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 안에서 옷의 상징적 의미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본고는 성경 안에 드러나는 옷의 상징적인 의미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창세기의 가죽옷부터 묵시록의 흰옷에 이르기까지 옷은 인류의 영적인 신분을 드러내는 상징이다. 창세기 2-3장에서는 옷의 일반적인 기능 이외에도 옷을 입어야 하는 이유를 원조의 수치심(창세 3,7 참조)에서 찾는다. 창조주 하느님에 의해 질서 지어진 낙원에서는 어떠한 옷도 인간에게 필요하지 않았다. 하느님의 영광으로 덮여있는 인간은 완전함과 무죄함, 깨끗함과 거룩함의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이 범한 죄는 새로운 상황을 초래하였다. 그들의 온몸은 하느님의 현존 앞에서 결핍된 상태가 되었다. 이런 결핍 상태를 감추기 위해 그들에게 무화과나무 잎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하느님께서는 친히 타락한 인간의 나약함과 한계 안에서도 일정한 품위의 영속을 식별할 수 있는 가죽옷을 입혀 주신다. 그들이 입은 가죽옷은 이중의 새로운 의미 곧 하나는 타락한 인간의 품위를, 다른 하나는 시초에 잃어버린 하느님의 영광을 다시 입게 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하느님께서 계획하시는 구원의 역사는 옷의 상징을 통해 낙원에서 잃어버린 영광을 회복시켜 주시겠다는 약속에 대한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제 아담의 가죽옷을 통해 드러난 이중적인 의미는 거룩한 변모 안에서 영광을 입으신 예수님의 상징적인 옷을 통해 극복된다. 그분의 옷은 부활을 통해 썩어 없어지지 않을 옷을 입는 당신 육체의 영광을 상징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믿고 세례를 받은 이들도 죄의 더러운 옷을 벗고 깨끗한 옷을 입어야 함을 미리 보여준다. 부활하신 후에 주님께서는 영광의 상징인 찬란한 광채를 띤 그분 본래의 의복을 입으셨다. 영광을 입으신 그리스도께서는 아담이 잃어버린 완전함을 회복해 주셨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사제복, 세례복과 혼인 예복의 기원과 상징적, 신학적, 영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선택받은 이들은 사제이신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어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 되어야 하고, 그리스도를 입고 옛 인간을 벗어 버리고 새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세상에서 죄와 잘못으로 물들었더라도 하느님의 최후 심판을 통하여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은 혼인 예복을 갖추고 잔칫방에 들어가야 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symbolic sense of clothing that is revealed in the Bible. From the leather garments of Genesis to the linen clothing of the Apocalypse, clothes are symbols that indicate a spiritual identity.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of Genesis we find that the reasons we must dress are two; the first reason is to put something on to cover ourselves, and this is in general the role of clothing, the second reason comes from the shame of our ancestors. Our ancestors did not need any clothes in Paradise and this was ordained by God the Creator, because the human being was covered by the glory of God and he was in a state of integrity, innocence, purity and holiness. But the sin of our ancestors caused a new reality. Suddenly they felt their personal nakedness in the presence of God. To hide their nakedness they felt that the only fig leaves were not sufficient to cover themselves. God the Creator Himself offered them the leather garments in which we can perceive a certain dignity within their human limitations and weaknesses. Their leather garments indicate two meanings; human dignity restored and the new possibility to cover themselves with the glory of God. The History of Salvation planned by God reveals, through the symbol of clothing, the promise to allow us to recover the lost glory of God in Paradise. Now the double sense revealed by Adam’s leather garments is surpassed by Christ’s symbolic clothing covered in glory during the Transfiguration. His clothing symbolize the glory of his body covered by incorruptibility through the Resurrection and prefigure also for those baptized the covering of themselves by pure clothes, divesting themselves of the dirty clothes of sin. After the Resurrection our Lord covers himself by his own clothing that shines with bright brilliance which is symbol of glory, because Christ, clothed by glory, recovered the integrity lost by Adam. For this reason we can find the origin and the symbolic and spiritual sense of the sacerdotal, baptismal and nuptial clothing. The priest is among the Elect that officiates before God - joined to Christ through his Priesthood - covering himself with Christ and becoming a new man, replacing the old one. The people that desire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Heaven at God’s Last Judgement, even though they are sinners, they must put on new clothes to enter into the nuptial banquet.

      • 16세기 후반의 사제 복장: 트렌토 공의회 이후

        안봉환(An, Pong-hwa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1 No.-

        16세기 후반의 사제 복장은 어떠하였을까? 트렌토 공의회는 성직자 복장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았고 성직자들의 생활에 관하여 이미 정해진 규범들을 준수하도록 하였다. 실제로 트렌토 공의회는 발목길이의 겉옷(vestis talaris)을 사제의 내적 품행을 외적으로 보여주는 데 가장 적합한 복장으로 보고 있었던 이전 규정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사실은 16세기 중반 밀라노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 열린 크고 작은 교회회의들이 트렌토 공의회의 규정을 일관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렌토 공의회 규정이 널리 알려지고 받아들여졌다고 해서 성직자들에게 고정된 틀을 제시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각자 주어진 상황에서 보편적인 규범에 따라 성직자 복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교들에게 맡겼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시대의 유행에 따라 매우 짧은 복장을 입고 다니면서 특히 일반인들을 닮고자 하는 성직자들의 남용들도 적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주교 카를로 보로메오(Carlo Borromeo, 1538-1584)는 자신이 주재한 여러 관구 공의회를 통하여 주교들에게 사제 복장에 관하여 엄중히 경계하도록 지시하였다. 제1차 밀라노 관구 공의회(1565)는 성직자들이 검은색의 옷을 입도록 지시하였다. 이 관구 공의회는 처음으로 검은색을 성직자 복장의 색깔로 법으로 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속력을 지닌 입법의 시작을 나타낸다. 제3차 밀라노 관구 공의회(1573)는 아직 삭발례를 받지 않은 신학생이 주교의 허락 없이 성직자 복장을 입지 못하도록 하였다. 제4차 밀라노 관구 공의회(1576)는 주교가 자색을 사용하고, 추기경이 홍색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도록 하였다. 추기경들과 주교들 사이의 구별은 큰 호응을 얻었고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같은 공의회는 성직자들이 성당에서 중백의(中白衣, cotta)를 입지 않을 때에도 발목길이의 긴 겉옷을 입도록 하였다. 따라서 밀라노 관구 공의회 이후 고위 성직자들과 수도자들 그리고 선교사들을 제외하고, 성직자의 복장들에 있어서 모든 다른 색깔은 금지되었고 검은색으로 이루어진 발목까지 내려오는 사제의 복장이 많은 나라에서 일반적인 관행처럼 사용되었다. 하지만 특별법은 성무(聖務)와 공무 수행을 예외로 하고, 특히 산악 지역에서 활동하는 성직자들에게 짧고 어둔 색깔의 복장을 사용하도록 허용하였다. 교황 식스토 5세는 교회 안에 모든 성직자에게 적용되는 복장에 관한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법률을 도입할 목적에서 트렌토 공의회와 함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해주는 교황령 「쿰 싸크로상타」(Cum Sacrosancta, 1589.1.9)를 반포하였다. 이 문헌을 통해 교황은 트렌토 공의회가 주교들에게 위임한 복장에 관한 재량권 사용으로 발생된 여러 남용을 없애면서 발목 길이의 복장을 모든 성직자들에게 예외 없이 착용하도록 하였다. 교황은 트렌토 공의회가 요구하는 옷을 vestis talaris 또는 발목길이의 복장이라고 불렀다. 이후로 성직자들은 이 복장을 그들의 독특한 복장으로서 어디서든지 의무적으로 입어야 했다. 하지만 교회는 완전 중앙 집권과 규율의 통일성을 아직 갖추지 못하였으므로 그의 계획에 대한 시도는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식스토 5세의 교황령은 성직자들로 하여금 일반인들과 외적이고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구별되는 독특한 표지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지만 엄격하게 규정된 처벌에도 불구하고 성직자의 공통된 복장을 마련하는데 역부족이었고 그 이후에도 성직자들이 짧은 복장을 유행처럼 입고 다니는 것을 막지 못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결국 교황 자신은 칙서 「파스토랄리스」(Pastoralis, 1589.1.31)를 공포하면서 이전 법률의 엄격함을 완화할 수밖에 없었다.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how the clerical habit was ? The Council of Trent did not establish a particular kind of habit by encouraging to observe the rules already given for the past about the cleric’s life. In fact it seems to ratify a precedent legislation, that saw especially the clerical habit as the most suitable to show outside the sacerdotal consecration. And this seems to be confirmed by the uniformity by which the legislation of Trent has been received by several provincial councils of the XVI century, whose references to the obligation of wearing the clerical habit strike that it is a known and accepted prescription. This, however, did not mean a rigid clergy framing, because the possibility of legislating about the habit had been given to the bishops, in their ambit and considering the general norm. On the other hand not even the abuses were absent, especially when the clerics wanted to imitate the secular people by wearing shorter clothes, and about this Charles Borromeo(1538-1584) warned the bishops, by urging them to pay attention about the clothes worn by the clerics. The I Provincial Council of Milan(1565), ordered clerics to wear black. This not only was the first time that black was set down in law as a clerical color, but it also marked the inception of legislation binding all clerics to the use of black. The III Provincial Council of Milan(1573) forbade the cleric that had not yet received the tonsure to wear the clerical habit, without the bishop’s permission. The IV Provincial Council of Milan(1576) reserved purple for bishops, with cardinals retaining the right to use red. This distinction between cardinals and bishops gained favor and has persevered to this day. The same Council established that the priests, even when in the Church they don’t use the cotta, however they must wear the clerical habit. So after the Provincial Council of Milan all the other colours were forbidden for the clerical dresses, except for the prelates, the religious men and the missionaries and the use of the black clerical habit became practice generally followed in many nations, also the particular right allowed the use of shorter and dark clothes especially in the mountain regions, except during the sacred and public functions. But if we consider the common and universal legislation it was Pope Sixtus V (1585-1590) by the Constitution Cum Sacrosancta (9,1,1589) promulgated that put an other milestone, together with the Council of Trent. By this document the Pontiff aimed at removing the discretionary powers granted to local Ordinaries by Trent, and imposing the ankle-length cassock on all clerics without exception. Pope Sixtus V called the dress demanded by the Council of Trent the vestis talaris or cassock. From his time onward clerics were obliged to wear the cassock at all times as their distinctive dress. But the Church was not yet ripe for complete centralization and uniformity of discipline, and the attempt failed. The Constitution of Sistus V, that wanted the clerics to clearl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other people, even if rigorous pains had been predicted, it revealed itself to be ineffectual to impose a common habit and to avoid that the use of a shorter dress more and more got into the clergy style. Thus the Pontiff himself mitigated the precedent law rigour by promulgating the Bull Pastoralis (31,1,1589).

      • KCI등재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사제 복장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神學展望 Vol.- No.193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사제 복장은 어떠하였을까? 성직자의 신분과 품위에 맞지 않는 복장이 11세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베르나르도 성인은 성직자들이 사치스럽고 화려한 복장을 입고 다니며 물의를 일으키는 것에 대해 비난하면서 내적 미덕의 품위를 통해 신자들에게 감화를 주도록 권하였다. 그의 영향을 받아 개최된 교회회의들은 성직자들의 복장은 성직자들이 갖춘 미덕의 외적 표지임을 강조하였다. 『그라시아노 법령집』을 통해서 성직자 복장에 관한 공통적이고 통일된 규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문헌은 성직자에게 적합한 복장을 언급하면서 성직자의 복장은 발목까지 내려오는 장백의이며 도시, 거리나 광장에서 항상 그 옷을 착용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 이 법령집은 성직자의 복장과 품행을 통해서도 신분을 드러내는 것이 성직자의 본분임을 강조하였다. 성직자들이 공적으로 드러낼 때 그 신분에 적합한 옷을 입어야 하는 것은 일반인들이 그들을 성덕의 본보기로 바라보기 때문이었다. 당대의 여러 교회 회의와 공의회는 성직자 복장의 형태와 색상과 관련해서 정숙함에 대한 일반적인 권고를 오랫동안 강조해오면서도 성직자 복장에 관한 옷차림이나 특별한 색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그 어떤 긍정적인 법도 제시하지 않았다. 오히려 성직자 복장은 금령으로 제시한 규정을 통하여 성직자들이 입어서는 안되는 것들에 대한 부정적인 방식을 제시하였다. 1215년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의 규정은 성직자의 화려한 복장에 관해 특별한 방식으로 규제하고 있다. 기존 관행이었던 긴 겉옷에 대해서는 새로운 내용을 언급하지 않는다. 하지만 장백의를 입어야 한다는 내용이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 모든 시대에 적용되는 공통법이 되었다. 그 이후의 많은 교회회의들은 쓸데없는 것은 모두 피하고 녹색도 홍색도 아닌 상당히 길고 트임이 없는 옷으로 이루어진 성직자 복장과 관련된 규정을 확립하였다. 트리엔트 공의회까지 커다란 영향을 주었던 다른 두 개의 교령은 사제와 부제도 아닌 하급 성직자들과 관련된 성직자 복장의 규정을 다루었다. 그레고리오 10세 교황령은 중혼자들이 성직자 복장을 입지 않도록 하고 그들에게서 성직자의 특권을 박탈하였다. 보니파시오 8세 교황령은 단 한번 혼인한 성직자는 성직자의 특권을 누리고 성직자 삭발과 복장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From the 11th to the 13th century what was clerical attire like? In the 11th century the abuse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sacerdotal status and decorum, arise again about the sacerdotal clothing. St. Bernard reveals the scandal that the priests make wearing luxurious clothing and he exhorts them to worry rather about edifying the faithful by the example of their virtues. The Councils, that were inspired by him, consequently underline that the clerical clothing must be an exterior sign of their virtue. As regards the congruence between the exterior sign of the clothing and the exigences of the clerical status is not mentioned much in the Gratian’s Decretum, where Gratian is the first to constitute a kind of canon law manual. This Decretum, even if it does not add anything new to the things said about the councils canons, however it marks the beginning of a common and uniform legislation about the clerical clothing. From the rules collected in the Decretum it results that it is specified that the clerical clothing is the talaric tunic(the priest’s cassock), that must be always worn and when walking in the city, in the street or when travelling. The clerics must testify to their status also by their clothings and their behaviour. The priests must have consistent clothings when they show themselves in public also because they are particularly seen as models of sanctity. From the 13th century onwards we can consider that the clerical law about the clerical duty to wear a peculiar habit is a rule firmly acquired by the common canon law, at least in it’s fundamental principles. Then the Decretals order the clerics to wear a peculiar clerical clothing, but the manner is not specified. By the generic recommendation to modesty, either for the model or for the colour of the clothing, for a long time the various councils never gave positive rules about the manner or about the use of particular colours for the clerical clothing. However we can individuate a rule in a negative way by the prohibitions contained in the legislation. In 1215 the rule of the 4th Lateran Council establishes in specific way what is against the clerical modesty, but it does not bring any innovation about the use of the talaric tunic, that was a practice already existing; however it fixes this use as a common law during all the time before the Tridentine Council. Then many provincial councils confirmed such a provision of the law about the clerical clothing and it results that it must be constituted by enough long clothing, closed, and their colours must be neither green nor red, avoiding all that is superfluous. In other new Decretals, two rules are recorded regarding the discipline about the clerical clothing in relation to those clerics, naturally neither priests nor deacons, that were married. The first rule is by Gregory X that forbade the bigamists to wear the clerical habit and deprived them of all clerical privileges. The second rule is by Boniface Ⅷ himself, that decreed all married clerics to enjoy the clerical privileges, to have the tonsure and to wear the clerical habit if they were married only once to a virgin.

      • KCI등재

        17세기의 사제 복장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7

        17세기의 사제 복장은 어떠하였을까? 트렌토 공의회 이후 성직자들은 장소와 상황을 고려해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밀라노 대주교 카를로 보로메오가 제시한 성직자 복장의 색깔 규정에 따라 검은색 긴 겉옷(vestis talaris 또는 cassock)을 입고 다녀야 했다. 그렇지만 17세기부터 성직자 복장 형태와 관련된 규정은 유럽 각 나라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었고 개별법에 따라 성직자에게 짧은 복장(soutanelle)을 입도록 하는 곳도 생겼다. 교황 우르바노 8세는 식스토 5세가 지시한 복장 형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16세기의 로만 칼라의 초기 형태는 긴 겉옷에 그대로 달라붙어 있어서 로만 칼라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다고 정확하게 단언할 수 없다. 17세기에 이르러 위생 및 청결 문제, 곧 땀으로부터 옷을 보호하고 긴 겉옷에 달라붙은 목 칼라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점차 목 주위를 감싸줄 수 있는 단순하고 조금 폭이 넓은 흰색 아마포를 사용하였다. 당시의 목 칼라는 성직자를 일반인과 구별하려고 사용한 것이 아니라 위생 및 청결에 따른 기능성을 고려한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일반인들은 화려한 레이스로 장식한 목 칼라가 달린 긴 겉옷을 입고 다녀 성직자와는 외적으로 구별하기가 어려웠다. 우르바노 8세는 장식 없이 흰색 레이스로 만든 목 칼라를 일반인과 구별해주는 성직자의 고유한 외적 표지로 규정하여 일반인으로 하여금 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17세기 후반의 교황들은 그들 각자 반포한 교황령을 통해 로마에 거주하는 대품을 받은 모든 성직자들과 성직록을 받는 성직자들에게 여행 때 짧은 복장을 입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가 뜰 때부터 자정까지 각자 그들 품계 또는 등급에 따라 영예로운 성직자의 표식을 드러내는 삭발과 발목에 이르는 검은색 긴 겉옷을 입도록 하여 성직자의 단정함을 잃지 않도록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17세기 후반의 교황들이 반포한 복장에 관한 규정들은, 긴 겉옷을 사용하도록 지시한 트렌토 공의회와 식스토 5세 교황령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17th century how the clerical clothing was? The modern and more centralized legislation regarding clerical clothing may be considered to begin with a Constitution of Sixtus Ⅴ(1589), insisting under the severest penalties that all clerics, even those in minor orders, should uniformly wear the vestis talaris and go tonsured. Offenders were to lose all title to their benefices or any other emolument which they held. After the Constitution of Pope Sixtus Ⅴ there were no more attempts to introduce into the Church, at universal level, the use of the vestis talaris. The clerics had always to wear the habit peculiar to the clerical status that is the black dres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about the colour of the ecclesiastical habit recommended by the Bishop of Milan, Charles Borromeo(1538-1584), but with the proper exceptions that are allowed in various case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places and circumstances. However from the ⅩⅦ century onwards the disposition for this kind of habit was subjected to modifications in the different European Countries and there were other places where, after particular laws, the modifications took also the clerics to adopt short clothes. Another edict issued under Urban Ⅷ, in 1624, goes into greater detail concerning to the form of the habit prescribed by Pope Sixtus Ⅴ. It is certainly impossible to know the origin of the roman collar that is worn around the neck, because in the ⅩⅥ century it was united with the vestis talaris. In the ⅩⅦ century there was the use to cover the simple little white collar with a piece of linen white cloth to keep the talaric collar clean, At that time there was again th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 clerics from the laics that, taking for themselves the title of doctors, used to wear long dresses with collars made precious by lace, and those dresses were like the ones of the secular priests. Then Urbano Ⅷ established the use of the collar as ulterior distinctive element peculiar to the ecclesiastics, and at the same time the laics were forbidden to wear it. It directs that the cassock should be confined with a cincture, and that the cloak worn over it should normally, like the cassock, fall as low as the ankles. The under-dress, the hose included, should be modest, and dark in colour. All embroidery and lace upon collar or cuffs is forbidden. The hat shall be of approved shape, and a simple cord or ribbon shall form its only ornament. Infringements of these regulations are to be punished with a pecuniary fine. Then the other successive Popes, i. e. Clement Ⅸ, Innocent Ⅺ, Innocent Ⅻ, published the edicts that confirmed the use of the vestis talaris and the tonsure to all the ecclesiastics in sacris and the beneficed clerics that remained in Rome from dawn until midnight, but when they were travelling they were allowed to wear black short clothes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modesty. Besides they recommended the Ordinaries to firmly eliminate the abuses and they established severe pains also for those clerics that used to wear laical clothes, and these pains used to inflict restrictions on the clerical privileges and the loss of the benefices. In conclusion in their dispositions about the clerical habit, the Popes of the ⅩⅦ century mostly referred to the use of the vestis talaris, and they were still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both the Tridentine Council and the Constitution Cum Sacrosancta.

      • KCI등재

        신앙 고백 양식들에 대한 역사: 신약성경부터 옛 로마 신경(=R)까지

        안봉환(Pong-Hwan An)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7 가톨릭신학 Vol.0 No.30

        우리는 “저는 믿나이다.”라는 말로 신앙 고백을 시작한다. 세례 예식 또는 주일 미사 때 세 가지 기본 신앙, 즉 전능하신 창조주 아버지, 우리 주예수 그리스도, 성령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다. 그렇다면 이 신앙 고백은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과거에 어떤 형태를 취하였을까? 신약성경에서 가장 오래된 형태는 그리스도에 대한 짧은 양식(“예수는 그리스도”, “주님”, “하 느님의 아들”)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짧은 양식 이외에도 신약성경에는 성부-성자 구조의 양식과 삼위일체 구조의 양식도 등장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양식들은 세례 교리교육 상황에서 그리고 신앙과 관련된 이단 적인 가르침이 널리 퍼지며 훨씬 더 복잡해진다. 특히 2세기에 가톨릭교회는 정통적인 신앙을 위협하던 이단들에 맞서 방어할 새로운 필요성을 느꼈다. 이런 상황에서 소위 “신앙의 규칙” 또는 “진리의 규칙”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이 “신앙의 규칙”은 불변하는 신앙의 유산으로 간주된, 그리스도교의 교리 내용을 종합한 것이다. 그 신앙의 규칙은 교리교육을 통해 구두로 전해진 교리 내용의 총체로서 각 저자들과 여러 상황에 따라 용어는 조금씩 다르더라도 근본적으로는 동일한 교리를 담고 있으며 문서로 기록하여 고정된 것이다. 그 양식들은 “신앙 고백”(Credo) 정식으로 나아가는 단계에 있다. 3세기에 교회는 하나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이교로부터 점점 늘어나는 많은 수의 개종자들을 교회 안에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었 다. 이 문제는 전통적인 가르침의 총체를 위협하였다. 이런 시기에 교회안에서 ‘신경 전수와 수여’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교회는 예비자들에게 교리교육을 하는 어느 시점에 그들에게 “신경”(Symbolum)을 전달하였고. 그들은 정해진 특정한 시점에 이 신경을 반복해서 암기하였다. 서방에서 양식을 갖추고 규범이 되었던 아주 오래된 지역 “신앙 고백”(Credo) 가운데 하나가 옛 로마 교회의 신경(=R)이었다. 2세기 말과 3세기 초 사이에 옛 로마 신경은 이미 로마 교회의 세례 전례에서 사용되었 으며, 두 번이나, 즉 첫 번째는 세례를 받으려는 예비자의 선언 형태로, 두번째는 세례 샘물에 세 번 잠기는 동안 문답 형태로 바쳤다. 그런 신앙 고백의 구조는 삼위일체 구조이며 가현설에 대한 교리적 논쟁 때문에 다른두 가지 항목보다 둘째 항목이 더욱 확대되었다. 아퀼레이아의 루피누스는 그의 작품 신경 해설 에서 라틴어(404년경)로, 안키라의 마르켈루스는 그의 작품 호교론 에서 그리스어(340년경)로 우리에게 선언 양식의 신경 (Symbolum) 본문을 전해주었다. 그런 증언들은 4-5세기를 보고해 준다. 그럼에도 그 신경은 확실히 더 오래전에 사용된 것이었다. 3세기까지 기원하는 사도 전승 에서 히폴리투스는 세례 예식을 진술하면서 옛 로마 신경의 본문과 근본적으로 일치하는 선언 양식과 질문-대답 양식의 신앙 고백을 전해주기 때문이다. Every time we profess our faith we begin by saying “I believe.” When there is the baptismal celebration or the Sunday Mass we profess our faith by three principal elements: the faith in God the omnipotent and Creator Father, and in our Lord Jesus Christ, and in the Holy Spirit. Since when have these professions of faith begun, and which forms did they take in the past? In the New Testament the most ancient professions of faith began by the exclusively Christological form. Beside these so short forms, Binitarian and Trinitarian forms appear. In time these formulas became more and more complex, either in the baptismal catechism context, or in the diffusion of heretical doctrines with regard to the faith. Particularly in the second century the Catholics felt the new demand of a defence against the heretics that constituted a menace to the orthodox faith. In this context the so-called “Rule of faith” or the “Rule of truth” began to be formulated, and it was a synthesis of the Christian religion doctrinal contents and these contents were considered as unalterable faith patrimony. The rule of faith was not a written text everywhere the same, but a complex of doctrinal data orally handed down by the catechism and fixed in writing by terms light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authors and to the different demands, but including the same fundamental doctrine. These formulas constituted an ulterior step towards the formulation of the Credo.In the third century the Church had to confront many problems, among which there was the always growing up number of converted heathens that were flowing into her lines from the paganism, and this constituted a menace to the traditional teaching integrity. In this period in the Church the use of the Traditio and Redditio Symboli began to be practised. The Church used to give the Symbol to the catechumens in some initial moment of their catechism and they used to repeat it at the stabled and fixed moment. In the Occident one of the most ancient local Credo, that took shape and was canonized, was that one of the ancient Roman Church (ancient Roman Symbol=R). At the end of the second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third one, the ancient Roman symbol was already used in the baptismal liturgy of the Roman Church and it used to be recited two times: first in a declaratory form by the catechumen that was going to receive the baptism, and a second time under form of question and answer during the triple immersion into the baptismal font. The structure of this profession of faith is Trinitarian, with the second article more extensive than the other two ones, because of the doctrinal disputes about Christ’s real humanity. The Symbol text is handed down to us by Rufinus from Aquileia, in his Explanation of the Credo, in Latin (404 ca.), and by Marcellus from Ancyra, in his Apologia in Greek (340 ca.) : these testimonies would take us to the fourth and fifth century. However his use was certainly more ancient, because Hyppolitus, in the Apostolic Tradition, ascending to the third century, by describing the baptismal rite, relates a profession of faith that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text of R as it has been handed down to us by Rufinus and by Marcellus.

      • KCI등재

        6세기부터 10세기까지 사제 복장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89

        성직자들은 수단을 언제부터 입기 시작하였을까? 초세기부터인가 아니면 최근에 고안된 것인가? 서방에서 사제 복장과 세속 복장이 구별되기 시작한 것은 6세기이며, 그리스도교 박해의 종식과 수도원 운동의 영향 그리고 이민족들의 침입은 복장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평신도들이 대체로 실용성 때문에 이민족들의 짧은 복장들을 입기 시작하면서 성직자들의 복장과 구별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성직자들은 사제 신분의 품위와 단정함을 보호하려고 로마인들이 입었던 흰색의 긴 겉옷을 보존하였다. 6세기부터 성직자들에 의해 도입된 전통과 관습은 점차 교회규범들 안에서 확인되고 조정되었으며 여러 교회회의들을 통해서 사제복에 관한 지침이 법률로 규정되었다. 마콩 교회회의(581)는 처음으로 세속 복장의 사용을 성직자에게 금하면서 이민족들에 의해 도입된 새 유행 복장인 사굼(sagum)을 언급하였다. 동방에서 트룰라눔 공의회(691)는 성직자에게 세속 복장 사용을 금하면서 도시에 있거나 여행 중에도 고유한 복장을 입도록 하였다. 레겐스부르그 교회회의(742)는 사굼 착용에 대한 금지를 새롭게 하였고 카술라(casula)나 투니카(tunica)를 입도록 하였다.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는 온갖 허영과 화려한 장식은 전적으로 사제 신분과 어울리지 않으므로 성직자들은 단정하고 겸손한 옷을 입도록 강조하였다. 나르본 교회회의(589)에서는 성직자들의 품위와 단정함에 어울리지 않는 자색을 금하였다. 따라서 그 당시에 길고, 터져 있지 않고, 화려한 장식 없이, 눈에 띄지 않는 색상의 의복을 성직자들에게 권하였다. 그러나 어떤 보편적인 규범도 사제 복장의 형태와 색상에 관한 정확한 지침을 여전히 제시하지 않았다. 그레고리우스 대교황(590-604)이 보낸 일부 서간들에서 ‘사제 복장’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면서 사제 복장과 세속 복장을 구별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제 품위에 대한 그릇된 해석은 단정한 성직자들의 복장이 성직자의 신분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하기보다 사치와 허영을 위한 기회로 여겼다. 그 결과, 특히 12세기에 이미 앞서 단죄받았던 그런 남용들이 나타났고 이런 남용들에 대한 질책을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5세기까지 초대교회의 사제 복장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구약시대의 사제 복장은 입는 사람에 따라 그 사람의 신분과 직무를 나타내었다. 당시 성전에는 세 부류의 사람들(대사제, 사제, 레위인)이 일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든 로마에서든 사제들은 의식이 끝나면 예복을 벗고 평범한 시민이 되었다. 사도들은 물론 초대교회의 사제들은 구별되는 복장을 입지 않았다. 실제로 초기 5세기 동안에는 사제와 신자를 구별해주는 복장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다. 그러한 다양한 이유를 요약해 보자. 먼저 예수께서는 구약시대에서와 같은 사제 복장을 원하시지도 않으셨고, 복음을 전하는 당신 제자들에게 착용해야 할 복장에 관한 정확한 명령을 내리시지도 않으셨다. 다만 복음을 전해야 하는 사도들이 외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내야 하는 단순함과 검소함만(참조: 마르 6,8-9; 마태 10,9; 루카 9,3)을 강조하셨다. 따라서 사도들은 당시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의 평상복을 그대로 입고 다녔다. 다른 한편, 로마 제국에서 입는 옷차림은 사제 신분의 품위와 단정함에 적합하였기 때문에 박해 시기 이전에 사제들은 로마인이나 그리스인들이 입던 일상복을 그대로 입고 다녔고 심지어 평상복으로 경신례를 거행하였다. 사제 복장과 세속 복장의 구별을 강조하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로마 황제들이 일으킨 교회 박해의 고된 시련 때문이었다. 박해 동안 사제들은 다른 신자들에 비해 대단히 심각한 억압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걸쳐 이민족의 침입과 도시에서 지방으로의 복음 전파는 사제 복장에도 영향을 주었다. 사제 복장과 관련된 초기교회 문서들은 모두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이 입는 일상복을 다루고 있지만 그 복장에 대한 정확한 규범을 언급하고 있지 않다. 다만 단순한 일반 규범만을 제시하며 형태나 색상에서도 단순함과 단정함을 드러내주는 흰색에 대한 언급이 많다. 켈레스티누스 1세(Caelestinus, 422-432) 교황이 428년에 『갈리아 주교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사제 복장 문제에 대한 당시의 사고방식과 성직자들이 입는 옷들을 다루고 있는 최초의 교황 문서라고 볼 수 있다. The sacerdotal clothing in the Old Testament show the status and the function of the person that wore them. In those times there worked in the sanctuary three types of ministers. The dress of the supreme minister was splendid. For his daily dress he wore a byssus (produced by molluscs) tunic and a belt. The inferior ministers could not live in the sanctuary, on the contrary they had to work to live, taking off their ritual clothes outside the temple. The Levites did not wear the distinctive dress as the other ministers, doing the secondary works in the sanctuary. In both Greece and Rome after the ritual liturgy the sacred ministers used to take off their gowns to become again normal citizens. Not only the Apostles but also the sacred ministers in the early Church did not wear particular clothing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seculars. In fact during the first five centuries of the Church this distinction was not necessary for various reasons. First of all, Jesus Christ himself did not give an explicit precept about this subject to the Apostles, because he did not want them to use sacerdotal clothing like the ones used in the Old Testament. He recommended only simplicity and humility, and these two things should certainly appear externally (cf: Mk 6:8-9; Mt 10: 9 and Lk 9: 3), and thus his disciples would be characterized. That is why the Apostles wore common clothing, similar to those worn by the Romans and the Greeks. On the other hand, the kind of clothing used in those times in the Roman Empire resonated with the modesty and the decorum of the clerical status. For this reason the sacred minister’s clothing were like the ones worn by the Roman and Greek citizens in their daily life, especially before the persecutions. Even the Eucharistic celebration was officiated by the clergy with their daily clothing on. Another reason why the clothing distinction between the clergy and common people was not remarkable was the persecutions fomented by the Roman Emperors against the Church, during which the clergy were more severely oppressed than other Christians. From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until the beginning of the fifth century, the barbaric invasions and evangelization extended from the cities to the provinces, also influenced also the clergy’s clothing. The first ecclesiastic documents concerning clerical clothing discuss the vesture that clergy commonly used. They do not talk about the clergy’s clothing being particular in form or colour, and they exhort especially to make the clergy avoid any vanity and immodesty in their clothing and in the care of their own body. Pope Celestine Ⅰ(422-432), in a disciplinary letter sent to the Gallic bishops, written in 428, gives us a testimony of pattern of thinking in those days about the clerical clothing question and this is the first pontifical document in which clerical clothing is explicitly discussed.

      • KCI등재

        키프리아누스의 재화의 올바른 사용

        안봉환(An, P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神學展望 Vol.- No.200

        현실적 불의와 부패에 회의와 실망을 느끼면서 진실을 찾던 중에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게 된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세례를 받자마자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자신의 재산을 공동체의 가난한 이들에게 기꺼이 나누어 주었다. 그는 251년에서 256년 사이에 집필된 작품들, 특히『배교자』,『선행과 자선』,『주님의 기도』에서 가난한 이들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주었다. 자선과 선행에 대한 그의 권고는 3세기에 아프리카에서 크게 유행한 전염병과 데키우스 황제의 박해 그리고 로마 제국의 경제 및 재정 위기와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페스트와 박해는 많은 사람들을 가난과 궁핍으로 몰아갔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그는 가난한 이들과 병든 이들에게 자선과 선행을 끊임없이 베풀었다. 그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구조를 비판하기보다 부자들의 이기주의를 단죄하고 이들에게 가난한 이들과의 형제적인 연대 의식을 고취시켰다. 모든 세상은 세상을 창조하신 하느님의 소유물이다. 아무도 재물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갖고 있지 않다. 모든 사람들은 지상 재물을 소유할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사람들의 품위는 부와 재산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모습대로 만들어진 피조물이라는 사실에 있다. 이는 재산이나 성의 구별 없이 모든 인류에게 공통점이기 때문이다. 재산의 참된 목적은 자선과 선행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재산에 ‘소유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재산과 균형을 이룬 관계를 맺어야 한다. 자선의 가치와 효과는 죄와 죽음으로부터 자유롭게 해 주고, 하느님의 도움을 받으며, 기도와 단식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다. 굶주린 이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목마른 이들에게 마실 것을 주었으며 헐벗은 이들에게 입을 것을 준 것처럼 이 세상에서 선행을 실천한 이들만이 하늘 나라에 받아들여질 것이다. 사회적 약자인 가난한 이들을 위해 자선과 봉사를 끊임없이 베푼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라 가난한 이들에게 자선 활동과 선행을 통하여 재물을 공유하고 부자들이 가난한 이들을 도와주도록 모범의 삶과 본보기를 남겨 준 불멸의 모습을 간직한 인물이었다. Cyprian of Carthage(200/210-258) was converted to Christianity, while searching for truth with skepticism and disappointment at the practical injustice and corruption that existed. As soon as he gets baptized all his wealth was shared among the poor in the community. In the writings that he wrote between 251 and 256 years, especially, De lapsis, De opere et eleemosynis, De dominica oratione, he showed endless interest in the poor. His recommendation for almsgiving and good works was deeply connected to a great epidemic of the black plague in Africa, in the third century and to the Emperor’s persecution of Decius and to the economic and fiscal crises of the Roman Empire. Plague and persecution drove many people to poverty, he continued to offer almsgiving and voluntary services for needy people and sick people in a social-economic disadvantaged situations. Through his interest in the poor, he sought to punish the underprivileged and promote brotherly ties with the poor, rather than criticiz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of the poor. Every world is the property of God who created the world. No one has the right to monopolize wealth. Everyone has equal rights to own property. People’s dignity is not tied to wealth and property, but rather to the fact that it is a creature created as a form of God. This is common in all mankind without distintion of property or sex. The real purpose of the property is almsgiving and good works. In oder to avoid a possession of property a person must have a balanced relationship with property. The value and effect of almsgiving is free felt guilt and death, receive God’s help and increase the value of prayer and fasting. Just like giving food to hungry people, giving a drink to those who are thirsty, giving the naked something to wear, only those who practice good works in this world will be accepted in heaven. Cyprian of Carthage continued to offer almsgiving and voluntary services for the poor and disadvantaged. He was a mortal human being who followed the example of Christ to share wealth through almsgiving and good works, living an exemplary life and a role model in helping the rich to help poor people.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항산화능 및 항산화 비타민치

        김윤하 ( Kim Yun Ha ),안봉환 ( An Bong Hwan ),양성열 ( Yang Seong Yeol ),김철홍 ( Kim Cheol Hong ),조문경 ( Jo Mun Gyeong ),이광수 ( Lee Gwang Su ),김석모 ( Kim Seog Mo ),송태복 ( Song Tae B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목적 : Pfannenstiel incision을 통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 절제술의 수술을 실시하여 vertical midline incision을 통한 수술과 수술 용의성 및 수술에 따른 제반결과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만 2년 2개월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부산백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암 (Ia₂-IIb)으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1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기록을 검토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는 환자의 나이, 체질량 지수, 병기, 조직분류, 림프절 수, 수술시간, 예측 실혈양, 수술병리경계의 양성율, 합병증과 재원일수를 포함하여 각 환자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전향적으로 수집되었다. 통계분석은 t-test, x²-test, Fisher Exact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 미만일 때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 시행에 있어 Vertical midline incision으로 시행한 경우는 62 예, Pfannenstiel incision은 61예였다. 두 군간의 연령분포, 체질량 지수, 임상 병기 분포, 조직분류, 제거된 림프절수, 수술 중 평균 실혈량, 병리조직 절개부 양성율, 술 중 혹은 술 후 합병증, 재원일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 수술 시간이 Pfannenstiel incision에서 169분, Vertical midline incision에서 197분으로 (p-value<0.0001) Pfannenstiel incision 군에서 유의 있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Pfannenstiel incision은 수술에 따른 이환율의 증가 없이 용이하게 시행되었고 Vertical midline incision과 비교 시 유사한 림프절 개수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Pfannenstiel incision은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수술 적치료로 근치자궁절제술 및 골반림프절 절제술 시행에 있어 수술 합병증의 증가나 수술부위 노출의 제약 없이 미용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수술시간의 단축이란 측면에서도 고려 될 수 있는 절개법이라 사료된다.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review patients undergoing radical hysterect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comparing Pfannenstiel and Vertical midline incisions for operative feasibility and perioperative outcome.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February 2003, 123 patients underwent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for cervical cancer at Busan Paik hospital. All procedures were performed by a gynecologic oncologist. Prospectively,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review of each patient`s medical record, including age, body mass index (BMI), stage, histology, nodal counts, operative time, estimated blood loss, surgical pathologic margin positivity,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studied using X²test, t-test, and Fisher Exact test. Results : Radical hysterectomy was performed through a Vertical midline (n=62) and Pfannenstiel (n=61) inci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MI, stage, histology, nodal counts, estimated blood loss, surgical pathologic margin positivity, complication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But, patients with a Pfannenstiel incision had shorter operative time than those with Vertical midline incision (169 min vs 197 min, P<0.0001). Conclusion : Radical hysterectomy and pelvic lymphadenectomy can be safely performed through a Pfannenstiel incision without increased operative morbidity and equal nodal removal as compared with Vertical midline incision. Pfannenstiel incision may offer the benefits of improved cosmesis and shorter operative time without compromising surgical exposure or increasing the risk of surgical complications.

      • KCI등재

        자간전증의 자궁정맥혈장 및 제대정동맥혈장내 항산화능과 항산화 비타민

        김기민 ( Kim Gi Min ),김윤하 ( Kim Yun Ha ),안봉환 ( An Bong Hwan ),양성열 ( Yang Seong Yeol ),김철홍 ( Kim Cheol Hong ),조문경 ( Jo Mun Gyeong ),송태복 ( Song Tae Bo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4

        목적: 자간전증시 자궁정맥혈장, 제대정맥혈장 및 제대동맥혈장의 항산화능과 항산화 비타민의 양태를 파악하여 이들이 자간전증시 산모와 태아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임신 34주 이상의 정상 임부 18명과 자간전증 환자 16명으로부터 제왕절개술시 분만전에 자궁정맥혈을 채취하였고, 태아분만시 제대정맥과 동맥혈, 그리고 태반 분만후 자궁정맥혈을 채취하여 혈장을 얻었다. Thiobarbituric acid (TBA)반응을 이용하 Objectiv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lipid peroxide levels,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nd antioxidant vitamin levels in uterine venous plasma, umbilical venous and arterial plasma and to evaluate their roles in the pathophysiol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