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시대의 영성적 가르침에 관한 연구 : "관상적 가르침"을 중심으로

        양금희,Yang, Kum Hee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6

        본고는 객관주의적 지식이 편만한 AI 시대에, 인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영성적 가르침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관상적 가르침(contemplative pedagogy)"을 중심으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는 먼저 AI의 객관적 인식론의 특성과 AI 시대 학교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고, AI 시대의 시대적 요청으로서의 영성 및 영성적 가르침의 필요성과 성격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관상적 가르침을 통해서 일반학교 에서의 영성적 가르침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본고는 영성적 가르침이 종교학이나 신학과 같은 특정 영역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3인칭의 지식이 편만한 오늘과 같은 시대에 모든 학교와 교육의 현장에서 구현되어야 할 가르침이라고 하는 것과, "관상적 가르침"이야말로 대표적 영성적 가르침의 하나라고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본고는 추후적으로 관상적 가르침 외에도 다양한 영성적 가르침의 모델들이 개발되고 실천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 또한 발견하였다. This paper is a thesis that explor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piritual teaching that forms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in the age of AI where objective knowledge is prevalent, focusing on "contemplative pedagogy". For this it firs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epistemology of AI and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the AI and explored the necessity and character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teaching as a request for the AI era, and also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spiritual teaching in general school setting through contemplative pedagogy, which actually puts this into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found that spiritual teaching is not exclusive to a specific area such as religious studies or theology, but is a teaching that should be embodied in all schools and educational fields in today's era where third person knowledge is widespread. It also found that in addition to contemplative teaching, various spiritual teaching models ne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for this purpose.

      • KCI등재

        지혜와 평화가 서로 입맞춤할 때

        양금희(Kum Hee Yang)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9 No.-

        이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범지혜”(pansophia)에 나타난 평화교육사상을 고찰한 논문이다. 그에게 있어서 범지혜는 하나님의 창조세상, 즉 ‘하나님–인간–자연’ 전체를 포괄하는 세상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식이다. 범지혜는 인간의 ‘타락’으로 인하여 파괴된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그것은 그의 ‘평화’ 개념과 뗄 수 없이 연결되어 있다. 왜냐하면 그에게 있어서 ‘평화’는 단순히 국가와 국가 간의 전쟁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를 넘어서서 온 세상, 즉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 전체가 하나의 생명공동체로서 조화와 일치를 이루는 하나님 샬롬의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범지혜의 목적은 ‘평화’라고 할 수 있다. 코메니우스는 세상에 평화를 이루는 것은 ‘인간’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바, 타락으로 잘못된 자리에 있는 인간을 밖으로 인도하여 내어서(e-ducatio), 다시 제자리에 앉히는(in–stitutio) 일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교육의 일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그에게서 교육은 그 자체로 평화교육이다. 인간을 우주 안의 바른 자리에 다시 세움으로써, 하나님–인간–자연이라는 삼중적 관계를 다시 회복하는 교육의 일은 곧 평화를 회복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코메니우스는 특별히 그러한 평화교육 원리로 ‘모든 인간에게’(omnes), ‘모든 것을’(omnia), ‘온전하게’(omnino)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으로부터 본고는 오늘날 기독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앎은 객관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인을 ‘형성시키는 앎,’ 믿음, 이성, 감각을 아우르는 ‘통전적 앎,’ 그리고 하나님과의 관계, 사람과의 관계, 세상의 모든 사물과의 관계에서 전인적 신앙인으로 살아가도록 하는 ‘전인적 앎’이어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무엇보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교육의 목적은 하나님의 샬롬, 즉 평화를 구현하는 ‘실천적 지혜인’을 양성하는 것이라는 통찰을 얻는다. This thesis has inquired into Comenius’ idea of peace–education in his Pansophia. To him pansophia is the knowledge of which purpose is to improve the world including all God’s Creation, that compries of inner harmony of ‘God–Man–Nature.’ As pansophia aims mainly to improve the relation of God and Man, that of Man and Man, and that of Nature and Man which have been destroyed by Man’s fall, it can not help inseparably connecting with Comenius’ concept of Peace. Therefore in his thought, ‘peace’ means not simply only the state without wars among nations, but also the state of Gods’ Shalom that has unity and harmony in God, Man and Na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pansophia is to make peace in the whole world. Comenius suggests that to make peace the world should start from ‘Man’ who had sinned and leaved his own place, the midst of the world, and is in a wrong place. So it should be necessary to ‘e–ducatio’ of man from the wrong place and ‘in–stitutio’ into his right place. That is the very work of education. It is no wonder that Comenius’ education itself can be called peace–education. To help man sit in his or her right place in universe again, that is, to recover triple relationship of God–Man–Nature is the work of education because it can restore peace. Comenius particularly proposes the principle of peace–education, namely, the principle of omnes, omnia, omnino. Through Comenius’ idea of peace–education, this thesis comes to an idea that Christian Education today should seek not to simply deliver objective information but to help learners live holistic life in relationship of God, Man and all the creatures as a believer who can possess ‘the holistic knowledge’ including faith, reason and sense. Furthermore, his idea gives us valuable insight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urpose should move to nurturing learners as “men of wisdom” who are able to put in practice and embody peace, God’s Shalom.

      • KCI등재

        루터의 만인제사장 개념을 통해서 본 평신도교육 개혁

        양금희(YANG Kum-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1

        이 논문은 루터의 만인제사장 개념을 통해서 한국교회 평신도교육 개혁의 방향을 모색해 본 논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루터의 만인제사장 개념을 그의 일차 문헌을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부분, 이를 바탕으로 그에게 있어서의 평신도 이해와 교회이해의 특징을 살피는 부분, 더 나아가 그로부터 한국교회 평신도교육 개혁의 방향에 대한 통찰을 얻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루터의 만인제사장 개념으로부터 본 논문은 모든 성도, 즉 평신도들은 믿음으로 세례를 받는 순간 제사장이며, 그들은 세상 속에서 하나님 말씀을 말과 행동으로 선포하고, 이웃을 하나님 앞에서 변호하고 그들의 죄를 듣고 용서를 선포하며 하나님과 화목케 하는 직분에로 부름받은 자들이라고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만인제사장 개념은 평신도들이 의례에서만이 아니라 세상의 문화 속에서, 성전에서만이 아니라 도시에서 왕같은 제사장으로의 직분을 담당하는 사람들이라고 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획득하게 함으로써, 단순히 제사장의 대상을 확대한 것만이 아니라, 제사장직의 자리를 교회에서 세상으로 확대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위의 고찰을 통해 본고는 평신도 교육의 문제는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 이해 자체의 문제인바, 즉 교회를 ‘세상을 위한 교회’로 이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평신도 교육은 평신도 목회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는바, 그것은 예배, 친교, 봉사, 교육, 선교라는 교회의 모든 영역과 관련되어 일어나야 할 것이며, 교회의 문화 자체가 평신도 리더십 훈련의 통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평신도 교육은 세례교육, 평신도 성경공부, 평신도 영성, 평신도 리더십 모델, 평신도 사역의 실습과 훈련 등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Luther’s idea of priesthood of all beliebers and it’s orientation for the reformation of laity-education. Thus it comprises of three parts, namely the reconstruction of Luther’s concept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his understanding of laity and church based on that concept, and lastly implications for the reformation of laity-education in the Korean Church From the investigation of Luther’s concept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is study figured out that all believers, namely the laity, get priest’s status through baptism and have the mission to preach The Word through speech and action, to advocate neighbors, to proclaim the gospel of forgiveness of their sins, and to make them reconciliate with God. Luther’s concept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lets the laity get the new identity of royal priest in cult as well as in culture, in temple as well as in polis. Thus it extends not only the subject of priest but also the work field of priest from the church to the world Based on the study above, it figured out that the problem of laity-education is not simply about educational programs, but about ou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tself, namely “the church for the world”. It also found out laity-education should be realized in terms of laity-ministry which includes all the ministrial dimensions like kerygma, leiturgia, koinonia, diakonia, and didache. It also found that the church’s culture and atmosphere as well as baptism-education, laity-Bible study, spiritual direction for laity etc. should be ways through which the laity leadership could be formed.

      • KCI등재

        AI(인공 지능)의 인식론적 문제와 기독교 교육

        양금희(Kum Hee Y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3

        본 논문은 AI의 인식론적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러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AI가 사회의 가치관과 세계관, 교육과 교육 현장을 지배하게 되는 AI 시대를 예측하며, 이 시대 기독교 교육의 의미 및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논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데, 첫째, ‘AI 발달사’, 둘째, ‘AI 인식과 인간 인식론의 비교’, 셋째, ‘AI 시대의 기독교 교육’이다. AI는 세 가지의 물결이라고 칭해지는 발달사를 거쳐 왔는데, 현재는 두 번째 물결에서 세 번째 물결로 넘어가는 시점에 있다. “세 번째 물결 AI”의 완성은 ‘강 인공 지능’(Strong AI)이요 ‘일반적 인공 지능’(AGI)인데 이것은 인간과 똑같은 사고를 하고, 인간처럼 마음(mind)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인간의 인식과 AI의 인식이 같을 수 없다는 것을 ‘뇌 이론’, ‘몸을 통한 인식’, 그리고 ‘상황성’이라고 하는 세 가지의 관점에서 비교하였다. 그리고 본고는 인간의 사고를 모방하며 시작한 AI가 인간과 같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 그대로 AI 인식론의 한계요 문제점으로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비통전적 사고”, “비인격적 사고”, 그리고 “비상황적 사고”로서, 극간의 “객관주의”적 사고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이러한 AI 인식론이 사회와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통전성’, ‘인격성’, ‘관계성’을 지향하는 기독교 교육이 대안이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of AI, and predicts the AI age. AI will potentially dominate society’s values, world view, education and educational field. In this context the paper will offer thoughts on the meaning of Christian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first, ‘AI’s developmental history’, second, ‘epistemology of AI and human being are compared’, third, ‘Christian education in AI age’. AI has gone through a developmental history called the “Three Waves”, which is now at the point of transition from the second wave to the third. The completion of the “Third Wave AI” is called “Strong AI” and “General Artificial Intelligence”(AGI), which means thinking in the same ways as human beings do and having a ‘mind’ like a human being.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human perception and AI perception are not the same, comparing them from three perspectives, namely ‘brain theory’, ‘body perception’ and ‘situationality’. It also finds that AI epistemology, which started by imitating human thought, cannot completely resemble human thought. Rather, its has limits and problems such as a ‘non-wholistic thought’, a ‘non-personal thought’, and a ‘non-contextual thought’ which are summarized in extreme objectivism. Finally, this study insists that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oriented in its epistemology to a ‘wholistic view’, ‘personality’ and ‘relationality’ sh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negative effects of AI epistemology on society and education.

      • KCI등재

        라너와 몰트만의 ‘성례전적 교회’에 나타나는 “세상을 향하는 교회”와 기독교교육 패러다임

        양금희(YANG Kum-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본 연구는 라너와 몰트만의 성례전적 교회 개념과 세상을 향하는 교회의 기독교교육 패러다임에 관한 논문이다. 라너와 몰트만의 성례전적 교회 개념으로부터 이 연구는 ‘성례전적 교회’는 스스로를 위한 기관이 아니라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성례전적 교회의 본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례전적 교회는 세상 속으로 가서 그리스도께서 시작하신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교회이어야 한다. 둘째, 성례전적 교회는 교회의 존재 자체가 삶으로 표현된 성례전이어야 한다. 셋째, 성례전적 교회는 교회의 모든 구성원이 성례전적 존재이어야 한다. 넷째, 성례전적 교회는 세상 속에서의 성례전적 존재로의 소명과 능력이 부여되는 자리여야 한다. 다섯째, 성례전적 교회의 존재양식은 ‘회상과 희망’ 으로, 그리스도의 삶과 고난과 죽음을 현재화하는 회상의 삶을, 또한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새 창조를 희망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성례전적 교회의 본질을 바탕으로 해서 본고는 성례전적 교회의 패러다임을 제안하였다: 성례전적 교회는 그 자체로 교육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 전통적 교회는 교사나 사역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었다면, 성례전적 교회에서는 ‘교회 자체’가 곧 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성례전적 교회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만이 아니라 모든 교인이 교육의 대상이어야 하며, 더 나아가 세상 자체가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성례전적 교회는 가르침의 행위가 아닌 존재 자체로서 보여주는 성례전적 교육의 형태를 띠어야 하며 ‘회상과 희망의 원리’가 교육의 원리가 되어야 한다. 이상의 것을 살펴보았을 때 성례전적 교회는 오늘날과 같이 사회적 신뢰를 상실한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이 눈여겨보고 새롭게 추구해야 할 교회와 교회교육의 패러다임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on the concept of ‘sacramental church’ and educational paradigm of “church toward the world”. It found from the study about concept of sacramental church by Rahner and Moltmann that the sacrmental church is identified not as ‘being for the self’ but as ‘being for the world’, and its nature are following: firstly it is the church goes into the world. Secondly sacramental church is sacramental being itself. Thirdly, whole members of the church must be sacramental being in the world. Fourthly, the sacramental church must be a place where God’s people are empowered for being sacramental in the world. Lastly the lifestyle of the sacramental church must be ‘memory and hope’. It means that the church actualizes the Jesus’ life, passion, and death and lives of hope which realize the new creation of eschatological Kingdom of God here and now. From the study above it suggested the educational paradigm of the church toward the world: sacramental church itself is a educational being and the subject of education. Not only the children and adolescence but the whole church members and also even the world itself are the object of education. Also in terms of the form and method of education, it requires sacramental form in which life and being of the church teaches and especially in forms of ‘memory and hope’. In this sense, the sacramental church is a paradigm which Korean church and Christian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 KCI등재

        한국 최초 여성 기독교교육학자, 주선애의 공적 기독교교육 사상과 실천에 관한 연구

        양금희(YANG Kum-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이 논문은 한국 최초 여성 기독교교육학자 주선애의 ‘공적(public) 기독교교육사상 및 실천’에 관한 논문이다. 주선애는 한국 최초로 대학에 기독교교육과를 설립하였고, 한국 기독교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다양한 기초를 놓았으며, 더 나아가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창단 맴버 중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국기독교교육학의 뿌리를 찾으려는 사람은 결코 비켜갈 수 없는 인물이다. 그러나 주선애는 단순히 한국 기독교교육의 뿌리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적 신뢰의 상실’, ‘공교회성 상실’과 같은 문제로 위기 가운데에 있는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주는바, 그녀의 기독교교육 이론과 실천은 철저히 ‘공적(public)’ 기독교교육 이론이자 실천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그녀의 생애와 기독교교육 이론 그리고 실천을 ‘공적 기독교교육’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재구성하였다. 그녀의 생애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고는 그녀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그의 도전, 그에 대한 그녀의 섬김의 영성을 바탕으로 한 응답이 그녀의 기독교교육을 ‘공적’이 되게 하였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녀의 기독교교육 이론에 나타난 ‘사회 변화를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교육’, ‘학교식 패러다임을 넘어 사회적 운동으로서의 기독교교육’, ‘상황성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교육 이론’, ‘실천적 기독교교육학하기’ 들이야말로 그녀의 기독교교육을 ‘공적 기독교교육’이 되게 하였으며, 더 나아가 공적 신학을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통로가 됨을 살펴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주선애의 기독교교육 사상과 실천은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뿌리에 대한 통찰을 줄 뿐만 아니라 그와 나란히, 위기 가운데 있는 오늘의 한국 교회기독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통찰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Public Christian Educational Idea and Practices of Chou Sun-Ae, who is the “first woman scholar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She established the first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at a Korean University and laid various groundwork in terms of theory and practice for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Furthermore, she i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makes her a significant subject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She is not only one of the major roots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but also gives valuable insights to Korean Churches that are suffering from crisis resulting from the problems of ‘the loss of social trust’ and ‘the loss of the characteristic of Publicness of Church?’ This is possible because her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has concentrated on “Publicness.” Accordingly, this thesis intends to reconstruct her lif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in light of “Public Christian Education.” First, through the study of her life, this thesis finds that her response to the time period in which lived and its challenges made her ‘Public’ Christian Education. Second, through her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this thesis discovers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 view to changing the society’. ‘Christian Education as a social movement beyond schooling paradigm’,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contextuality’, ‘her doing Christian Education as a praxis’ etc. made her public Christian Education. These elements became part of her path to actualizing public theology with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at sense,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Chou Sun-Ae’s ideas and practices give insight into the direction that Korean churches walking in the middle of a grave crisis should go today, as well as giving insight into the roots and history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을 통해서 본 오늘의 교육개혁

        양금희(Kum Hee Y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4 No.-

        이 논문은 종교개혁과 교육개혁의 관계를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인 ‘이신칭의’, ‘만인제사장’, 그리고 ‘두 정부론’으로부터 살펴보고, 그들 뒤에 들어 있는 개혁정신에 오늘의 교육을 비추어 봄으로써 오늘의 교육개혁의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첫 번째 부분 “종교개혁의 핵심담론들과 교육개혁의 관계”에서 본고는 먼저 ‘이신칭의’ 담론이 그 자체로 ‘바른 앎이 동반되는 믿음’을 요청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육의 필요성을 재발견하는 담론이었다는 것, ‘만인 제사장’ 담론은 성도 한사람 한사람을, 즉 개인을 ‘하나님의 계시의 자리’로 재발견함으로써 그들을 제사장으로 세우는 교육의 필수불가결함을 천명한 담론이었다는 것, 그리고 ‘두 정부론’은 세상을 하나님의 통치의 자리로 재발견하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공공성을 담보하고, 더 나아가 교회 뿐만 아니라 가정과 국가와 사회 전체가 기독교교육의 생태계가 됨을 발견하게 하는 담론이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교개혁의 핵심담론에 대한 고찰로부터 본고는 종교개혁이 체계적으로 하나의 새로운 교육이론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는 없지만, 교육의 근본적 테두리와 이론적 틀에 필요한 결정적 요소들을 새롭게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형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통찰을 얻었다. 즉 종교개혁은 교육의 대상인 ‘인간’의 재발견, 그리고 ‘교육’개념 자체의 재발견, 그리고 ‘교육이 이루어지는 자리’인 세상을 재발견함으로써 그 이전의 시대인 중세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형성하도록 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번째 부분인 “종교개혁의 개혁정신에 비추어 본 오늘의 교육개혁의 과제”에서 본고는 종교개혁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부터 오늘의 교육개혁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적 개혁정신들을 발견하였는바, 그것은 ‘통전성’, ‘공공성’, ‘교육생태계 개혁’, 그리고 ‘대안적 은유의 발견’이었다. ‘통전성’에 오늘날 한국교회의 문제인 “분리현상”을 비추어 보게 하였는바, 교회와 가정과 학교의 분리, 신앙과 삶의 분리, 교회와 세상의 분리... 등을 살펴보았고, 통전성의 회복이야말로 오늘날 교육개혁의 중요한 과제임을 발견하게 였다. ‘공공성’은 한국교회의 ‘교회중심주의’를 비추어보게 하였고, 공공성이야말로 한국교회가 회복해야 할 교육개혁의 과제라고 하는 것을 발견하게 하였다. ‘교육생태개 개혁’은 오늘의 한국교회로 하여금 교회학교 중심의 학교식 교육을 넘어서서, 무너지는 기독교 가정을 세우고, 또한 기독교 학교의 정체성을 바로 세워 전체적인 기독교교육 생태계를 다시 살려야 한다는 개혁과제에 대한 도전을 주었다. 종교개혁이 시대를 읽고 ‘대안적 교육개념을 제시’한 것은 오늘날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한국의 시대를 읽고 사람들과 사회를 이끄는 대안적 은유를 제시할 것을 도전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