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캐릭터 성격구조의 이해

        양세혁,좌은정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2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nimation characters is revealed as the characters' roles and behavioral patterns in the drama work as elements of sympathy with the audience. Therefore, character creation is not simply limited to the invention of outward appearance. It must start from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structure that leads the plot.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various personality structures retained in characters, centering on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by director Hayao Miyazaki, who has created unique characters. As par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characters were defined. Second, personality types were examined from Carl G. Jung's psychological viewpoint. Analysis was made by connecting the method of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based on the multiplicity of personality, namely,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intuition and sense, thinking and feeling, and judgment and understanding' to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 among roles in the drama, namely, 'victim, persecutor and savior.' Lastly, the research viewpoint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characters in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was applied. The present study def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 reveale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haracters and their organic relations as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characters' and documented data. In addition, this study is regarded as meaning in that it suggested an example of the effective creation of animation characters that win the sympathy of the audience.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성격구조는, 배역의 극중 역할과 행동유형이 관객과 공감각적 요소로 작용함으로써 드러나게 된다. 그러므로 캐릭터 창작은 단순히 외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롯을 유도하는 성격구조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성 있는 캐릭터를 창작해 온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중심으로, 캐릭터에 내재한 다양한 성격구조에 관하여 고찰했다. 그 방법으로 첫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하여 정의했다. 둘째, 칼 G. 융의 심리학적 관점에 의한 성격의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분석 과정은 성격의 다중성에 기초한 성격의 유형, 즉 ‘외향과 내향, 직관과 감각, 사고와 감정, 판단과 이해’의 분류 방식과 극중 역할의 유기적 관계에 기초한 ‘피해자, 학대자, 구원자’의 분류 방식을 연계하여 진행했다. 마지막으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연구 관점을 적용했다. 본 연구는 캐릭터의 성격 유형과 유기적 관계에 의해 드러난 총체적 특성을 ‘캐릭터의 성격구조’로 정의하고, 데이터를 자료화하고자 했다. 또한, 관객과 공감하는 효과적인 애니메이션 캐릭터 창작의 예를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조커의 억압가면으로서 아서를 통해 본 빌런의 캐릭터 아크 -영화 <조커>(2019)를 중심으로-

        양세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villain’s character arc, who undergoes an opposite change from Arthur to Joker, by the need to examine the substantive identity and psychodynamics of Arthur Fleck in the movie <Joker>(2019).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①employing the psychoanalytic concept of ‘Self’ to distinguish the substantive identity and relationship between Arthur and Joker, ②examining the causal structure of triggers and developments that initiated inner changes using the character arc concepts of obsession and downfall, ③applying the framework of the myth of the hero’s birth to structure the process of Arthur’s disappearance and Joker’s full manifestation. The progress aimed to record the lines and actions of Arthur and Joker expressed in the film, analyze the implied meanings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items of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define terms that could imply the embodied concepts.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1)Arthur is a false self, and the substantive identity of his true self is Joker. 2)Arthur reinforces his obsession, distorting the true self as a repression mask for Joker’s manifestation. Ironically, due to this obsession, he collapses and crumbles on its own. Arthur’s downfall signifies the dismantling of the repression mask. 3)This stage shares the heroic mythical characteristics of prophecy, impregnation, labor pains, and birth. Joker is completely freed from the repression mask in the impregnation stage and, through the birth stage, declares the emergence of a new villain, the birth of Joker, to the worl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due to the specificity of character arc of <Joker>, it is limited to generalizing it as a new villain character arc or using it as comparative data. Nevertheless, as an attempt to deeply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internal conflicts driving the villain’s character arc on narrative eve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character arc that explores the human identity problem caused by the ambiguity of the complex 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 캐릭터의 정신역동적 성장 구조 - 욕망 왜곡의 변인으로서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

        양세혁 ( Sehyeok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4

        본 연구는 중심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통한 성장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쇄적인 심리 변화의 인과관계를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정신역동은 무의식적 동기나 의도에 의한 역학적인 투쟁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적 갈등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무의식적 상호작용에 의해 타협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때 작용하는 것이 ‘자아방어기제’이다. 이것의 원시적 속성은 두려움을 야기하는 현실의 문제를 왜곡함으로써 회피하거나 적응하려하는 자기기만적 대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어기제가 캐릭터의 근원적 욕망을 왜곡시키는 변인으로 작용하며, 캐릭터의 ‘성장’ 여부를 결정하는 정신역동 과정의 핵심이라는데 주목했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자아정체감 회복의 전형적 성장담을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세 작품을 선택했다. 성장과 성장 실패의 대조로써 논리를 검증할 수 있도록‘주동’, ‘반동’ 캐릭터를 각각 하나 씩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방어기제 유형의 특성을 분석의 기준으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의 정신역동은 ① 내재된 결핍에 의해 두려움이 발생하고, ② 방어기제의 작용에 의해 욕망이 왜곡되며, ③ 두려움의 극복을 통해 왜곡되었던 욕망이 회복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하여, 정신역동적 성장의 구조란 원시적이고 미숙한 방어기제로부터 성숙한 사용으로의 전환을 통해, 스스로의 결핍을 직시하고 포용함으로써 자신의 근원적 욕망과 연결시키려는 노력의 과정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내면적 변인을 분석하려는 시도의 난점은 캐릭터는 실체적 인간을 온전히 포괄할 수 없다는 점과, 작품 속 대사와 연기라는 정보의 한계였다. 이에, 관련된 타 학문과의 교류와 협업을 통해 보완할 수 있기를 제안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successive psychological chang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growth through the internal conflicts of main characters in the aspects of psychodynamics. Psychodynamics refers to dynamic struggle resulted from unconscious motivation or intention. To protect oneself from that internal conflict, 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through unconscious interaction, and what works at this time is ‘self-defense mechanism’. The primitive attribute of this is self-deceptive coping to avoid problems in reality causing fear by distorting it or adjust oneself to i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defense mechanism works as a variable to distort the character’s ultimate desire and is the core process of psychodynamics to determine the character’s ‘growth’. For the research, first, this author selected three animation works containing the typical stories of growth to recover self-identity. To verify the logic with contrast between growth and growth failure, this researcher chose one ‘leading’ and one ‘reactionary’ character.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mechanism types were used as the criteria of analysis. Through thi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characters’ psychodynamics, ① fear arises due to their internalized deficit, ② their desire gets distorted by the functions of defense mechanism, and ③ their distorted desire gets to be recovered through overcoming fear. To sum up, this researcher has concluded that the structure of psychodynamic growth is the process of endeavoring to convert primitive and immature defense mechanism into mature one to look squarely at and embrace their own deficits and link it with their own ultimate desire. Lastly, it was hard to analyze the internal variables of those animation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could not manifest substantial humans holistically and all the information collected was lines in the works and their acting. Therefore, this author intends to end this research suggesting you to complement it afterwards through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sciences.

      • KCI등재

        <Up>의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 분석

        양세혁(Se-Hyeok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의 정신역동을 통해 서사의 추진력이 되는 내적동기가 다성적 구조로 강화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 관점에서 픽사의 <업>에 나타난 캐릭터라이징 전략을 분석하였다. 캐릭터의 두려움과 욕망을 검증하기 위해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론을 분석틀로 활용했으며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① 중심캐릭터 칼의 두려움과 욕망에서 비롯된 정서가 각각 먼츠와 러셀로 은유되었으며, 따라서 내면의 정신역동과 그것이 시각화된 외부의 사건이 대위법적 구성으로 설정되었다. ② 그러나 그 뛰어난 전략은 칼의 다성성이 강화된 것에 반비례하여, 먼츠와 러셀의 정신역동을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한계로 작용했다. 끝으로 본 연구와 향후 후속연구의 결과를 더해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캐릭터라이징 전략에 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안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intrinsic motivation which becomes the force to promote narrative is reinforced as a polyphonic structure through the psychodynamics of fear and desire internalized in a character, and from this perspective, it analyzes character rising strategies shown in Pixar’s movie, <UP>. To verify fear and desire of a character, this study uses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eory as the frame of analysis and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s: ① The main character, Carl’s emotion originated from fear and desire was metaphorized as Muntz and Russell each, so the inside psychodynamics and the outer event visualizing it are set as contrapuntal composition. ② However, inversely to the enhancement of Carl’s polyphonicity, that excellent strategy works as the limit that restricts the psychodynamics of Muntz and Russell to a certain range.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suggested as a sort of methodology about character rising strategies as turned into the database to which the result of follow-up research will be added, too.

      • KCI등재

        캐릭터의 자아방어기제를 은유하는 "안티돔" 공간의 성격화 전략

        양세혁(Yang, Se-Hyeok),류범열(Ryu, Beom-Yeol)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1

        애니메이션 작품에서는, 캐릭터의 내적갈등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고 주제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한 전략의 하나로서 공간을 성격화한다. 내적갈등의 과정은, 캐릭터가 결핍에 의해 형성된 두려움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무의식적 차원에서 방어기제를 사용하며, 그 자기기만적 속성 때문에 현실이 왜곡되며 갈등이 강화되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에 나타나는 공간의 구분에 있어서 갈등이 심화되는 공간인 ‘안티돔’의 개념에 주목하고, 작품 분석을 통해 내적갈등의 양상과 공간의 특성을 ‘은유 구조의 틀’로 해석하여, 캐릭터의 내적갈등을 증폭시키는 방어기제의 작용이 ‘안티돔’으로 성격화되는 그 근원적 관계성을 밝히고자 했다. 분석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TV 시리즈와 극장판 <EOE>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극중의 캐릭터들이 모두 심각한 가정사적 결핍과 A.T.필드로 상징되는 배타적 경계의 심리적 속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과, 무엇보다도 핵심 캐릭터인 ‘이카리 신지’를 통해 내적갈등에 대한 강박적 방어기제의 사용, 그 결과로 나타난 자아의 붕괴와 성찰의 과정을 전체 플롯의 핵심 맥락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을 통해서, 캐릭터의 방어기제와 ‘안티돔(안티고로드로 확장된)’ 공간과의 유사적 관계를 추론하였으며, ① X축의 ‘수평공간’과 ② Y축의 ‘수직공간’, ③ 모든 공간이 ‘탈출구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졌다는 의미에서 Z축의 ‘모순의 심도 공간’으로 구축되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방어기제와 안티돔의 은유 관계 분석에 있어서 첫 출발의 의미로, <에반게리온>이 가장 적합한 분석 작품이라는 판단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 애니메이션 특유의 현학적 구성과 확장적 해석의 가능성 때문에 오히려 명료한 검증이 어려웠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작용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이 애니메이션 텍스트의 해석에 있어서 공간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nimations characterize space as a strategy to effectively show the inner conflicts of characters and to highlight the theme. During the process of inner conflict, characters unconsciously use defense mechanism to protect their egos from the fear that came from deficiency, and because of the self-deceptive quality of self-defense mechanism, the reality is distorted and conflicts get intensified.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anti-house, the space where conflicts get intensified, analyzes animations to find out the aspect of inner conflict, and interprets the characteristic of space that is used for metaphoric structure frame. Also, it aims to reveal how the defense mechanism, which intensifies the inner conflict of characters, is characterized as anti-house. The analysis in this study was mainly done with the TV series, <Neon Genesis Evangelion>, and the theater version of <EOE>. It is because the characters have serious deficiency from broken home and have a psychological quality of closed boundary that is symbolized as "A.T. field". Especially, the core character, "Shinji Ikari", shows how a character uses compulsive self-defense mechanism to deal with inner conflict and as a result, goes through ego-collapse and then introspection. This process of the character’s experience is the core of the whole plot. Through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self-defense mechanism and the space, anti-house(which expands to Anti-city), was inferred. The space is made up of three axes, x-axis of horizontal space, y-axis of vertical space, and in the sense that all the space has no exit, z-axis of deeper contradictory space.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decision that <Neon Genesis Evangelion> is the most suitable work in analyzing the metaphorical relationship between self-defense mechanism and anti-house. There was limitation, however, a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nimations, pedantic composition and the possibility of broad interpretation, hindered clear verification. Hopefully, this limitation will be overcome by following studie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how the importance of space in interpreting the text of animations, and to serve as database for other creative works.

      • KCI등재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히로인의 성격구조

        양세혁(Se-Hyeok Yang),김일태(Il-Ta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8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연민과 자비로움을 갖춘 동시에 확고한 신념을 가진 히로인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가 원작하고, 각본과 감독을 담당한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중 히로인이 등장하는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천공의 성 라퓨타〉, 〈원령공주〉,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대상으로 성격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했다. 성격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MBTI, 에니어그램의 분류기준을 토대로 하고, 캐릭터의 역할에 따른 유기적 관계, 외적인 특성들을 종합하여 성격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미야자키의 히로인들은 공통적으로 구원자이며 이상주의자이지만, 행동의 동기가 달라짐으로써 개성적 성격구조로 창조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야자키 하야오가 창조한 히로인들의 성격구조 특성을 정의하고 데이터화 하였다.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animations of Miyazaki Hayao is appearance of heroines with firm beliefs as well as compassion and generosity. . This study aimed to conduct research into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personality structures targeting 〈Nausicca of the Valley of WInd〉, 〈Laputa: the Castle in the Sky〉, 〈Mononoke Hime〉, and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in which heroines appear out of long animation films created and directed by Hayao. In order to analyze the personality types, the study appli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MBTI and enneargram, and it analyzed the personality structures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organic relationship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oles of the characters. This study analyzes that their personality type could be created very indivisually by changing their behavior motives, though Miyazaki's heroines are both Savior and idealist. Also, the study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ty structures of heroines created by Miyazaki Hayao and prepared data about them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쿵푸팬더> 캐릭터의 욕망과 두려움 분석

        양세혁 ( Sehyeok Ya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드림웍스애니메이션社의 <쿵푸팬더>는 독보적인 캐릭터와 대중적인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크게 성공 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쿵푸팬더> 캐릭터의 욕망 과 두려움 설정에 주목했는데, 이것을 캐릭터성을 형성하는 복합요소로서 탐구한 선행연구는 아직 미 진한 것으로 파악된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욕망과 두려움에 의해 모든 선택과 행동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삶이 이 두 가지 요소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 한 관점에서 <쿵푸팬더>의 캐릭터라이징 전략은 ``욕망+두려움``이라는 다차원적 요소를 적용하여 보다 유동적이며 입체적으로 캐릭터성을 강화하고, 성장담을 보다 완전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과 적으로 행동의 방향, 갈등의 발생, 사건의 연쇄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하면서 서사구조 형성의 완결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쿵푸팬더>는 팬더 캐릭터의 스타성이 너무 월등해서 마치 원맨쇼처럼 느껴진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욕망과 두려움 설정을 통해 주요 캐릭 터들의 정체성을 심층적으로 보완하는 전략은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Kungfu Panda> by DreamWorks Animation was a highly successful movie based on a public narrative structure along with an original charact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esire and dread of the <Kungfu Panda> character, and it is supposed that previous research into the formation of them as complicated factors that form a character trait has not been satisfactory. In general, humans determine the direction of all their selections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ir desires and dreads; thus, life is assumed to be ruled by these two factors.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zing strategy of <Kungfu Panda> reinforces a character trait more flexibly in solid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factors, namely ``desire + dread``, and further completes a growth story. This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the completion of the formation of a narrative structure while consequently serving as a cause for the direction of behavior, the occurrence of conflict, and serial incidents. <Kungfu Panda> has a limitation in that it may look like a one-man show owing to the very brilliant star quality of the panda character. It would be very useful to prepare a strategy to complement the identity of main characters in-dept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desire and dread.

      • KCI등재

        <겨울왕국>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역동

        양세혁(Yang, Se-Hye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7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은 디즈니의 완벽한 부활을 선포한 작품이다. 이러한 성공은 인상적인 주제가와 캐릭터의 힘이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남성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미래를 구축하는 강한 여성상을 구축하며 공감과 카타르시스를 이끌어낸 중심캐릭터, 그 중에서도 엘사의 인기는 개봉 후 1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하다. 이처럼 서사장르에서 캐릭터의 완성도는 작품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라이징의 주요 구성요소 중, 성격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생각과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두려움과 욕망의 정신역동에 주목했다. 두려움은 실제의 위협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길한 가정에서 발생한 정서이다. 결핍이나 억압에 대한 기억에서 비롯된 두려움은 건강한 욕망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것은 현실을 직시하는 것과 같다. 캐릭터 고유의 정신역동 검증을 위해 ‘MBTI 성격유형론’을 활용하여 태도, 심리경향성, 정신기능 위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① 엘사와 안나는 정신기능면에서 대척적 관계이다. 이는 갈등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조합이나, 두 자매는 기본적인 유대감과 가족애를 바탕으로 이를 극복한다. ② 한스와 크리스토프 역시 정신기능면에서 대척관계지만, 두 남성 캐릭터는 작품에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③ 한스는 가장 효과적으로 엘사와 안나를 보완할 수 있는 정신기능의 소유자이지만, 그것을 악용함으로써 가장 치명적인 대립자가 된다. ④ 올라프는 안나의 태도와 엘사의 심리경향성을 조합한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려움과 욕망의 표출 빈도 분석에 의하면, ① 엘사는 압도적으로 두려움을, 안나 및 다른 캐릭터들은 욕망을 행위의 주요 동력으로 한다. ② 두려움은 모든 캐릭터에 내재된 근원적 결여로서 ‘가족애의 결핍’이 원인이 되었으며, 그 결과 ‘외로움과 고립’이라는 고통을 공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정신역동에 대한 분석은 캐릭터 성장담의 이해 즉, 두려움을 피하려는 동기에 의해 욕망이 왜곡되고, 두려움에 지배당하는 것과 두려움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욕망의 근원적 이유를 깨닫고 자기치유에 이르는 서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라이징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방향과 분석결과가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 설정 시 데이터베이스로 참고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n animation film, 〈Frozen〉, is a work that declared a perfect revival of Disney. It is considered that the success was the result of its impressive theme song and characters working influentially. The main characters let audience experience empathy as well as catharsis by building the image of women making their own future without relying on men, and among the characters, Elsa is still popular even if one year has passed since its premiere in Korea. In the narrative genre, the character’s degree of completion is regarded to be so important that it can even determine the work’s success or failure. Accordingly, to analyze the personality structure among the major components of character ris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psychodynamics of fear and desire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s of thought or behavior. Fear is the emotion attributed not to a real threat but to an ominous assumption about the future. Because fear that is originated from the memory of any deficit or suppression distorts our sound needs, escaping from fear means facing the reality. To verify the unique psychodynamics of the character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hierarchy of their attitudes, psychological dispositions, and psychic functions by using ‘MBTI Personality Typology’. According to the results, ① Elsa and Anna are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in terms of psychic functions. Although they are the combination that shows the highest possibility of conflict, the two sisters overcome it basically grounded on fellowship and family love. ② Although Hans and Kristoff, too, are against each other in terms of psychic functions, the two male characters do not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work. ③ Hans is a person equipped with psychic functions that can complement both Elsa and Anna the most effectively, but he abuses it and turns into the most fatal opponent to them. ④ Olaf is a type of person combining Anna’s attitudes with Elsa’s psychological dispositions.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expressing fear and desire, ① Elsa employs overwhelming fear and Anna and others characters use desire as the major drive of their behavior. ② Fear is the underlying deficit internalized in every character and is attributed to ‘the deficit of family love’, and as a result, they all share the pain of ‘loneliness and isolation’. It is thought that analyzing psychodynamics will help us understand the character’s growth tale, that is, the narration that they distort their desire for the first motive to avoid fear and end up being ruled by it, and also, they realize the underlying reason for the distorted desire in the process of getting rid of their own fear and reach self-healing. Lastly, regarding character rising in the anim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s and analysis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referred to as a database in creating characters and setting up relations among them.

      • KCI등재후보

        은유와 모순의 의미작용에 의한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 -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 구성의 인과관계가 내적 결핍과 사건의 은유 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관점에서 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아이러니는 외관과 현실이라는 두 의미차원 간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외관은 캐릭터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 수준이며, 현실은 캐릭터의 선택으로 드러나는 실제적 진실을 말한다. 이러한 의미차원 간에 괴리가 발생하면 캐릭터는 딜레마에 빠져 갈등을 겪고 극적 긴장감은 고조된다. 이렇듯 아이러니는 인간 삶의 부조리를 다양하게 함의함으로써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캐릭터와 플롯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해내는 미국의 장편애니메이션 중에서 대표적 제작사인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의 작품을 선택하여 아이러니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 아이러니는 ①`결핍`이 제시되고 ② 이를 `사건`이 압박하면서 ③`외관`에 모순되는 ④`현실`이 드러남으로써 구축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변인은 의미차원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따라 두 개의 대립항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즉, ①우연히 발생한 사건과 내재된 결핍이 의미차원에서 서로 일치하며 마치 결핍의 데 자뷔처럼 작용하는 `은유 작용`, ②외관과 현실의 의미차원이 서로 괴리되는 `모순 작용`이 그것이다. 은유 작용은 결핍을 함축하며 캐릭터의 핵심적 강박의식을 드러내고, 모순 작용은 아이러니 그 자체로서 캐릭터의 성장을 위한 핵심가치를 암시함과 동시에 주제의식을 전달하는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를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캐릭터 아이러니 구조를 심리 역동에 의한 의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작품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검증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초석으로서 본 연구가 향후 캐릭터라이징 분야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of character irony stems from the metaphorical effect of inner deficiency and events and it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rony refers to the discord between the two levels of meaning, appearance and reality. Appearance is the superficial recognition of characters and reality is the real truth revealed by the choice of characters.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se two, the characters are caught in dilemma and the dramatic tension increases. Irony implies the absurdity of human life in various ways and elicits sympathy of the audience so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setting characters and plot. So this study selected Disney, Pixar, and Dream Works, the representative American feature-length animation producers that depict character irony briefly and clearly, and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ron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character irony is formed through a process through which ① `deficiency` is presented, ②`events` put pressure on it, and ④`reality`, which is contradictory to ③`appearance`, is revealed. Also, the four variables could be structured as two opposite pairs according to the concord or dis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That means ①`metaphorical effect` that accidental events and inner deficiency con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and serve as deja vu of deficiency, and ②`contradictory effect` that the level of meaning of appearance and that of reality have a gap. Metaphorical effect implies deficiency and reveals the core obsession of characters, while contradictory effect is irony itself and implies the core value for the growth of characters and deduces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that conveys the sense of subject. It is believed that studie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tion by psychological dynamics are in the initial stage. So there should be process to accumulate data of various works and verify and supplement them. As a stepping stone for such a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ignificant data in the area of characterizing.

      • KCI등재

        〈니모를 찾아서〉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 분석

        양세혁(Yang, Se-Hye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29

        픽사(Pixar)의 2003년 작품 <니모를 찾아서>는 흥행과 비평 면에서 크게 성공함으로써 픽사를 가장 영향력 있는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위치에 올려놓았다. 특히 캐릭터 중심의 서사전략은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의 완성도를 크게 높임으로써 캐릭터라이징의 교과서라 할 만한 업적을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니모를 찾아서>의 캐릭터에 내재된 두려움과 욕망에 주목했는데,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을 보다 역동적이며 입체적으로 강화하는 요소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두려움과 욕망에 의해 모든 선택과 행동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에 삶이 이 두 가지 요소의 지배를 받는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니모를 찾아서>의 캐릭터라이징은 크게 세 가지 특성을 갖고 있다. 그것은 ① 픽사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캐릭터의 내재된 두려움을 명확히 하고 있으며, 그 두려움을 회피하는 노력이 서사화 된다는 점. ②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서 정립한 두려움과 욕망에 의한 성격역동과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점. ③ 중심 캐릭터(멀린, 니모)가 서로 떨어져 있는 구출과 탈출 플롯의 특성 상, 두려움이 해소되는 방식이 중심 캐릭터간의 상호 성격역동에 의한 것이 아닌, 중심 캐릭터의 결핍을 보완하는 정신적 가치를, 주변 캐릭터(도리, 길)로 성격화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선행연구 작품인 <쿵푸팬더>에서는 팬더 포의 캐릭터라이징이 너무 월등하다는점이 역설적인 한계로 작용하지만, 중심 캐릭터(포, 시푸)의 두려움+욕망 설정과 상호 성격역동은 매우 정교하며 효과적이었다. 반면에 <니모를 찾아서>는 중심 캐릭터인 아빠와 아들간의 갈등이 해결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캐릭터와 서브플롯을 선보이며 신선한 재미와 견고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중심 캐릭터의 두려움과 욕망 설정의 완성도가 매우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그 해소의 과정이 다소 의존적이라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애니메이션 캐릭터라이징과 관련하여 또 다른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캐릭터 성격화와 관계성 설정 시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The <Finding Nemo> (2003) by Pixar, by succeeding at box office hit with good criticism, could be the film that made Pixar the most influential animation producer. Especially such character oriented narrative strategy, by raising the degree of characterizing and relationship, could made remarkable achievement as it is called a textbook of characteriz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inherent fear and desire of characters in <Finding Nemo>. The inherent fear and desire were assumed to be the elements that strengthen characterizing and relationship more dynamically. In general, every single choice and behavior of human beings are, likely to be depending on fear and desire, it is believed that human’s life is dominated by those two elements. In this point, the characterizing of <Finding Nemo> has three big features. It is that ① it clearly described the fear inherent in characters and the effort to avoid the fear better than any other films of Pixar. ② it strikingly accords with the interaction of characteristics of fear and desire established by Enneargram personality types. ③ the way of relieving fear of the main characters (Marlin and Nemo), as a unique feature of rescue and escape plot in which two characters are being apart, is not by interaction of characteristics of two main characters but is by characterizing the spiritual value supplementary to the deficiency of main character as sub character (Dory and Gill). In the previous study, <Kung Fu Panda>, characterizing of panda ‘Poe’ is too outstanding and this fact is working as paradoxical limitation. On the other hand, set up of fear and desire of two main characters, Poe and Shifu and dynamics of characteristics are very delicate and effec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Finding Nemo>, in the course of settling down the conflicts between two main characters, father and son, it shows fresh and firm narrative structure with various characters and sub plots. However, though the degree of described fear and desire of main characters are very outstanding, it still reveals it limitation that the course of settlement is somewhat dependent. In conclus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other approach to animation characterizing, and also hopefully can be helpful in characterization and setting up relationship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