노인의 체력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연구 분석

        권현진 ( Hyun-jin Kwon ),강유석 ( Yoo-seok Kang ),양한나 ( Han-nah Y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에서 발표된 시각장애 노인의 체력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관련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외에서 발표된 시각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중 최종 6개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모두 시각장애 노인의 건강 및 체력에 대한 관심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80대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의 경우, 대상자들의 건강상의 문제, 인지 능력의 제한, 보행 가능성 여부 등이 운동 참여 가능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프로그램 중 단기간의 집중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전문가와 함께 하는 운동 프로그램의 경우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외국의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노인의 낙상 또는 낙상 관련 하지 근력 및 평형성 관련 요인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시각장애 노인의 체력 증진을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운동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앞으로 대상자의 건강 상태 및 체력 수준을 면밀히 고려하여 운동 강도, 방법 및 빈도 등을 과학적으로 검증한 프로그램 보급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to develop physical activity (PA) guidelines for with visual impairments (VI) based on the results that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for promoting fitness in the target group. For the current review research, the author finalized a total of six articles deemed appropriate for inclusion among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that studied with VI using PA interventions between 2000 and 2018. This study presented five conclusions as follows: (a) there were an unfortunate scarcity of studies that focused on health and fitness of the elderly with VI in Korea and overseas; (b) For research conducted on the elderly over 80 years old, the cruc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ir engagement in PA was discovered to be health conditions, limitation of cognitive ability, and the capability to walk of the subjects; (c)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physical fitness in the elderly with VI when they participated in short-term PA intense programs with physical training specialists; (d) foreign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falling o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and balance of the elderly with VI. Whereas, research regarding such topics were lacking in Korean journals; the quantity of PA programs promoting physical fitness for the elderly with VI were critically scarce. Hence, scientifically validated PA programs, with detailed exercise intensity, methods, and frequency guidelines and tailored to enhance physical fitness and health of the elderly, is in urgent need.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남자아동의 신체활동량 분석

        정진욱 ( Jin Wook Chung ),권현진 ( Hyun Jin Kwon ),김연수 ( Yeon Soo Kim ),양한나 ( Han Nah Ya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 남자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신체활동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충청권에서 초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만 10-13세의 남자아동 18명(지적장애 9명; 비장애 9명)으로 하였다. 필립스사의 액티칼을 이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SPSS ver. 12.0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 아동의 전체 및 일일 평균 신체활동량이 주간(p=.001), 주중(p=.001), 주말(p=.036) 모두 비장애아동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별 신체활동시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일주일 전체에서는 중강도(p=.000) 및 고강도(p=.042), 주중에서 중강도(p=.000) 및 고강도(p=.031), 주말에는 중강도(p<=.002) 신체활동 시간에서 장애아동이 비장애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p=.027) 및 주중(p=.013) 좌업적 신체활동 시간은 장애아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적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은 생활패턴과 비슷한 체격을 갖고 있는 비장애 아동에 비해 에너지소비량, 신체활동 시간이 현저히 부족하므로, 이들을 위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ID). Eighteen children in Seoul and Chungcheng-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hildren with(n=9) and without(n=9) ID. They all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one or two times a week. Actical(Philips)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Win Ver. 12.0. As a result, physical activity level of with ID group in whole week(p=.001), weekdays(p=.001), and weekend(p=.03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without ID group. In time duration of different intensity, moderate(p=.000) and vigorous(p=.042) in whole week, moderate(p=.000), and vigorous(p=.031) in weekdays, and moderate(p<=.00) in weekend of children with ID showed significant lower level whereas sedentary in whole week(p=.027) and weekdays(p=.01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nclusion, children with ID need designed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 발달성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의 선별과 진단

        양한나,김의수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리뷰 Vol.1 No.2

        Deficits of mot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ffect negatively to both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ccording to research tendency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since 2000, study in Korea was few compare to the studies of overseas were plenty. Also, only motor skill test is used to be classified a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Korea whereas at least 3~4 strict tests of screening process is used in overseas. To activate the research ab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Korea and to classify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with confidence, more various but accurate and standardized tests should be developed. 발달성협응장애(DCD) 아동의 운동발달 지체 및 운동기술의 부족은 신체적, 사회심리학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내외 연구 경향을 살펴본 결과 외국에서는 2000년 이후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연구는 매우 부진한 상태이다. 또한 외국의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DCD) 아동의 선별과 진단과정이 엄격하고 최소 3-4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치는데 반해 국내의 연구는 운동기술검사만으로 발달성협응장애(DCD)를 선별하고 있다. 국내 발달성협응장애(DCD) 관련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대상자에 대한 선별기준이 설정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운동기술 검사도구의 한국형 표준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