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페인어 직설법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 용법에 대한 인지문법적 설명

        양성혜 ( Sunghye Yang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3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6 No.1

        The distintion between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grammatical items for spanish learning students. To determine a proper form between them, three properties compete: lexical aspect, grammatical aspect and discourse (foreground v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ed to shed light on the hierarchic structure among them based on cognitive grammar. First, by applying “Pendulum Model” of Lopez Garcia (2005) for Spanish indicative simple tenses, [-tense] of the imperfect is explained in relation with the conditional (-ria). Second, the aspectual contrast [±perfective] between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is specified with subfeatures like [±continuous], [±progressive] and [±initial point] which provide us comprehensible explanation of each use of both past tenses. Third, the relation between the lexical aspect and the grammatical aspect is explained with speaker`s viewing frame. The maximal viewing frame forces the verb to get the preterite while the restricted viewing frame forces the verb to get the imperfect. Finally, we pointed out that the contrast between foreground (figure) vs. background (ground) in the discourse participates in determining a proper past tense form as the last level.

      • KCI등재

        스페인어 직접목적어 변별적 표지의 문법화에 대한 인지적 분석: 유계성, 윤곽화, 현저성

        양성혜(Yang, Sunghy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2

        스페인어 직접목적어 표지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그 사용이 확장되는 문법화된 범주이다. 중세 스페인어에서는 유생성이 있는 대명사와 고유명사 앞에 직접목적어 표지 a가 사용되었지만 한정사를 동반한 명사구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스페인어에 이르러서는 유생성이 있는 한정 명사구에서는 거의 대부분 사용되고, 비한정 명사구에서는 선택적으로 확대 사용되게 되었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이 현대스페인어에서 직접목적어가 [+유생성]과 [+특정성]이 있을 때 주어와 같은 다른 문장 성분과의 구분을 위해 직접목적어 변별적 표지인 a를 사용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유생성과 특정 성과 같은 명사구의 의미자질에 기초한 설명은 상당한 예외구문들을 설명하지 못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예외구문들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공하고자 스페인어 직접목적어 변별적 표지의 문법화에 대한 가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직접목적어가 지시하는 지시체가 상적으로 유계성(boundedness)이 확보되어 인지적으로 윤곽화(profiling)할 수 있을 때 다른 문장 성분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인지적인 현저성(prominence)을 표시하기 위해 직접목적어 표지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본다. 이와같은 가설에 입각하여 직접목적어 표지 사용을 결정하는 자질들 간의 인지적 위계구조모델을 창안하고 제시하였다. 보문소구(CP)에서 가장 높은 인지적 현저성을 담보해주는 자질은 ‘주제성(topicality)’으로 다른 자질들을 누르고 최종적으로 a의 사용을 허가한다. 따라서 주제화된 비한정 명사구나 무생성의 명사구에 직접목적어 표지가 사용된 이유를 규명해준다. 굴절소구(IP)에서는 명사의 유생성과 특정성과 같은 의미자질이 동사의 어휘상 및 문법상과 상호작용하고 그 결과로 직접목적어는 ‘유계성’을 확보하게 되면 직접목적어 표지 사용을 이끌어낸다. 또한 본 모델에 의거하여 명사구(NP)층위에서 비한정명사구에서 직접목적어 표지가 선택적인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즉 비한정명사구이라 할지라도 관계사나 부사구와 같은 수식어구가 있을 경우에는 지시체의 ‘윤곽화’가 생기는 인지적 효과를 이끌어내므로 a의 사용이 허가된다고 보았다. 따라서 스페인어 직접목적어 표지 a의 사용은 주제성과 같이 높은 현저성이 있는 직접 목적어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다가 점점 더 낮은 단계의 현저성이 있는 자질로까지 확대 사용되게 되었다고 문법화(grammaticalization)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ifferential Object Marking(DOM) in Spanish is a grammaticalized category whose use is expanding diachronically. In medieval Spanish, DOM was obligatory with pronouns and proper names with animacy but neither with definite NPs nor with indefinite NPs. But in modern Spanish the majority of definite NPs with animacy require DOM while indefinite NPs can be marked optionally with it. Many previous studies pointed out that in modern Spanish a direct object high in prominence on animacy and specificity tends to be marked with the preposition a whose function is to disambiguate object from other constituents such as subject. However, this kind of explanation based on semantic features of NP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some exceptional constructions. To give a plausible explanation about them,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about the grammaticalization of DOM in Spanish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as follows: “DOM is used to mark a cognitive prominence of Direct Object in relation to other constituents of the sentence if the referent possesses boundedness aspectually which means that it has a profiling cognitively”. Based on this hypothesis, I proposed a hierarchy of features that can function as main feature at each phrase to determine a use of DOM. [+Topicality] prevails over other features at CP level because it is the most prominent cognitively. Some topicalized indeterminate NPs or inanimate objects with DOM can be justified taking in consideration [+topicality]. The features of NPs such as [+animacy] and [+specificity] interact with verbal aspectual features at IP level and as a result direct object NPs can have [+boundedness] which allows DOM. At NP level the optionality of the use of DOM with indeterminate NPs can be explained better based on this model. If an indeterminate NP is modified with relative clauses or prepositional clauses, which means that the referent becomes to get profiling, it tends to be marked with DOM. I assume that the grammaticalization of DOM in Spanish has been realized with direction from the most prominent feature as topicality to the less prominent one.

      • KCI등재

        인지언어학에 입각한 스페인어 직설법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의 효과적인 교수방법

        양성혜 ( Sunghye Yang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5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8 No.1

        스페인어에서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 중 어느 형태를 선택하는가는 동사 고유의 어휘상과 시제에서 나타나는 문법상 그리고 담화구조에서의 현저함의 세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를 통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스페인어 학습자들이 과거시제를 써서 경험을 서술할 때 두 과거시제 중 양자 택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용법에 맞게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매우 힘든 과제이다. 본고에서는 스페인어 두 과거시제 사용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을 인지언어학(Cognitive Linguistics)적 설명에 기초하여 고안하였다. 첫째, 스페인어의 과거구간에서는 상황표현이 “시제+상”적 형태로 발현되므로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의 차이는 시제의 차이가 아니라 [±완료(perfective)] 라는 상적 차이이다. 따라서 인지문법의 ‘최대 시각틀 vs. 제한된 시각틀’ 도식을 이용하여 ‘완료상 vs. 불완료상’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제안했다. 둘째, Comrie(1976)의 불완료상의 하위상들을 결정짓는 자질인 [±지속], [±진행]에 [±시작점]을 추가하여 보다 발전된 위계적 도식을 마련하였고 스페인어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의 다양한 용법을 나열식이 아니라 위계적으로 상호 관련성 속에서 설명하여 인지적으로 연결된 개념 고리를 만들게 도울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동사가 상태동사인가 행위동사인가에 따라 이상적으로 어울리는 문법상이 있기에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 쓰임에 있어 선호도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상을 만족시키는 가장 이상적인 문법상의 선택이 일어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가 오히려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운데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담화구조의 전경(figure)과 배경(ground)의 변수가 선택에 마지막으로 작용하는 결정적인 요인임을 인지시켜야 한다. 또한 학습자 편에서 올바른 형태를 결론적으로 선택하기까지 점검해야할 인지적 과정도 흐름도(flow chart)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수법은 스페인어 직설법 완료과거와 불완료과거의 다양한 용법과 예문을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연결고리를 만들면서 이해하도록 돕는 교수자 측면에서 유용한 교수 내용 및 순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 입장에도 과거 경험을 서술할 때 동사를 선택한 후 점검해야할 인지적 과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 적용될 경우 매우 유의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e Spanish language, the choice of between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is made by the interrelation among lexical aspect of verbs, grammatical aspect [±perfective] and discourse prominence. The students, therefore, are often confused whether they use the preterite or the imperfect while they use past tense in their linguistic expressions. 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 I suggest that the teaching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cognitive linguistics. Sequencing of grammatical explanations should be as follows: first, in Spanish, the past tense is structured as “tense + aspect”. The choice between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is determined by the aspect, that is, whether a situation is completed or not. I, therefore, suggest that concepts of the maximal viewing frame and the restricted viewing frame in the cognitive linguistics will be useful to let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Second, the inclusion of [±start-point] to the Comrie(1976)``s sub-level aspects of the imperfect such as [±continuum], [±progress] is helpful to understand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subaspects of the imperfect. Furthermore, lexical aspects of verbs show a preference for usage of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in paste tense. For example, state verbs prefer to appear in the imperfect, while action verbs prefer to appear in the preterite. Third, when the type of verb cannot be a good indicator of the choice between the pretertie and the imperfect, the figure and background information in a discourse can help to choose the type of past tense. I also provide a flow chart in this paper, which can help students to check the cognitive process while they learn the proper usage of the preterite and the imperfect. All in all, the suggested teaching methods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and the sequencing technique using a flow chart with indicators will be helpful to promote proper usage of past tenses in Spanish.

      • KCI등재

        인지문법에 근거한 스페인어 중성어 lo의 변별적 의미 자질 분석

        양성혜 ( Yang Sunghye ) 한국스페인어문학회(구 한국서어서문학회) 2019 스페인어문학 Vol.0 No.93

        Definite articles el-la-lo in Spanish come from Latin demonstratives ille-illa-illud. Modern Spanish nouns have two gender system, masculine and feminine, and the neuter article can be used with many categories except nouns. Its main function is nominalization of the phrase. Definite articles el-la-lo share a same semantic feature [+definite] with which the speaker supposes that the referent is a known information to the hearer. Moreover, the neuter lo seems to have different semantic features from the other definite articles el-la. A large group of linguists argue that a main semantic feature of lo is [-individuation]. In particular, Bosque y Moreno(1990) classified possible interpretations of a phrase with lo in three types: entity, quality or quantity. According to them, in the case of referring to an entity, the neuter lo has [+individuative]. In my point of view, its general feature [-individuation] seems to conflict with one of its semantic sub-features [+individuative]. This article aims to resolve this problem by analyzing distinctive semantic features of the neuter lo in Spanish based on Cognitive Grammar. I propose that a distinctive semantic feature of the neuter lo is [-well delineated] while the other definite articles el-la have [+well delineated], because the speaker uses the neuter lo as pragmatic strategy characterized by subjectification.

      • KCI등재

        스페인어 관계절에 쓰인 접속법의 화용적 추론에 대한 분석

        양성혜(Yang, Sunghy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2

        본고에서는 Sperber and Wilson(1986)의 적합성 이론(Relevance Theory)을 관계사 구문에 적용한 Ahern and Leonetti(2004)의 이론적 입장을 받아들여서 [-특정성]만으로는 설명이 되지 않는 관계절의 예외적인 구문들을 설명하였다. 이 이론에 따르면 문법범주인 법(modo)은 개념적 정보(conceptual information)를 가진 어휘범주 동사를 어떻게 인지적으로 처리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절차적 정보’(procedural information)를 제공한다고 본다. 스페인어의 접속법의 기본의미는 화용적 의미로서 ‘화자의 비확언적 태도’를 나타내는데, 본고에서는 관계절에 접속법을 쓴 화자의 의도를 청자’가 어떤 추론 과정을 통해 최적의 해석을 이끌어내는지를 3단계의 추론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첫 단계는 [-특정성]이라는 가장 전형적인 해석이 유효한 단계로 청자는 어휘항목, 동사 굴절, 문장 양태 등과 같은 접속법 유도자의 도움으로 불특정 해석을 이끌어낸다. 두 번째 단계는 이러한 유도자가 없지만 청자는 접속법의 사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화자의 의도나 전망 혹은 조건의 해석을 활성화시켜 해석을 이끌어내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는 접속법이 담화 내에서 정보로서 낮은 가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써 그 사용이 정당화되는데, 청자에게는 최후의 수단이 된다.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sis of some unexpected uses of the Spanish subjunctive in relative clauses, which are difficult to be explained with [-specific], by applying the approach of Ahern and Leonetti(2004) based on Relevance Theory of Sperber and Wilson(1986). On the relevance-theoretic approach, the verbal mood provides a procedural information which informs the hearer on how to manipulate the conceptual information of the verb. Considering that Spanish subjunctive expresses the speaker’s non-assertive attitude about the proposition in pragmatic sense, this study specifies three inferential stages which the hearer processes to induce an optimal interpretation of the speaker’s intention reflected as a use of the subjunctive in relative clauses. On the first stage, in which the most prototypical interpretation is valid, the hearer appeals to [-specific] interpretation with the support of some inductors such as lexical items, verbal inflections and sentence modalities. On the second stage, the hearer activates an intensional, prospective or conditional reading to process the subjunctive in relative clauses even though there aren’t any inductors. On the third stage, the use of the subjunctive can be justified as an expression of law value information in the discourse, which is the last resource for the hearer.

      • KCI등재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접어 대명사 습득

        양성혜(Yang, Sunghye)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스페인어 접어대명사는 한국어에 비해 통사적으로나 인지적으로 유표적인 문법 항목이다. 스페인어 접어 대명사 사용에 대한 한국어 화자의 중간언어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구두 발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국내 대학생 30명으로 구성했고, 비교집단은 원어민 2명과 한국어-스페인어 이중언어 사용자 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구성하는 실험 참가자들의 스페인어 전반에 대한 능숙도를 알아보기 위해 약식 DELE 시험을 실시하였고, 본 실험에서는 <빨간모자 Caperucita Roja> 동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연속된 11개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스페인어로 이야기를 구술하게 하였다. 수집된 구두 발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중간언어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인 스페인어 학습자들은 L2 스페인어 구두 발화에서 접어대명사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대격 접어보다 여격 접어 사용 빈도가 낮고 특히 비양도성 신체구문에서의 여격 사용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하지만 접어대명사의 낮은 사용 빈도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들에게서 접어대명사 사용이 상대적으로 더 빈번히 관찰되었다. 둘째, 접어대명사 대신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공지시 표현은 인접한 문장에서 이미 언급한 명사나 고유명사를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시표현은 원어민 화자들에게는 찾아 볼 수 없는 표현이었다. 셋째, 또 다른 오류 형태는 비율은 낮지만 대격접어 la와 여격 접어 le 대신 강세형 대명사를 써서 ‘(a) ella’로 표현한 경우로 한국어 화자의 특이한 중간언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한국어 화자 스페인어 학습자들은 비양도성 신체구문을 표현하는데 있어 여격 접어를 사용한 외재적 소유구문을 쓰지 않고, 100% 소유자를 전치사 de와 연결하여 피소유체에 후치시키는 내재적 소유구문을 쓰고 있었다. 이와 같은 한국어 화자의 스페인어 접어대명사 사용에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특징은 이들의 L1인 한국어의 공지시 표현 양상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며, 이러한 학습자의 모국어에 기반한 인지구조가 L2 스페인어 습득에서 간섭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Spanish clitic pronouns are marked grammatical items compared to Korean syntactically and cognitively. I conducted a study of Korean speakers Spanish L2 learners" oral productions on Spanish clitic pronouns to analyze their Spanish Interlanguage. A total of 30 subjects were recruited in a university setting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and the control group was made of 2 Spanish native speakers and 4 bilingual speakers of Korean and Spanish. All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were required to complete a revised DELE test, which could permit me to measure their general proficiency in Spanish, and to tell a story based on eleven sequential images of <Little Red Riding Hood>.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ir oral data revealed the following properties of Spanish Interlanguage of Korean speakers. First, Korean Spanish learners scarcely used clitic pronouns in their L2 Spanish oral productions. They seemed less successful with dative clitics than accusative ones. Particularly, they didn"t use any dative pronouns in inalienable possessive constructions. In spite of the low frequency of use of clitic pronouns, learners with higher proficiency of Spanish tended to use more clitic pronouns. Second, the most frequent coreferential expression that Korean Spanish learners used instead of clitics was repeating the same nominal phrase previously mentioned in a prior sentence. In contrast, Spanish native speakers didn"t show that performance. Third, another peculiar type of error of Korean speakers in Spanish Interlanguage was the use of stressed pronouns like "(a) ella" instead of clitics such as "la" and "le". Fourth, in terms of inalienable possessive constructions, Korean speakers Spanish L2 learners exclusively used internal inalienable possession constructions in which the possessor is expressed with the preposition "de" inside the NP of the possessed. These idiosyncratic properties of Spanish Interlanguage by Korean Speakers can be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provoked by the interference of their cognitive system structured along their L1 development in respect to coreference.

      • KCI등재

        대학 교양 스페인어 수업 모델로서 하이브리드 언어 교수 학습

        신자영 ( Shin Jayoung ),양성혜 ( Yang Sunghye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8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스페인어 코스에서 하이브리드 모델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미국 대학에서 하이브리드 언어교수 및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하이브리드 언어 교수 및 학습 모델은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 활동에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온라인 활동을 교육적으로 의미 있게 계획된 형태로 통합한 코스”로 정의할 수 있으며, 미국 대학교육의 외국어 코스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 하이브리드 외국어 수업 코스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온라인 자원의 구현, 통합된 테크놀로지 사용의 이점, 코스 재설계, 하이브리드 코스의 비용과 효과성에 대해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benefits of hybri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US colleges and find a way to redesign and implement the college Spanish courses in Korea into hybrid model. Hybri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fined as “courses that integrate technology assisted online activities with traditional face-to-face activities in a planned, pedagogically valuable manner”, has become an increasingly popular foreign language course designing model at college level in the United States. We review the important issues to consider when creating and maintaining hybrid foreign language course such as implementation of on-line resources, benefits of integrating technology, course redesigning, cost issue and effectiveness of hybrid cours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