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다라를 이용한 교육활동이 만5세 유아의 집중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안미인(Mee In Ahn),오은순(Eun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6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만다라를 이용한 교육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집중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A시 A유치원 만 5세 방과후과정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0명씩 배정하여 16차시의 실험 연구를 진행 하였다. 유아기는 발달의 결정적시기로 만 5세 유아는 집중력과 창의성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시기다. 이 시기의 유아에게 만다리를 이용한 교육활동은 자신의 활동에 집중하고 몰입하게 하여 자신만의 창조적인 욕구를 경험하게 한다. 따라서 유아가 융·복합시대의 창의적이며 집중력 있는 주체로 성장을 돕기 위한 방편으로 만다라 교육활동의 필요성이 있다. 연구 결과 만다라를 이용한 교육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집중력 및 창의성에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 5세 유아의 집중력과 창의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만다라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연령에서의 확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유아들이 하루 일과 중 4∼5시간 머물게 되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관심을 갖고 적용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education activity using Mandala on 5 year 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16times. In this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each consisted of twenty 5 year old children who take after school program(after school class) in A kindergarten in A city which is located at Chungcheongnam-do Province. Furthermore, this research proposes utilization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as a baseline data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s which include Mandala program to enhanc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Due to the adverse effects created by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children are being overly exposed to smart phones and internet medias. As a result, rather than receiving more benefits of social development, children experience more of the adverse effects. Children are having a hard time getting immersed in something or concentrating on their inner sides. Early childhood period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critical period. This is the period when many skills that constitute the basis of life are acquired. Using Mandala program will be effective on children in terms of education, by helping children get immersed and experience creativity while concentrating on their inner sid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Mandala education program on enhancing the concentration of 5 year old children? 2.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Mandala education program on enhancing the creativity of 5 year old children? This research provides meaningful results which shows that using Mandala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on 5 year old children. Through using Mandala edu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results in concentrat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the group which conducted the Mandala education program) than the control group.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hows the effects of education activity using Mandala program enhancing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on 5 year 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eline data for Mandala program which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on 5 year old children.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other age groups and if this research is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here children spend about 4~5hours daily, positive effects can be anticipated.

      • KCI등재
      • KCI등재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음악활동에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경험 탐색

        이성희(Lee, Sung Hee),안미인(Ahn, Mee In),송영인(Song, Young 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1 육아지원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기기 앱을 활용해 증강현실 음악활동 경험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음악적 반응을 탐색하고 교육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음악교육의 새로운 매체로서 증강현실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3명과 교사 1인이 참여하였고, 매주 2회, 4개월 동안 연구자 1인은 현장을 방문하여 유아의 음악활동을 참여관찰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음악활동을 촬영한 비디오, 유아와 교사의 면담자료, 관찰일지, 연구일지이다. 수집한 녹음 자료를 전사하고 자료수집 내용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캐릭터와 아이콘으로 음악 매체를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는 눈, 귀, 몸으로 동시에 느끼는 증강현실의 음악을 만나고 있었다. 셋째, 유아는 증강현실의 음악을 현실로 옮기는 음악가로 다가가고 있었다. 넷째, 유아는 증강된 악기 탐색과 배우기에 도전함으로써 악기에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가 음악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증강현실은 음악적 관심과 흥미를 자극하는 매개체로서의 가능성을 가질뿐 아니라, 유아의 음악적 학습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교수 매체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using augmented reality (AR) as a new medium for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ts educational values, by exploring five-year-old children’s musical responses during AR music activities with smart device apps. A total of 23 five-year-old children and a teacher 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childcare center. The researcher observed the participating children’s music activities twice a week, for 4 months at the center. Data collection included recorded videos of children’s music activities, interview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observation notes and research journal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rawn by analyzing recorded materials and inductively categorizing the contents of collected materials: First, children experienced musical media as characters and icons. Second, they experienced AR music while feeling though hands, eyes, ears and body. Third, they gradually became musicians who converted AR music into real music. Fourth, they comfortably approached musical instruments, while trying to learn AR musical instruments, which led to exploration and challenge. Such results suggest that AR not only has a potential as a medium for stimulating children’s musical interests and attention in children’s music experiences, but also is a learning and teaching medium for extending children’s musical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유아공감능력(KCEA scale) 연구

        오은순(OH EunSoon),신화정(Shin HwaJeong),안미인(Ahn Mee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유아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의 공감능력 실태를 조사하여 만3~5세 유아의 공감능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전국 15개소 사립 유아교육기관 만3~5세 유아 46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30일~11월 30일에 걸쳐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이메일과 우편으로 발송하고 회수하였다. 460부를 배부하여 459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459부의 설문지 중 누락되거나 결측치가 있는 설문지 9부를 제외하고 최종 450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t 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공감능력은 각 하위변인들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 첫째, 연령에 따라 공감능력전체 평균이 만4세, 만5세, 만3세 순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성별에 따른 유아공감능력은 여아가 남아보다 공감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형제 유무에 따른 유아공감능력 전체에서는 형제아가 외동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감능력 하위변인 중 정서적공감과 사회적공감에서는 외동아와 형제아의 평균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국 사립유아교육기관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를 통해 유아공감능력의 활발한 발달시기와 지속적인 공감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athic ability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ol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60 infants aged 3 to 5 at 15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over the period of October 30 to November 30, 2019. The questionnaire was sent and retrieved by e-mail and mail. 46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59 copies were collected. The final 450 copies were used in the study, except for 9 questionnaires with missing or missing values from 459 copies recover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a correlation, t test, and one-way ANOVA with basic statistics. According to the study, child empathy ability h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ch lower-level variable.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of empathy was in the order of 4 years, 5 years old, and 3 years old. Second, infant empathy ability according to gender tells that girls are more empathetic than boys. Third, in the whole early child empathy abilit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blings, children with siblings were higher than only children. Among the lower variables of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between only children and children with sibling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in privat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we confirmed the period of active development of infant empathy skills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mpathy education for children.

      • KCI등재

        유아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명화활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오은순 ( Oh Eunsoon ),홍수연 ( Hong Suyeon ),안미인 ( Ahn Mee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명화활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살펴 공감능력 증진 및 명화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명화활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ADDIE 모형을 수정·적용하였으며, 문헌 및 현직 교사의 설문과 면담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구성의 적용점을 도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되었다. 선정된 15편의 명화를 기준으로 감상 및 연계·확장 활동으로 이루어진 명화활용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효과 검증을 위해 C시에 위치한 J유치원 만 5세 유아 45명(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23명) 대상으로 30차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공감능력 증진 효과 분석을 위해 실시된 사전·사후 t-검증에서 명화활용프로그램은 유아의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적 공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공감은 시·공간을 초월해 사회 구성원들 간의 질적 관계 유지 및 사회발전의 근간이 될 것이며, 유아기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mous painting application program to enhance children's empathy abilit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mpathy enhancement and famous painting application program by examining the application effect. For the program development, the ADDIE model was modified and applied. The application point of the program composition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an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of incumbent teachers. The structure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goals and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In order to verify the field application effect of the famous painting applic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30 sessions of appreciation, connection, and expansion activities based on the selected 15 masterpieces, 45 (22 in experimental group, and 23 in comparison group) 5-year-old children from J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pre- and post-t-test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nhancing children's empathy ability, the famous painting appli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nd social empathy. Empathy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it is expected to be basis for maintaining qualitative relationships among members of society and for soci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