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기』「월령」에 나타난 중국인의 자연관

        안종수(Jong Su Ahn) 철학연구회 1998 哲學硏究 Vol.43 No.-

        「月令」에는 고대 중국인들의 자연에 대한 지식과 그것을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방식들이 잘 나타나 있다.「월령」은 일년을 열두 달로 나누고, 각 달의 천문과 그 달에 해당하는 十千·上帝·神·동물·音·十二律·맛·數 등을 오행에 입각해서 열거하고있다. 그 다음으로는 각 달에 통치자가 어떤 것을 제사지내고, 무엇을 써서 제사지내며, 어떤 색깔의 옷을 입고, 무엇을 먹고, 어떤 곳에 거주해야 하는가를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또한 최고 통치자가 각 달에 정치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일도 설명하였다. 만일에 통치자가 이렇게 정해진 대로 실행하지 않으면 자연계에 비정상적인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하는 내용도 「월령」에는 들어 있다. 이 녹문은 이러한「월령」에서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내용이라고 생각되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陰陽五行思想·氣思想·千支의 사용·24節氣·28宿 등이 거기에 해당하는 주제들이다. 그리고 이 논문에서 특히 강조하고 싶은 내용은 바로 고대 중국인들의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이다. 우리는 자연보호에 대한 동양의 뿌리깊은 역사를 이「월령」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철학적으로 토론할 일이 아니라 바로 실천해야만 할 일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헤겔과 중국철학

        안종수 ( Jong Su Ah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3 No.-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철학과 중국철학의 유사점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헤겔은 그의 철학사에서 중국의 철학자들을 매우 낮게 평가하였다. 예컨대 공자에 대한 헤겔의 평가는 아주 가혹하였다. 헤겔은 공자는 도덕가일 뿐이고 도덕철학자는 아니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에 따르면 공자는 분명하게 사변적인 사상가는 아니었다. 심지어 헤겔은 공자의 글은 번역되지 않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헤겔이 이렇게 중국의 철학자와 철학을 신랄하게 비판하였지만 의외로 그의 철학과 중국철학 사이에는 닮은 점이 많다. 예를 들어 헤겔의 이념과 신유학의 리(理), 헤겔의 유기체 철학과 중국의 유기체 철학, 그의 변증법과 주역의 음양론 등의 세 가지 중요한 유사점들이 특히 눈에 띈다. 이 논문에서는 헤겔철학과 중국철학 사이에 보이는 세 가지 유사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런 유사점들 때문에 우리는 중국철학을 통해서 보다 쉽게 헤겔철학을 이해할 수 있고, 반대로 헤겔철학을 통해서 중국철학을 보다 잘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이와 같은 비교연구는 서양철학과 동양철학 사이의 상호이해와 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Chinesephilosophy. In his History of Philosophy, Hegel severely underestimates Chinese philosophers. For example, Hegel``s judgement on Confucius is very harsh. Hegel thinks that Confucius was a moralist but not a moral philosopher. According to Hegel, Confucius was definitely not a speculative thinker. Moreover, Hegel says that it would have been better if Confucius were not translated. Although Hegel criticizes Chinese philosophy and philosophers harshly, there are unexpectedly many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Chinese philosophy. For example, we can see particularly three big similarities between Hegel``s Idee and the Neo-Confucian Li, between Hegel``s philosophy of organism and the Chinese philosophy of organism, between Hegel``s dialectics and the Chinese theory of the Yin-Yang in the I-Ching. In this paper is examined these three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Chinese philosophy. Because of these similarities it seems that we can more easily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Hegel through Chinese philosophy and vice versa. I hope that this comparative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western philosophy and oriental philosophy.

      • KCI등재

        부베와 라이프니츠

        안종수(Ahn Jong-Su)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2 No.52

        부베는 루이 14세에 의해서 선발된 예수회의 중국선교사들 가운데 한 명이다. 1685년 그는 프랑스를 떠났고, 1688년 마침내 북경에 도착해서 선교를 시작했다. 1693년 중국의 강희제는 루이 14세에게 보내는 선물과 함께 중국으로 새로운 선교사를 보내달라는 부탁을 하도록 부베를 다시 프랑스로 보냈다. 프랑스에 도착한 부베는 라이프니츠의 「최신 중국소식」을 읽고서 그에게 편지와 함께 자신이 쓴 「강희제전」 도 보내주게 된다. 이들의 교류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라이프니츠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던 이진법에 관해서 설명을 해주었고, 부베도 또한 자신의 관심분야였던 「역경」과 복희에 대해서 알려주었다. 부베는 라이프니츠의 편지를 읽고서 「역경」에 나오는 64괘들은 바로 이진법에서의 숫자였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한 자신의 발견을 그는 다시 편지로 라이프니츠에게 알려주었다. 라이프니츠는 이미 4000년 전에 중국에서는 복희가 이진법을 발견했다고 믿고 놀라면서 그를 칭송하였다. 나아가서 그는 종교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옛날의 중국인들이 현대의 중국인들보다 더 뛰어났었다는 사실이 바로 「역경」의 64괘들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도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복희는 64괘들을 이진법의 숫자로 처음 만들었고 또 그 당시에 중국인들은 그것을 이해했으나 현대의 중국인들은 그러한 사실을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이 아주 옛날에 이미 이진법을 알았다는 사실은 라이프니츠에게는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에게 이진법은 단순한 산술(算術) 이상의 것이다. 그는 이진법이 창조의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고 믿었다. 라이프니츠는 이진법에서 0은 무(無)를 나타내고 1은 창조를 상징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것을 고대 중국인들이 알았으니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결국 「역경」 의 이진법은 고대 중국인들이 하나님을 알았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Bouvet and Leibniz. Bouvet was born at Le Mans, he came to China in 1687, as one of six Jesuits, the first group of French missionary to China, sent by Louis XIV. He returned to France in 1697. After Bouvet read Leibniz' Novissima Sinica, he sent Leibniz a letter dated 18 October 1697 with a copy of his recently published Portrait historique de l'Empereur de la Chine. Leibniz answered on 2 December 1697. It was Bouvet who first identified the hexagrams of the I ching with the binary numbers. Before it, Leibniz explained to Bouvet the principles of his binary arithmetic in his letter of 15 February 1701. Bouvet immediately recogn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grams and the binary numbers and he announced his discovery in a letter written in Peking on 4 November 1701. With this letter he sent to Leibniz a woodcut diagram of the Fu-Hsi arrangement of the hexagrams, which provides the key to the analogy. Leibniz readily accepted the identification of the hexagrams with his binary numbers. He had no reason to doubt the antiquity of the Fu-Hsi arrangement that Bouvet had sent him. Leibniz believed that Fu-Hsi, the most ancient prince and philosopher of the Chinese, had understood the origin of things from unity and nothing, i.e., his mysterious figures reveal something of an analogy to Creation. Leibniz believed that his binary system presents an instance of how God created the world out of the units of 0(nothing) and 1(God). Leibniz deduced from the identification of the hexagrams with his binary numbers that Fu-Hsi had knowledge of the science of combinations which the later Chinese had lost. It seemed clear to Leibniz that the ancient Chinese surpassed the moderns not only in piety but also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呂氏春秋』의 자연관

        안종수(Ahn Jong-Su)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6 No.-

        『여씨춘추』는 진(秦)나라의 여불위(呂不韋)가 편찬한 책이다. 이 책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십이기」인데, 이것은 「월령」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월령」이란 일년 열두 달 각 달에 일어나는 자연현상과 천자와 관리 그리고 일반인들이 해야할 일 들을 기록한 월력(月曆)이다. 우리는 이 「십이기」에서 『여씨춘추』의 자연관을 잘 볼 수 있다. 「십이기」에는 먼저 각 달에 관찰되는 태양의 위치와 별들의 움직임 그리고 동식물들의 생태가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자연현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은 농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것은 또한 사람들이 자연현상에 역행하지 않고 순응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자연과 일치하는 생활을 하기 위해서 먼저 자연의 변화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십이기」에 나타나는 자연관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동양의 자연관이라고 이해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연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보다는 자연에 순응하려는 태도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이러한 생각은 천자의 생활에서부터 정치와 농업에 이르기까지 철저히 적용되고 있다. 천자는 계절의 변화에 의식주를 맞추어서 생활해야 한다고 「십이기」는 규정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천자는 정치에 있어서도 계절에 맞는 정치를 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십이기」에는 고대인들의 자연보호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동식물들을 보호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것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는 특히 이러한 자연보호사상을 배울 필요가 있다. The Lu-shih Ch’un-ch’iu is a compilation of various schools of thought made under the direction of Lu Pu-wei, who was minister of the Ch’in stat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book is the 12 Tchi(十二紀), which contains the “Monthly Ordinances”(月令). We can see well in this the chinese view of nature in ancient times. The central category here is the cycle of the year and the theme is the proper ceremonial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the ruler to the tasks governing each month and season of the year. Each month is related to astronomical conjunctures, to the elements, and to the correlates of taste and musical notes, as well as to certain temporary presiding deities, and so on. The ruler is admonished to see to it that the practical tasks of agriculture appropriate to the season are carried out. Thus, proper ritual and what might now be called “rational” practical admonitions are completely intertwined. The Son of Heaven must perform the appropriate sacrifices of the month, wear the proper ceremonial robes, eat the appropriate foods, and perform the proper ceremonies in the Hall of Light(明堂), which is a microcosmic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the entire cosmic order. At the same time, he promulgates instructions on the appropriate tasks of agriculture. In addition, the Lu-shih Ch’un-ch’iu has emphasized preserving the plants and animal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 This view of nature can give us a solution to the current environmental issue. Humans have destroyed more than 30 percent of the natural world since 1960. We are now facing a global extinction crisis with thousands of species and habitats under threat.

      • KCI등재

        라이프니츠와 유학(儒學)

        안종수(Ahn Jong-su)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라이프니츠는 중국에 대해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남긴 여러 가지 자료에 잘 나타나고 있다. 그가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에 르몽에게 쓴 편지에서는 신유학의 중요한 개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 편지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에 대해서도 관심이 상당히 많았음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라이프니츠 철학과 신유학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어서 여러 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중국에 우호적인 학자들은 라이프니츠가 중국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라이프니츠가 상당히 일찍부터 중국에 관심을 가졌다는 사실과 그의 철학이 여러 면에서 신유학의 철학과 유사하다는 사실이 학자들로 하여금 그러한 결론에 이르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니담과 쳄프리너, 그리고 그런 의견에 반대하는 쿡과 로즈몬트의 견해를 살펴보고 그 주장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니담은 중국의 유기체 철학이 라이프니츠 철학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라이프니츠는 니담이 말하는 그런 유기체 철학을 반대하였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설득력이 약하다. 쳄프리너는 중국철학의 변증법이 라이프니츠의 변증법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지만 역시 근거가 약하다. 우선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변증법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고, 또한 라이프니츠가 신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한 때는 이미 그의 철학이 완성되어서 영향을 받을 수도 없었다. 이들과는 다르게 쿡과 로즈몬트는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특히 이들은 니담의 주장을 논박하고 있는데, 핵심은 니담이 직접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그리고 라이프니츠가 중국철학에 대해서 영향을 받을 정도로 알지도 못했고, 관심도 없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의 주장은 전체적으로는 타당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중국에 대한 관심을 너무 정치적이고 종교적인 부분에 한정시킴으로써 그의 중국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과소평가한 면이 있다.

      • KCI등재

        마테오 리치의 리기관(理氣觀)

        안종수(Ahn Jong-Su)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0 No.2

        마테오 리치는 중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이다. 그의 원만한 인격과 중국 문화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그리고 과학에 대한 뛰어난 지식 등이 성공의 원동력이었다. 그는 중국을 알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으며, 중국 철학과 종교에 대한 그의 이해와 해석은 이후 선교사들과 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모델이 되었다. 리치의 생각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곳은 그가 1603년에 출판한 『천주실의(天主實義)』 이다. 이 책에서 그는 신의 존재와 속성 그리고 섭리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리치는 중국의 상제(上帝) 그리고 신유학의 철학적인 개념 리(理)와 기(氣)에 대해서도 자신의 견해를 분명하게 밝혔다. 그는 고대 중국인들이 기독교의 신과 같은 인격적인 신을 믿었고 그것이 바로 중국 고전에 나오는 상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신유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신유학에는 기독교의 신과 같은 정신적인 실체의 개념이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신유학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바로 리인데, 이것은 실체가 될 수 없고 속성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리는 스스로 운동할 수도 없고 기 없이 존재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리치는 기를 사원소설에 나오는 공기로 이해했다. 따라서 기는 당연히 물질적인 존재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리치의 해석과는 다르게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리를 상제와 동일한 것으로 보고 기독교의 신과도 같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그는 중국인들이 신관념을 가지지 못했고, 유물론자라고 믿는 롱고바르디와 같은 선교사들의 견해를 반박하고 중국인들도 신관념을 가지고 있었고, 유물론자도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라이프니츠는 리 개념이 고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다. Matteo Ricci is the most famous of all missionaries to China. Ricci's success was due to his personal qualities, his complete adaption to Chinese customs and to his authoritative knowledge of the sciences. In 1603 he published his famous book in Chinese: Tien Zhu Shi-lu(天主實義). In it he discussed the existence and attributes of God, as well as his providence. In this book we can also see his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Neo-Confucian concepts Li and Chi. Ricci thought that the ancient Chinese Shang-ti was equated with the Christian God. But he believed that the modern Chinese were atheists. According to him the Neo-Confucian concept Li could not be equivalent to the Christian God. It was no more than a attribute. Ricci regarded the Neo-Confucian concept Chi as air and matter. The Li could not subsist by itself and had need of the Chi. Ricci's successor Longobardi had the same opinion about the Li, but he believed that the ancient chinese were materialists, and the moderns atheists. Leibniz later criticized Longobardi's view of the Chinese religion. Leibniz was to identify the Neo-Confucian Li with the Christian God. The Li produced the Chi or matter. And the Shang-ti was also nothing other than the Li.

      • KCI등재
      • KCI등재

        헤겔과 불교

        안종수(Ahn, Jong-Su)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불교관을 검토하고 그의 철학과 불교철학 사이에 있는 유사점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헤겔의 불교에 대한 이해는 주로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했던 예수회 선교사들이 제공한 자료들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헤겔에 의하면 불교에서는 무(無)를 신이나 절대자로 간주하여 모든 것은 거기서 나오고 다시 거기로 돌아간다고 생각한다. 또한 불교에서는 사람들이 활동과 생각을 멈추어서 무와 하나가 되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헤겔의 불교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으로 유럽에 알려진 불교에 대한 내용과 크게 다를 것은 없다. 다만 헤겔이 불교를 포함하여 아시아의 종교를 가장 낮은 단계의 종교로 분류한 것이 다른 점이다. 헤겔은 불교에도 여러 종류의 종파가 있고 엄청난 발전이 있었다는 사실은 알지 못했다. 그런데 화엄종의 법신불인 비로자나불 사상은 헤겔의 절대관념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헤겔의 이념에 대한 이론과 화엄종의 법신불 사상 사이에 보이는 몇 가지 유사점들을 찾아보았다. 예컨대 헤겔이 이념을 절대자 혹은 진리라고 하듯이 화엄종에서는 진리인 법(法)을 비로자나라는 부처로 숭배한다. 또한 헤겔과 마찬가지로 화엄종에서는 이 세계를 살아있는 생명체로 생각한다. 헤겔이 생각하는 이 세계는 정신인 이념이 외화한 결과물이다. 마찬가지로 화엄종에서는 이 세계는 결국 정신인 비로자나불의 현현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egel"s view of Buddhism and to find the correspondences that exist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Buddhism. Hegel owed his understanding of Buddhism almost completely to the reports of the Jesuits. According to Hegel in Buddhism man thinks of God as nothingness. The Buddhists say that out of nothingness everything has proceeded and into everything returns. The highest state of a man consists in his immersing himself in nothingness and in the cessation of all bodily motion, of all movement of the soul. Helgel"s explanation of Buddhism doesn"t differ from the Jesuit missionary reports from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difference is that Hegel classified Buddhism as a religion of nature, which is the lowest stage in the hierarchy of religions. Hegel did not know that many different schools of Buddhism had developed in India and China. There was also a tremendous development of Buddhism in many asian countries. It is remarkable that there are unexpectedly many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Hwa-Yen Buddhism. In this paper is examined these similarities between Hegel"s philosophy and the idea of Vairocana Buddha in Hwa-Yen Buddhism. For example, Hegel thinks of the Idea as the Absolute and the Truth. Similarly in Hwa-Yen Buddhism the Dharma is respected as a Buddha. Both Hegel and Hwa-Yen Buddhism regard the Universe as a Organism. According to Hegel, the Idea expresses itself as nature. In Buddhism also man regards the world as a expression of Vairocana Bud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