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皇華集』쇠퇴의 이유와 의미

        안장리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5 No.-

        In the past, the exchange of knowledg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arried out almost always in china. However, as cultural exchange through envoys became important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n Korea and Ming dynasty in China, more poems were exchanged between the Korean scholar-officials and Chinese envoys. And, Hwang Hwa Collection 『 』and may books about Joseon were published. The growning concern of Ming over Joseon grew in the following steps. The scholar-officials of the late Goryeo period were proud of their own country. During early Joseon dynasty, Kwan Kun was famous for his poems in China. Ming envoys requested the poetry and prose of Kwan Kun. Ye Geom, a Ming envoy in the last year of King Sejong of Joseon dynasty, wrote his experience in Korea in Yohaepyon 『 』. Korean scholar-officials were dissatisfied with Chinese attitude shown in editing of the Yohaepyon 『 』. Jin Gam () demanded too much to Joseon Dynasty Ming envoys in the reign of King Sejo of Joseon dynasty. To reflect the position of Joseon and meet Jin Gam's request, Hwang Hwa Collection was made in Joseon Dynasty. Hwang Hwa Collection『 』was published in 46 volumes for 200 years. Dong Wol, a Ming envoy in the reign of King of Seongjong, requested Joseon Customs Collection claiming himself as an editor of Chinese History. Later he wrote Joseonbu < > using the Joseon Customs Collection as a source material. After that, many books about Joseon Dynasty was published. However, when Ming was replaced by Qing dynasty, the customs that the Korean scholar - officials and Chinese envoys and the related publication were stop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서울 팔경시 연구

        안장리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4

        This thesis examines "Seoul Palgyung-si" (poetry about the eight famous spots in Seoul) by dividing it into closed and opened types. The closed type of Palgyung-si, which focused on the region, was good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However, because of its limitation which it had to represent the region, it was composed less than opened Palgyung-siwhich focused on dwelling. Closed Palgyung-si like <Sin-do-pal-kyung 新都八景> and <Han-yang-sip-yong 漢陽十詠> was created in the early stage of Chosun and became much closer to opened Palgyung-si like <Guk-do-pal-yong 國都八詠> by King Jeong Jo than <Han-yang-pal-kyung 漢陽八景> which suggested a concrete selection of location. While Jeong Do Jeon and Seo Geo Jeong glorified a "idea" and a "glorious reign" by displaying the representative of Seoul in the early Chosun, Lyeohangin 閭巷人, the gentry and the king only stressed "interest" in the late Chosun. Opened Palgyung-si started with a luxurious taste of a royal family like An-Pyung Prince, but the gentry tried to pursue their dream of living in forests through Palgyung-si which took a view of a dwelling place in forest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hyeollyanggwa 賢良科 and the gentry who dreamed of Chongnamcheopgyeong 終南捷徑, the creation of Palgyung-si was getting popular. With this popularity, the targets of eight famous spots were extended to Do Bong Mountain in the north of Seoul, A-Cha Mountain in the east, Gwan-Ak Mountain in the south and An Mountain in the west. In the seventeenth century, with the focus of Kim Chang Hup, a gathering of Chunfunggae淸風契 was vitalized, and the persons with no government position did the poetry party and constructed the realm of ‘interest.’ In the eighteenth century, those poetry party became more vitalized. Also, as the poetry party of a royal family like King Yong-Jo and Jeong-Jo were very active, they pursued the ‘interest’ of the glorious reign. Since the creation of Palgyung-si became "opened" rather than "closed,"the space and class were extended and every spot of Seoul became a place of scenic beauty. This popularity became national wide. 본고에서는 서울 팔경시를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누어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지역 중심의 폐쇄형은 지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기에 좋긴 하나 지역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하는 한계가 있어 거처 중심의 개방형 팔경시에 비해 많이 지어지지 않았다. 폐쇄형 팔경시는 조선 전기에 <신도팔경>과 <한양십영> 정도가 창작되었으며, 조선 후기에는 정내교의 <한양팔경>처럼 구체적 장소 선정보다 이념적 내용 제시에 머물거나, 정조의 <국도팔영>처럼 개방형 팔경시와 유사해졌다. 조선 전기 정도전, 서거정 등이 서울의 대표성을 드러내어 ‘이념’과 ‘성대’를 구가했다면, 조선 후기 위항인이나 사대부 그리고 왕은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흥취’에 치중하였다. 개방형 팔경시는 안평대군 같은 왕족의 호사취미로 시작되지만, 성시산림의 실현은 사대부들의 오랜 꿈이었기에 16세기 사대부들은 벼슬을 마친 후 또는 현직에서도 산림 속에 거처를 마련하거나 城市 속의 거처에서 산림을 조망하는 팔경시를 통해 성시산림의 세계를 추구하게 된다. 이는 賢良科라는 제도의 마련과 함께 終南捷徑을 꿈꾸는 사대부들에 의해 더욱 확대되어 팔경시 창작이 봇물을 이룬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팔경의 대상은 북쪽으로 도봉산, 동쪽으로 아차산, 남쪽으로 관악산, 서쪽으로 안산에 이르기까지 폭을 넓혀 서울에 팔경 아닌 곳이 없게 된다. 17세기는 김창흡을 중심으로 한 청풍계 모임이 활성화되는 한편, 벼슬과 관계없는 위항인들이 시사활동을 통해 ‘흥취’의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18세기는 이런 시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었으며, 영조, 정조 등 왕족의 팔경 창작활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성대’에서의 ‘흥취’를 추구하게 된다. 팔경시 창작이 폐쇄형 중심이 아닌 개방형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공간의 확대와 계층의 확대에 따라 서울에는 명승 아닌 곳이 없게 되었으며, 이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16세기 팔경시에 나타난 미의식의 양상 -<俛仰亭三十詠>을 중심으로-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5 No.-

        본고에서는 16세기 팔경시에 나타난 미의식을 밝히기 위해 먼저 호남사림이 집단적으로 수창한 <면앙정삼십영>의 구조와 미의식을 밝히고, 같은 시기에 서울 및 영남에서 수창한 팔경시와 비교하여 각각의 양상을 고찰하였다.철학적으로는 호남사림과 경기충청사림은 기호사림으로 통칭될 정도로 이질성보다는 동질성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16세기 문학활동 양상을 보면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한 사림들과 호남에 자리를 잡은 사림들 그리고 영남을 정신적 지주로 삼은 사림들이 개별적인 문학활동을 전개했으며, 이는 <면앙정삼십영>, <송석거사 산가팔영>, <집승정십경> 등을 통해 구현되었다.위의 작품들은 모두 유사성과 대비성을 통해 두 경씩의 관계를 확대하여 8경, 10경, 12경의 경물을 선정하는 팔경시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으며, 집단적인 미의식을 구현하고 있었다. <면앙정삼십영>은 김인후, 임억령, 고경명, 박순, 양대박 등이 참여하였으며, ‘탐승’, ‘탈속’, ‘지조’, ‘盛代’의 미의식을 구현하였다. 지조 있는 사대부로서 태평성대를 구가하려 한 양상은 일찍부터 정치적 부침으로 호남에 내려와 있었으나 언제나 관료로 나아가 德治를 펼치고 싶어 하는 호남사림들의 정서가 반영되어 있는 셈이다. <송석거사 산가팔영>은 김안국, 김정국 형제와 홍언필, 소세양 등이 참여하였으며, 정치적 부침으로 정치 중심에서는 밀려난 상황에서 이를 잊고 달래기 위해 ‘탈속’한 경관 속에서 ‘유흥’에 젖으려 한 경기충청 사림들의 정서가 나타나 있다. <집승정십경>은 이황을 비롯하여 최연, 박승임, 구봉령, 황준량 등이 참여하였으며, 외면적으로는 ‘탈속’한 경관에서의 ‘유흥’을 읊고 있어 경기충청사림의 정서와 같은 듯이 보이나 ‘지조’와 ‘성대’와 같은 정치적인 태도 표명과 현실 중시 경향 보다는 ‘이치’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호남사림과의 경계를 보여주고 있다.본고에서는 16세기에 향유된 팔경시를 통해 각 지역 사림들의 미의식을 밝히고 아울러 이들의 철학적 특징 즉 세계관의 차이점을 밝히려 하였는 바 이상적인‘탈속’을 즐긴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각각의 입장에 따른 차이점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중국팔경 수용 양상 고찰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한국과 베트남은 동양한자문화권의 일원으로 팔경문화를 향유하였으며, 자국의 팔경문화를 지닌 국가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다만 중국팔경 향유에 있어 한국이 관념적이었다면 베트남은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기에 차이점이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瀟湘八景」과 「北京八景」 그리고 베트남의 「瀟湘(洋湘)八景」과 「梧州八景」 등 양국에서 향유한 중국팔경의 수와 형태, 명칭과 내용을 통해 양국 팔경문화의 동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팔경의 수는 여덟 개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양국에서 모두 종속화가 이루어졌는데 한국의 燕京, 次杜工部秦州二十首 20수의 일부로, 베트남 瀟湘百詠 100수의 일부로서 팔경이 향유되기도 하였다. 팔경의 형태는 한국에서도 한 두 수의 시에 각 경을 응축시키는 경우가 일부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 경에 한 수씩 배치시킨데 비해 베트남은 응축이 일반화되거나 심지어 경 중 일부가 누락되기도 하였다. 팔경의 명칭은 한국은 「소상팔경」과 「북경팔경」 모두 표제의 변화가 없으나 베트남은 제목은 물론 소표제조차 교체되었으며, 내용에 있어서도 경치묘사보다 작자의 심정 토로를 주제로 삼기도 한 점이 한국과 다른 점이다. 이처럼 한국과 베트남의 중국팔경 향유 양상이 다른 이유는 팔경 현장 체험 여부라 할 수 있는데 한국은 향유한 중국팔경이 적으며, 「소상팔경」을 전범으로 삼은데 비해 베트남은 향유한 중국팔경이 많으며, 특별히 전범으로 삼은 중국팔경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Korea and Vietnam are similar in that they enjoyed the culture of Eight Views and have their own culture of Eight Views as members of Chinese letters-based Oriental civiliz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derived from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they enjoyed the Eight Views of China: while Korea was conceptual, Vietnam was based on experienc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ulture of Eight Views between Korea and Vietnam based on the numbers, forms, names, and content of Eight Views of China they enjoyed including Eight Views of Xiao Xiang and Eight Views of Beijing in Korea and Eight Views of Xiao Xiang(Yangsang) and Eight Views of Oju in Vietnam. As for the numbers of Eight Views, both the nations had Eight Views basically and underwent satellization. Eight Views became part of 20 Sus in Yeongyeong, Chadugongbujinjuisipsu in Korea and 100 Sus in Sosangbaekyeong in Vietnam. As for the forms of Eight Views, Korea generally allocated a Su to a View with some cases of condensing each View into a poem of a couple of Sus. In Vietnam, condensation became intense with some Views omitted. As for the names of Eight Views, there were no changes to the titles of Eight Views of Xiao Xiang and Eight Views of Beijing in Korea, whereas they changed the titles and even subtitles in Vietnam. As for the content of Eight Views, Vietnam was different from Korea, depicting the authors' feelings rather than the landscapes.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enjoying the Eight Views of China between Korea and Vietnam are attributed to the field experiences with the Eight Views. The differences also deriv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ulture of Eight Views whose example is the Chinese culture of Eight Views around Eight Views of Xiao Xiang.

      • KCI등재

        이숭인(李崇仁) 시문에 보이는 포은(圃隱) 인식 고찰

        안장리 포은학회 2023 포은학연구 Vol.31 No.-

        In this paper, Lee Sung-in'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Sung-in and Chung Mong-ju and Chung Mong-ju's capabilities as a writer, scholar, and politician was examin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ems given by Lee Sung-in to Chung Mong-ju, it was shown that he used the letters Dalga and Poeun evenly, but sometimes recognized them as "colleague", "older", and "leader" using names such as "old friends(故友)", “elder(丈)”, “teacher(先生)”. Chung Mong-ju's aspect as a scholar was called "excellent", citing the evaluation of his teacher Lee Saek. Although there was no evaluation on his aspect as a literary man, his recognition as a friend of exchanging poetry. It is seen in poems comparing meetings at Jungyangjeol to a game of gods and poems expressing longing for his colleagues during an envoy activities. The fact that Lee Sung-in evaluated Chung Mong-ju as an elder and a leader is his political and diplomatic competence and respect. This can be seen in Lee's article to Chung Mong-ju, who is going to Japan, the expectations expressed about Chung's speech, dignity, and political capabilities, and the poem he vowed to join him by naming Chung Mong-ju as a person who will keep his bow until the end in a crisis that is eliminated one after another by the Yi Seong-gye faction. 본고에서는 이숭인과 정몽주의 관계 그리고 문인, 학자, 정치가로서의 정몽주의 역량에 대한 이숭인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정몽주와의 관계에 있어서 이숭인이 정몽주에게 준 시를 고찰한 결과 자인 달가나 호인 포은을 고루 사용하였으나 때로 ‘고우(故友)’, ‘장(丈)’, ‘선생(先生)’ 등의 명칭을 사용하여 ‘동료’, ‘연장자’, ‘스승’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정몽주의 학자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는 스승인 이색의 평가를 인용하여 ‘탁월(卓越)’하다고 하였으며, 문인으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는 별도의 평가를 한 바 없으나 시우(詩友)로서 인정한 점이 중양절에서의 모임을 신선놀이에 비유한 시 및 사행 중에 동료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시 등에서 보인다. 이숭인이 정몽주를 연장자로서 또 스승의 위상으로 평가한 점은 정치·외교적 역량과 절의이다. 이숭인이 일본으로 사신가는 정몽주에게 준 글에서 정몽주의 언변과 기품, 정치적 역량에 대해 표현한 기대, 이성계일파에 의해 차례로 제거되는 위기의 상황에서 끝까지 절의를 지킬 인물로 정몽주를 지목함으로써 자신도 그와 함께 할 것임을 다짐한 시 등에서 이런 점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淵民 李家源의 文體論과 한국문학의 가치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7 No.-

        본고에서는 이가원의 문체론에 대한 논문과 1952년에서 1968년까지 집필한 한국문학 관련 글을 엮은 韓文學硏究 의 분석을 통해 이가원의 문체론과 한국문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문체론에 대한 논문을 분석한 결과 이가원은 중국과 한국의 문체분류를 통시적으로 살핀 뒤 자신의 독자적인 15가지 문체를 제시하였다. 근대를 기점으로 舊派와 新派로 구분하고 舊派에서는 文選 의 39가지 문체, 文心雕龍 의 20가지 문체, 經史百家雜抄 의 11가지 문체 등으로 점점 항목은 적어지더라도 포괄 범주가 넓어짐을 평가하되 그럼에도 불구하고 傳奇小說이나 小品文 등이 제외된 한계를 밝혔다. 新派에서는 龍伯純, 梁啓超, 蔡元培 등의 문체론에 비해 施畸의 문체 분류가 독자성이 있다고 보았고 이가원 스스로의 독자적인 15가지 문체 분류 및 설명을 제시하였다. 이 설명에서는 조선의 科體詩를 문체의 하나로 설정하는 독자성을 보였다. 그러면서 이가원은 문체 분류는 시대적 변화와 문의 체제를 복합적으로 반영해야 된다고 하였고, 문학은 ‘역사에 남을 가치가 있는 문채가 나는 글’이어야 된다고 하였다. 韓文學硏究 에서는 한국문학에 대한 중국의 영향과 한국의 독자성 고찰에 주력했는데 「鄭瓜亭曲」이나 春香傳 등 한국의 대표적인 작품에서의 중국의 영향을 밝혔으며, 아울러 申光洙의 문학에서는 東詩, 樂府, 艶體詩, 傳奇小說 등이 한문 작품이지만 한국의 독자성을 부각시켰음을 평가하였다. 본고에서는 이가원이 한문학을 반민족적 행위로까지 보던 시대에 문학연구자로 활동하면서 文史哲을 아우르는 문의 개념을 견지하여 문체 분류를 하고 문자에 구애받지 않고 한국문학을 설명할 수 있는 문체를 분류하였으며, 분과적 세태에 맞게 소설, 시가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한시와 소설 등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을 얘기하되 그래서 중국과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켰으며, 중국과 차이나는 점을 열등한 것으로 보지 않고 독자적인 것으로 평가하여 한국한문학을 문학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가치 있는 존재로 부각시켰다. 나아가 우리에 맞는 새로운 문체를 창출하는 문학을 특별히 거론하여 우리문학의 가치를 높이려 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Lee Ga-won's concept and value of literature by analyzing his papers on stylistics and his Study on Korean literature, which included texts about Korean literature in 1952~1968. The analysis results of his papers on stylistics show that he examined the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diachronically both in China and Korea and proposed his 15 independent ones. He divided the writing styles into the Old and New Schools around the modern times and found that the number of items decreased in the Old School from 39 classifications in Munseon through 20 classifications in Munsim- joryong to 11 classifications in Gyeongsabaekgajapcho with the encompassing categories expanding. He also add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around the exclusion of biographical novels and vignettes in spite of the development. He believed that Sigi's classification of writing styles had independent quality compared with the stylistics of Yong Baek-sun, Yang Gye-cho, and Chae Won-bae in the New School, providing his own independent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and their explanations, in which he claimed independence for his classifications by setting the Gwachesi of Joseon as a writing style. He maintain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writing styles should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systems of sentences in a complex manner and that literature should contain beautiful coloring worth a mention in history. In his Study on Korean literature, h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China on Korean literature and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literature and shed light on the Chinese influences in some of Korea's representative works including Jeonggwajeonggok and Chunhyangjeon. He also assessed that Shin Gwang-su highlighted the independence of Korean in literature despite his works in Chinese including children's poems, Akbus, Yeomchesis and biographical novels. In shor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Lee Ga-won classified writing styles by keeping his concept of literature to encompas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s a literature researcher in the times when Chinese classics were regarded as anti-national activities and proposed the classifications of writing styles to explain the Korean literature regardless of characters. He also did research on novels and poems according to the fragmented conditions of society and talked about the influence of China on Korean poems and novels in Chinese. He highlighted that Korean literature was different from Chinese literature and assessed the difference to be independent instead of inferior to Chinese literature, arguing that it expanded the literary diversity. Furthermore, he made a special discussion about the literature of creating a new writing style fit for the Korean people, trying to raise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新增東國輿地勝覽』의 ≪新都八景≫과 『大明一統志』의 ≪京師八景≫ 비교

        안장리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This thesis compare ≪Sin-do pal-gyeong≫ in 『Dong-guk yeo-ji-seung-nam』 with ≪Gyeong-sa pal-gyeong≫ in 『Tae-myeong il-tong-ji』. Because the poets’ subject is the capital of Joseon and Myeong. These were reported in the geography book compile by government. The ‘pal-gyeong-si 八景詩’ with capital was created by bureaucrat of the Joseon and Myeong for propaganda. Also pal-gyeong-si was considered a poem of the country praise. An ‘je-yeong’contents was added in 『Dong-guk yeo-ji-seung-nam』, because chinese culture is embraced korea. The subject of ≪Gyeong-sa pal-gyeong≫ is three. The first is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ce. The secend is a invitation of talented person, The third is enjoyment of an ideal world. The subject of ≪Sin-do pal-gyeong≫ is constructing an ideal world by king, bureaucrat and people. The ideal world of Joseon is more need participation. Since then, ≪Sin-do pal-gyeong≫ and ≪Gyeong-sa pal-gyeong≫ is created continuously. And it has enfluence the fashion of pal-gyeong-si in korea and china. 본고는 조선의 ≪新都八景≫과 명나라 ≪京師八景≫이 14세기 말 15세기 초에 조선과 명나라 양국에서 도읍을 대상으로 창작되었으며, 모두 국가편찬 지리지에 수록한 점에 착안하여 창작 및 수록 배경, 수록 내용 등은 물론 시의 내용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한편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瀟湘八景을 전범으로 삼아 탈속한 세계를 주제로 하는 팔경시의 경향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명나라와 조선은 건국 후 수도를 옮긴 뒤 새로운 도읍의 타당성을 홍보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팔경시를 창작하였다. 또한 지리서 편찬에 있어서도 국토에 대한 찬시를 첨부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관련 시들이 지리서에 수록되었다. 특히 『동국여지승람』에는 ‘題詠’條가 신설되어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팔경시가 대량으로 수록되었다. 이는 조선이 중국문화 수용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면모를 지녔음을 보여준다. ≪新都八景≫과 ≪京師八景≫을 비교하면 명나라가 국방의 강화, 인재초빙, 자연스런 왕화 실현을 통한 선계 향유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조선에서는 국방의 강화나 성리학의 교화에 있어서 왕과 신하, 백성들이 부단한 노력을 통해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어 천년간 지속될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다. 조선이 지향한 세계상이 보다 실천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新都八景≫은 조선에서, ≪京師八景≫은 청나라는 물론 조선에까지 계속 창작되었는데 이와 같은 지속과 국가 편찬 지리지의 수록 등은 한중양국에서 팔경시의 유행을 공고히 하고 확대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16세기 팔경시에 나타난 미의식의 양상-<俛仰亭三十詠>을 중심으로-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5 No.-

        본고에서는 16세기 팔경시에 나타난 미의식을 밝히기 위해 먼저 호남사림이 집단적으로 수창한 <면앙정삼십영>의 구조와 미의식을 밝히고, 같은 시기에 서울 및 영남에서 수창한 팔경시와 비교하여 각각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철학적으로는 호남사림과 경기·충청사림은 기호사림으로 통칭될 정도로 이질성보다는 동질성이 뚜렷하였다. 그러나 16세기 문학활동 양상을 보면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한 사림들과 호남에 자리를 잡은 사림들 그리고 영남을 정신적 지주로 삼은 사림들이 개별적인 문학활동을 전개했으며, 이는 <면앙정삼십영>, <송석거사 산가팔영>, <집승정십경> 등을 통해 구현되었다. 위의 작품들은 모두 유사성과 대비성을 통해 두 경씩의 관계를 확대하여 8경, 10경, 12경의 경물을 선정하는 팔경시의 전통을 이어받고 있으며, 집단적인 미의식을 구현하고 있었다. <면앙정삼십영>은 김인후, 임억령, 고경명, 박순, 양대박 등이 참여하였으며, ‘탐승’, ‘탈속’, ‘지조’, ‘盛代’의 미의식을 구현하였다. 지조 있는 사대부로서 태평성대를 구가하려 한 양상은 일찍부터 정치적 부침으로 호남에 내려와 있었으나 언제나 관료로 나아가 德治를 펼치고 싶어 하는 호남사림들의 정서가 반영되어 있는 셈이다. <송석거사 산가팔영>은 김안국, 김정국 형제와 홍언필, 소세양 등이 참여하였으며, 정치적 부침으로 정치 중심에서는 밀려난 상황에서 이를 잊고 달래기 위해 ‘탈속’한 경관 속에서 ‘유흥’에 젖으려 한 경기?충청 사림들의 정서가 나타나 있다. <집승정십경>은 이황을 비롯하여 최연, 박승임, 구봉령, 황준량 등이 참여하였으며, 외면적으로는 ‘탈속’한 경관에서의 ‘유흥’을 읊고 있어 경기·충청사림의 정서와 같은 듯이 보이나 ‘지조’와 ‘성대’와 같은 정치적인 태도 표명과 현실 중시 경향 보다는 ‘이치’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호남사림과의 경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16세기에 향유된 팔경시를 통해 각 지역 사림들의 미의식을 밝히고 아울러 이들의 철학적 특징 즉 세계관의 차이점을 밝히려 하였는 바 이상적인‘탈속’을 즐긴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각각의 입장에 따른 차이점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Honam(湖南) Confucian scholars. <Meonang tower thirty poems(俛仰亭三十詠)>, <Songseok recluse's place eight scenes poems(松石居士山家八詠)>, <Jipseung tower ten scenes(集勝亭十景)> which is the representative eight scenes in the 16th century. The characters of these poems are similarity and contrast. That was the characters of the Eight scenes poems. <Meonang tower thirty poems(俛仰亭三十詠)> has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The writers are Kim Inhoo(金麟厚), Im Eokryeong(林億齡), Ko keongmeong(高敬命), Park Sun(朴淳), Yang Taebark(梁大樸). They seek 'sightseeing', 'recluse', 'constancy', and 'a glorious reign'. <Songseok recluse's place eight scenes poems(松石居士 山家八詠)> has been written by someone in Kyeonggi(京畿) Chungnam(忠南). The writers are Kim Anguk(김안국) brothers, Hong Eonpil(洪彦弼) and Sho Seyang(蘇世讓). They pursuit 'recluse' and 'enjoyment'. <Jipseung tower ten scenes(集勝亭十景)> has been written by Yeongnam(嶺南) Confucian scholars. They are Lee Hwang(李滉), Choi Yeon(崔演), Park Seungim(朴承任), Ku Bongryeong(具鳳齡), and Hwang Junryang(黃俊良). They pursuit principle more than conxt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