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술형 문제를 활용한 형성평가가 수학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안종수,An, Jong Su 영남수학회 2021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in the formative assessment using descriptive problems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is paper we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would you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Second, how would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utilizing descriptive evaluation? Third, what was the reaction utilizing the descriptive method to evaluat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een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on academic achievement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changes could be helpful and appreciated. Third,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dicates significance could be seen in the rea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안종수(Jong Su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수업에 적합한 Math story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를 신장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Math story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하여 환경을 조성한다. 둘째, Math stroy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한다. 셋째, Math story 프로그램 활동과 연관된 교육활동을 학교 교실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를 신장시키는데 있다. 방법 00광역시에 소재하는 00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2개반 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평균과 표준편차가 유사한 2개 반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반으로 다른 1반을 통제반으로 나누었다. 연구 기간은 2022년 10월 11일부터 12월 12일 으로 약 2개월간 13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반(32명)은 Math story 프로그램 활용으로 수업한 반이고 통제반(32명)은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을 한 반이다. 실험반과 통제반은 학습활동은 다르게 하였으나 학습내용과 지도내용은 같은 수준으로 지도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먼저 단원별 학습내용을 설정하고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을 하였다.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둘째,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중심 수업과 비교하여 보면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에 더 효과가 있었다. 셋째,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보통 수학 수업에서 무시되어온 하위권 학생들도 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서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에 향상을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한 실험반은 통제반보다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흥미도에 효과가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nhanc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through the Math story program suitable for first-year high school classe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above research is to create an environment to apply the Math story program. Second, the Math Stroy program was designed and applied. Third, it is to enhanc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by applying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the Math story program activities to school classrooms. Methods The researcher was working at 00 High School located in 00 Metropolitan City. The study was conducted on 56 students in two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this school. Two clas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idterm exam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grade. Class 1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es and class 1 was divided into control classes. The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11 to December 12, 2022, and 13 classes were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The experimental class (32 students) was taught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and the control class (32 students) was taught focusing on traditional textbooks and teacher guidance books.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conducted different learning activities, but the learning content and guidance content were taught at the same level. Resul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is study,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unit were first set and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could be enhanced. Second, classes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were more effective i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compared to traditional textbooks and teacher guidance-oriented classes for students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ranks. Third, in classes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low-ranking students, who have usually been ignored in math classes, also became interested in the class, showing improv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experimental class taught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was more effective i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than the control clas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분석

        안종수 ( An Jong-s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1

        본 연구에서는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살펴 본 분석 결과 및 검증을 토대로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설명식 수업보다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설명식 수업보다 수학적 성향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6개의 하위 요소 중 수학적 가치 외 5개의 하위요소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다. 이는 수학적 성향이 연구반 학생들이 비교반학생들보다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utilizing the PBL(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mathematics learning for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pecifically set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using the PBL model with a focus on constructive learning. Second, we considered how we could investigate the student's reaction to the PBL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he PBL model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he PBL model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he PBL model positively affected a change in students’ mathematical tendency compared to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Finally, the mathematical propensity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study groups improved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안종수(Ahn Jong-Su)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0 No.2

        마테오 리치는 중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이다. 그의 원만한 인격과 중국 문화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그리고 과학에 대한 뛰어난 지식 등이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는 중국을 알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으며, 중국 철학과 종교에 대한 그의 이해와 해석은 이후 선교사들과 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리치의 생각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곳은 그가 1603년에 출판한 『천주실의(天主實義)』 이다. 이 책에서 그는 신의 존재와 속성 그리고 섭리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리치는 중국의 상제(上帝) 그리고 신유학의 철학적인 개념 리(理)와 기(氣)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분명하게 밝혔다. 그는 고대 중국인들이 기독교의 신과 같은 인격적인 신을 믿었고 그것이 바로 중국 고전에 나오는 상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신유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신유학에는 기독교의 신과 같은 정신적인 실체의 개념이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신유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리인데, 이것은 실체가 될 수 없고 속성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리는 스스로 운동할 수도 없고 기 없이 존재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리치는 기를 사원소설에 나오는 공기로 이해했다. 따라서 기는 당연히 물질적인 존재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리치의 해석과는 다르게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리를 상제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기독교의 신과도 같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그는 중국인들이 신관념을 가지지 못했고, 유물론자라고 믿는 롱고바르디와 같은 선교사들의 견해를 반박하고 중국인들도 신관념을 가지고 있었고, 유물론자도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라이프니츠는 리 개념이 고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Matteo Ricci is the most famous of all missionaries to China. Ricci's success was due to his personal qualities, his complete adaption to Chinese customs and to his authoritative knowledge of the sciences. In 1603 he published his famous book in Chinese: Tien Zhu Shi-lu(天主實義). In it he discussed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God, as well as his providence. In this book we can also see hi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Neo-Confucian concepts Li and Chi. Ricci thought that the ancient Chinese Shang-ti was equated with the Christian God. But he believed that the modern Chinese were atheists. According to him the Neo-Confucian concept Li could not be equivalent to the Christian God. It was no more than a attribute. Ricci regarded the Neo-Confucian concept Chi as air and matter. The Li could not subsist by itself and had need of the Chi. Ricci's successor Longobardi had the same opinion about the Li, but he believed that the ancient chinese were materialists, and the moderns atheists. Leibniz later criticized Longobardi's view of the Chinese religion. Leibniz was to identify the Neo-Confucian Li with the Christian God. The Li produced the Chi or matter. And the Shang-ti was also nothing other than the Li.

      • KCI등재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 연구

        안종수(An, Jong 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 활동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 검증한다. 둘째,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 활동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 검증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자료를 어떻게 적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것인가? 둘째,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 교수⋅학습자료를 어떻게 적용하여 정의적 영역을 신장시킬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정의적 영역으로 학습 태도와 흥미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실험반을 1반 비교반을 1반으로 나누어 2020년 8월 17일부터 10월 15일까지 약 2개월간 실험반에서는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을 8차시 실시하였다. 실험반(27명)은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을 한 반이고 비교반(27명)은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을 한 반이다. 결과 연구 결과로는 첫째, 실험반은 비교반에 비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실험반은 비교반에 비하여 정의적 영역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반에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은 실험반은 비교반 보다 학습 태도 및 흥미도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bability unit, the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class activities o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as evaluated and verified. Second, in the probability unit, the effect of discussion and debate class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was evaluated and verified.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how to appl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discussion and debate classes in the probability unit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Second, how to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discussion and debate class in the probability unit to expand the affective domai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in the affective doma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1 class, and the non-experimental class was divided into 1 class. From August 17th to October 15th, 2020, for about two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8 sessions of discussion and debate in the probability unit. The experimental class (27 students) was a class with a discussion and debate class in the probability unit, and the non-experimental class (27 students) took a traditional explanatory class centered on textbook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non-experimenta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ive area compared to the non-experimenta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and inter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non-experimental group in the discussion and debate class in the probability unit.

      • KCI등재

        웹 기반 수학학습에서 메타문제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안종수 ( Jong Su An ),송태성 ( Tai Sung S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1

        본 연구에서는 수학 10-가 단원에서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개발된 메타문제를 활용한 웹 기반 수학학습의 학습모형과 일반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자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5차시 수업을 한 결과 첫째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아본다. 둘째, 학습자간의 학습태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아본다. 결론적으로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하여 개발된 메타문제를 활용하여 웹 기반 수학학습의 학습모형을 적용한 학습자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는 교과서 중심인 수학학습의 일반모형을 적용한 학습자에 비하여 효과적이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s of web-based mathematical instruction applying metaproblem.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experimental class and then analyse the students` change in those aspects after applying metaproblem.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It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pplied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mathematical capabilities and interest attitude improvement.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on regarding the enhance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capabilities are positive. Second, the results on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interest-attitude are positive.

      • KCI등재

        라이프니츠와 유학(儒學)

        안종수(Ahn Jong-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라이프니츠는 중국에 대해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남긴 여러 가지 자료에 잘 나타나고 있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에 르몽에게 쓴 편지에서는 신유학의 중요한 개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편지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에 대해서도 관심이 상당히 많았음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라이프니츠 철학과 신유학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어서 여러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중국에 우호적인 학자들은 라이프니츠가 중국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라이프니츠가 상당히 일찍부터 중국에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과 그의 철학이 여러 면에서 신유학의 철학과 유사하다는 사실이 학자들로 하여금 그러한 결론에 이르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니담과 쳄프리너, 그리고 그런 의견에 반대하는 쿡과 로즈몬트의 견해를 살펴보고 그 주장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니담은 중국의 유기체 철학이 라이프니츠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라이프니츠는 니담이 말하는 그런 유기체 철학을 반대하였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쳄프리너는 중국철학의 변증법이 라이프니츠의 변증법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지만 역시 근거가 약하다. 우선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변증법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고, 또한 라이프니츠가 신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때는 이미 그의 철학이 완성되어서 영향을 받을 수도 없었다. 이들과는 다르게 쿡과 로즈몬트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특히 이들은 니담의 주장을 논박하고 있는데, 핵심은 니담이 직접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그리고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에 대해서 영향을 받을 정도로 알지도 못했고, 관심도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전체적으로는 타당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중국에 대한 관심을 너무 정치적이고 종교적인 부분에 한정시킴으로써 그의 중국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과소평가한 면이 있다.

      • KCI등재

        헤겔과 불교

        안종수(Ahn, Jong-Su)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불교관을 검토하고 그의 철학과 불교철학 사이에 있는 유사점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헤겔의 불교에 대한 이해는 주로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했던 예수회 선교사들이 제공한 자료들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헤겔에 의하면 불교에서는 무(無)를 신이나 절대자로 간주하여 모든 것은 거기서 나오고 다시 거기로 돌아간다고 생각한다. 또한 불교에서는 사람들이 활동과 생각을 멈추어서 무와 하나가 되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헤겔의 불교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유럽에 알려진 불교에 대한 내용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 다만 헤겔이 불교를 포함하여 아시아의 종교를 가장 낮은 단계의 종교로 분류한 것이 다른 점이다. 헤겔은 불교에도 여러 종류의 종파가 있고 엄청난 발전이 있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그런데 화엄종의 법신불인 비로자나불 사상은 헤겔의 절대관념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헤겔의 이념에 대한 이론과 화엄종의 법신불 사상 사이에 보이는 몇 가지 유사점들을 찾아보았다. 예컨대 헤겔이 이념을 절대자 혹은 진리라고 하듯이 화엄종에서는 진리인 법(法)을 비로자나라는 부처로 숭배한다. 또한 헤겔과 마찬가지로 화엄종에서는 이 세계를 살아있는 생명체로 생각한다. 헤겔이 생각하는 이 세계는 정신인 이념이 외화한 결과물이다. 마찬가지로 화엄종에서는 이 세계는 결국 정신인 비로자나불의 현현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egel"s view of Buddhism and to find the correspondences that exist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Buddhism. Hegel owed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almost completely to the reports of the Jesuits. According to Hegel in Buddhism man thinks of God as nothingness. The Buddhists say that out of nothingness everything has proceeded and into everything returns. The highest state of a man consists in his immersing himself in nothingness and in the cessation of all bodily motion, of all movement of the soul. Helgel"s explanation of Buddhism doesn"t differ from the Jesuit missionary reports from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difference is that Hegel classified Buddhism as a religion of nature, which is the lowest stage in the hierarchy of religions. Hegel did not know that many different schools of Buddhism had developed in India and China. There was also a tremendous development of Buddhism in many asian countries. It is remarkable that there are unexpectedly many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Hwa-Yen Buddhism. In this paper is examined these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the idea of Vairocana Buddha in Hwa-Yen Buddhism. For example, Hegel thinks of the Idea as the Absolute and the Truth. Similarly in Hwa-Yen Buddhism the Dharma is respected as a Buddha. Both Hegel and Hwa-Yen Buddhism regard the Universe as a Organism. According to Hegel, the Idea expresses itself as nature. In Buddhism also man regards the world as a expression of Vairocana Bud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