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영역별 지향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양윤이 ( Yang Yun Yi ),이태연 ( Lee Tae 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초등돌봄교실은 사회적인 관심과 요구에 의해 양적 측면에서는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지만 질적인면에서는 여러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초등돌봄교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해결되어야 하지만 그 동안의 연구는 운영 실태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실태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전반을 분석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초등돌봄교실의 지향점과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부가 2015년에 제시한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지표들을 유목화하여 운영 관리 영역, 운영 프로그램 영역, 인력 관리 영역, 운영 지원 영역 등 네 가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 영역별 요소들과 관련된 실태와 지향점을 규명하기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현장 전문가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초등돌봄교실 운영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 관리 영역에서는 법적 제도에 근거한 감독체계와 초등돌봄교실을 안정되고 일관되게 운영할 수 있는 국가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운영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초등돌봄교실 취지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의 매뉴얼화가 요구된다. 셋째, 인력 관리 영역에서는 초등돌봄전담사의 자격기준과 역할에 대한 법적 근거가 요구된다. 넷째, 운영 지원 영역에서는초등돌봄교실 운영에 도움 되는 다양한 연계체계가 활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초등돌봄교실을 관리 감독할 수 있는 법적 제도 마련이 요구된다.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has been developed quantitatively by social interests and needs, but confronted with various problems qualitatively. These problems should be solved by systematic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but recent studies have limits in analyzing it holistically because they have dealt with operation situations or satisfaction for it mainly. This study set up four domains to analyze operation situations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in general and search for orien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desirable management of it. This study classified managerial index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into four related domains, such as managerial domain, program domain, manpower domain, and support domain. This study investigated on experts and field officers`` opinion about managerial index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in each domains. Major suggestions of this study for ac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are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supervisory system based on legal regime and consistent and expectable policy of government are required above all things in managerial domain. Second, definitive standards for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and manuals for customized programs are required for stable and desirable management in program domain. Third, qualification standard, labor deal, guarantee of status and range of responsibility of field officers must be defined clearly by legal regime in manpower domain. Lack of legal regime brings about most of difficulties to field officers such as poor treatment, uncertain status and pay differential. Fourth, active supports from various cooperating systems are helpful for managing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but cannot be effective without relevant supervisory system based on legal regime in support domain.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legal regime, as the activation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are urgently needed as the activation method of elementary school care class. are the establishment of legal regime.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전담사의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신혁금(Shin, Hyuk Keum),양윤이(Yang, Yun Yi)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1 방과후학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운영현황과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초등돌봄전담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따른 초등돌봄프로그램의 질적제고의 기초자료 마련 및 초등돌봄교실의 질적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돌봄교실에서 오후돌봄을 운영하는 초등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22.0의 통계분석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KMO와 Bartlett검증), 빈도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의 수는 주당 3개이며, 체육・음악・미술과 관련된 예체능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돌봄 무상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으로는‘무상프로그램의 필요성, 돌봄학생의 특기와 재능개발 도움, 인성과 창의성 함양 도움, 사교육비 절감 도움, 초등돌봄 운영 취지 도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그 외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는‘돌봄프로그램 질 저하, 초등돌봄전담사 역할에 대한 모호성, 초등돌봄 운영취지’그리고 ‘수요자 요구가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으로는 무상프로그램만의 운영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수익자 부담과 무상프로그램에 대한 혼합운영에 대하여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초등돌봄전담사가 프로그램의 기획 및 관리의 주체자가 되어야 하며 초등돌봄전담사의 전문성 향상이 초등돌봄교실의 질적 서비스 향상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mentary care free program and the awareness of the elementary care specialist, and to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programs and the quality of elementary care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care practitioners operating afternoon care classes in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KMO and Bartlett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free elementary care programs per week is three, and that sports, music, and art-related arts programs are mainly operated. The perception of free primary care program management was positive about the need for free programs, helping care students develop their talents and talents, helping to foster personality and creativity, reducing private education costs, and other problems were decreasing quality of care programs, ambiguous purpose of primary care and dem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ositively recognized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but for the mixed operation of the free program, the burden of beneficiaries and the free program were negatively recognized. This requires policy support because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should be in charge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elementary care professionals i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quality services in elementary care classes.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교실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질제고 방안

        김창희(Kim, Chang Hui),양윤이(Yang, Yun Yi)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 정책 추진 초기에 겪었던 시행착오적 현장의 문제점을 초등돌봄교실에서 근무중인 돌봄전담사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외국의 돌봄 정책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초등돌봄정책 질 향상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돌봄의 주요개념을 살펴보고 국내외 돌봄정책 관련 문헌을 탐색하였다. 또한 초등돌봄교실의 운영과 초등돌봄전담사의 자격과 역할 및 업무분석에 대한 사례연구를 운영측면, 교사측면, 개선측면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측면에서는 전일제전담사의 책임전담사제도 마련이 필요하며, 운영시간 준수에 따른 근무시간 통일이 필요하고, 학교 직영과 민간 시설의 구분과 협력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등돌봄교실의 교사 측면에서는 전담사의 역량강화가 필요하며, 전담사의 통일된 자격과정의 신설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밖에도 대체인력풀의 활성화 필요성과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한 전담사의 교내활동 참가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등돌봄교실 개선 측면에서는 돌봄의 가치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 초등돌봄교실 예산의 효율적 편성의 필요성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돌봄전담사에 대한 투자 확대의 필요성, 돌봄교실 운영 표준화 필요성, 질 개선을 위한 TF팀의 필요성, 초등돌봄교실의 초등돌봄센터로 승격화, 초등돌봄교실 근거법 마련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trial and error in the early stage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policy by the cases of the care specialists who are working in the elementary care class, to compare them with the care policies of foreign countries,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We examine the main concepts of caring and study literatures on domestic and foreign caring policy. We analyze the case study on the elementary care class management and the qualification, role, and task of its specialists in three aspects. This study shows the needs of policy for the full-time specialists in full charge, of the unification of work hours by following the regulation of operating hours, and of sepa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chool-managed facilities and private facilities. In the aspect of specialist development, we find out the necessit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specialists and to establish a unified specialist qualification course. In addition, we also find out the necessity of revitalization of the alternative labor pools and of specialists’ participating in school activities for the linkage with the regular curriculum. In the aspects of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class, we find out the importance of awareness of the value of care. We find out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and of efficient budget compilation of elementary care class. Our findings support the necessity to increase investment in care specialists, to make standard regulations of care class operation, and of task force(TF) team for quality improvement. The results also support promotion from elementary care class to elementary care center. And making applicable Act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창희(Kim, Chang Hui),양윤이(Yang, Yun Yi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9 방과후학교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하위 요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 공립초등학교 초등돌봄전담사 중 총 30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설문지는 인구학적 변인 이외에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심리적 소진의 3개의 척도로 Cronbach’s α의 계수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SPSS WIN 24.0 통계 프로그램,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증과 ANOVA,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관계와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볼 때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은 정적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지지와는 역상관관계를, 사회적지지는 비인간화 소진에 분명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초등돌봄전담사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돌봄정책 확대에 따른 초등돌봄 시스템 구축, 근무유형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지원, 초등돌봄전담사의 학력수준과 전문성의 인정과 지지, 초등돌봄전담사에 대한 직업적 대우와 사회적 인정과 지지 그리고 돌봄교육과정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subordinate factors on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nursery specialist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 total of 303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nursery specialist in Seoul s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addition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measures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SPSS WIN 24.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test and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job stress and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nursery specialists showe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and both job stress and burnout had an invers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definite moderating effect on dehumanization. This study presented support for coordinating work and family of elementary school nursery specialists, building an elementary school nursery system by expanding care policies, supporting programs to overcome job stress and exhaus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recognition professionalism and the educational level. In addition, vocational treatment, social recognition and support, and improvement of caring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돌봄교실 전담사와 관리자의 인식 비교 : 운영효과 및 개선점을 중심으로

        김창복 ( Kim Chang-bok ),양애경 ( Yang Ae-kyeong ),양윤이 ( Yang Yun-y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의 발전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돌봄교실 현장 운영의 주체자인 돌봄전담사와 돌봄관리자가 초등돌봄교실의 운영효과 및 개선점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서울 소재 지역 교육청 관내 공립 초등학교 118교를 유층표집 방식으로 선정하여 돌봄전담사와 돌봄관리자에게 설문지를 우편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최종 연구에 활용한 전담사용 195부와 관리자용 227부의 설문조사응답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 t-검증, 기술통계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돌봄교실 운영이 필요한 학년은 전담사와 관리자 모두 2-3학년까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아서 서로 차이가 없었고, 오후돌봄 운영시간의 적정 운영시간은 관리자가 전담사보다 좀 더 늦은 시간까지로 인식하여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3.138, p<.01). 둘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효과에 대한 인식은 전담사와 관리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t=7.805, p<.001). 운영효과의 하위 항목에서도 사교육비 경감 효과 이외의 5개 항목(학생의 전인교육, 맞벌이 부모 자녀의 돌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부모의 사회·경제 활동 지원, 학교·학부모·지역간 협력체제 구축)에서 모두 전담사가 관리자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은 효과 인식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돌봄교실의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에 대해서 전담사는 ‘돌봄전담사 처우’와 ‘돌봄 운영시간’의 문제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관리자는 ‘시설 및 환경’, ’정책 및 제도‘를 가장 높게 인식함으로써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의 돌봄주체자인 전담사와 관리자의 생생한 인식 현황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생각되며, 특히 전담사와 관리자가 돌봄 운영시간이나 운영 효과, 개선점 등에서 서로 간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밝혀낸 것은 본 연구의 의미 있는 성과라고 사료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학부모 및 학생의 높은 수요와 만족도를 반영하여 양적·질적으로 더욱 확대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staffs and managers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in charge of after-school care program, etc.) in order to improve operational plan for elementary after-school care program. 118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chools with less than 3 after-school care classes and with more than 4 clas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post mai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are staffs and the managers in the selected 118 schools. Total 195 care staffs and 227 manag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 staffs and managers considered 2nd∼3rd graders and younger pupils were appropriate subjects to after-school care program.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are staffs and managers on the opinion of appropriate age for after-school care program. However, managers prefer longer operation time for the afternoon care program than care staff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 of the elementary care program class between care staffs and managers. The care staffs showed higher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after-school care program; holistic education, support for dual-income families, pupils’ school adaptation, support for socio-economic activities of parents, parent-school-community cooperation, but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Third, the care staffs more concerned on ‘benefits of care staff’ and the ‘operation hours of care program’ while managers did 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the ‘policy and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after-school care program.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hearing the voice from the field experts on after-school program. Hence, it would be substantial empirical data for policy mak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establish long-term plan for after-school car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