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에 대한 혁신학교의 영향 : 부산시 다행복학교 사례

        심재휘(Shim, Jaehwee),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가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성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한편 다행복학교가 확대 지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초창기 다행복학교와 나중에 지정된 다행복학교 사이의 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패널분석과 이중차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초기 시점에서는 다행복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평균적 학업성취 수준이 다소 낮았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그 차이가 좁혀져 비슷한 수준에 이르는 것을 보여준다. 학생들의 학교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졌는데, 다행복학교에서는 하락 추세가 일반학교보다는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공동체의식 등 정의적 성취에서는 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최근에 다행복학교로 전환된 학교들은 과거 일반학교였을 때에는 다른 학교들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높은 편이었지만 다행복학교로 전환된 이후에는 다른 학교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학업성취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행복학교의 성과를 평가하고 혁신학교 정책의 개선방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Drawing on first to fourth wave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we explored the effects of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innovative schools and those designated later, using panel analysis and difference in differences(DID). Results exhibited that initially, the averag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innovative school studen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 students, but the difference narrowed and reached a similar level as the grade level went up.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declined as the grade level went up, but the trend of decline in innovative schools was milder than that of general schools. In affective achievements such as creativ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 sense of commun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innovative schools and general schools. On the other hand, those schools that were recently converted to innovative school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other schools when they were formerly general schools, but after the transition to innovative schools, they attained a level of achievement tha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we assessed the performance of the Busan-type innovative schools and discussed policy alternatives for improving innovative schools.

      • KCI우수등재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피로도에 끼친 영향

        심재휘(Shim, Jaehwee),전하람(Jeon, Haram),김경근(Kim, Kyung-keun)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4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중차분법을 통해 2014년 9월 경기도에서 시행된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일과 후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정책 시행 이후 청소년의 수면시간은 일시적으로 늘어났으나 시간의 경과와 함께 청소년이 늦어진 등교 시간에 적응하면서 다시 정책 시행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귀하였음을 보여준다. 청소년의 학습시간은 수면시간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끼쳤으며, 9시 등교 정책이 수면시간에 발휘하는 효과는 학습시간의 조절을 매개로 발생할 개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책 시행 이후청소년이 체감하는 일과 후 피로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는데, 수면시간과는 달리 피로도 감소 효과는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9시 등교 정책이 청소년의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을 연쇄적으로 뒤로 미루는 조정 과정을 가져옴으로써 청소년이 낮 시간대를 덜 피곤하게 보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9시 등교 정책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effect of ‘school start at 9’ in Gyeonggi province since September 2014 on sleep hours and tiredness among adolescents, employing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DID) analysis. 2014 Time-use Survey in Korea administered by Statistics Korea was used to conduct the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e immediate increase in sleep hours right after introducing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However, the policy effect became non-significant in three months since the policy introduction because adolescents adjusted their life-cycle to school start time at 9. Study hours had a negative effect on sleep hours, and thus, we speculated that the effect of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on sleep hours was likely to be mediated by the adjustment of study hours. Tiredness adolescents fel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delayed school start time, and the policy effect on tiredness was still effective after three months since policy introduction. The results may be because delayed school start time had led their bedtime and wake-up time more appropriate to typical biorhythm among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에서의 자녀 학업성취, 학부모 학교참여, 학교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혼합연구

        최윤진(Choi, Yunjin),심재휘(Shim, Jaehwee)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나타나는 학부모 학교참여 실태 및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학부모의 학교참여와 학교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1-3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한 양적연구와 혁신학교 학부모 7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질적연구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 학부모들은 일반학교 학부모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교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학교유형에서 어머니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학교참여가 활발했고, 맞벌이 여부는 학교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부모일수록 학교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일반학교에서는 자녀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학부모의 학교참여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학교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녀 학업성취→학부모 학교참여→학부모 학교만족도’의 매개경로는 일반학교에서만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일반학교 학부모들에게서는 자녀에 대한 교육적 관여로서의 학부모 학교참여 양상 이 주로 나타날 개연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혁신학교 학부모들의 학교참여 동기 및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결과, 이들의 학교참여는 자녀의 인지적 성취 향상을 위한 교육적 관여에 한정되지 않고 교육주체로서 주도적으로 학교에 개입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포착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교육주체로서의 학부모 학교참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e of parent involvement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invol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quantitative data from 1st to 3rd wave of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and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7 parents in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the analysis employed sequential mixed methods design. Parents in innovation schools were more frequently involved in school compared with parents in the general schools. In both innovation and general schools, mother s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significantly improved the frequency of parent involvement but double income family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parent involvement. Parents who actively involved in school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Only in general schools, child 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umber of children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frequency of parent involvement.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s academic achievement and parent’s schoo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general schools. Parent involvement in innovation schools, on the other hands, was not limited to the support for child’s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participation in the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as educational sub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Korean education related to the parent involv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유형 분류

        백병부(Byoung-Bu Baek),심재휘(Jaehwee Shim)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교원의 학교민주주의 실천 태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확인하고, 이것이 교원의 개인 및 학교 특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2021년에 수집한 교원 1,18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민주주의 실천 양상에 따른 교원 집단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 ‘전반적 고실천 집단’,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 등의 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원들은 교직경력이 길수록 ‘전반적 고실천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컸으며, 혁신학교에서는 저경력 교원들이 ‘미시적 민주주의 실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경향성이 두드러졌다. 한편,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이 민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원들은 ‘전반적 저실천 집단’과 ‘전반적 고실천 집단’으로 양극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민주주의가 제도와 절차 수준을 넘어 관계와 실천의 수준으로 진전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eacher’s practice in school democracy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y latent profile. For this study, using the survey data (1,180 teachers) collected in 2021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dels were run. The results of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low-practice group’, ‘overall high-practice group’ and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which pursues democratic values in everyday life but is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 result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eaching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chool democracy practice. In Hyukshin schools, teachers who had a short career were more likely belong to the ‘micro democracy practice group’ than in general schools. Moreover, teachers who perceived that school’s decision-making process was democratic were polarized into overall low- and high-practic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conditions for school democracy to encompass the democracy of everyday life beyond the procedural democracy.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능력주의 신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백병부(Baek, Byoung-Bu),심재휘(Shim, Jaehwe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2020년 경기도교육연구원에서 수집한 조사연구 자료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계층의식, 능력주의 현실 인식,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 분배 원칙 선호 유형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우리 사회에서 능력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있다는 믿음을 강하게 갖고 있었다. 반면 이들 청소년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과 혐오는 상대적으로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배원칙에 대한 선호 유형에서도 주관적 계층의식 수준에 따라 ‘능력 > (기계적) 평등 > 필요’의 순으로 선호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청소년들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보는 학생들은 분배 과정에서 능력주의를 관철하는 것보다는 필요의 원칙을 배제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수행한 다집단분석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정의교육이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른 사회적 약자 편견/혐오 실태 인식을 완화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가 구현되는 사회라고 믿는 정도가 평등의 원칙에 입각한 분배를 선호하는 것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 정당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능력주의 신념에서 드러나는 계층편향성을 극복하고 학교를 ‘위대한 평등장치’로 복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s subjective social status, perception of meritocracy,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in 2020.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the stronger the belief of meritocracy being realized in our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se students don’t take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relatively seriously. In the preferences of distribution principles, a hierarchic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order of ‘ability > (mechanical) equality > ne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confirming the class biases of meritocracy beliefs.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a strong perception of meritocracy prefer the principle of equity as the principle of distribution. This result can be origin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of this study. At the same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who view our society as a meritocracy society are more interested in exclud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than implementing meritocracy in the distribution process. Finally, in the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alleviates the class biases i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ile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meritocracy and the preference for equity principle of distribu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measures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class biases revealed in the meritocracy belief and to restore the school as a great equalizer .

      • KCI등재

        생존분석을 적용한 고등학생의 최초 아르바이트 경험 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이기혜(Yi, Kihye),심재휘(Shim, Jaehwee),우선영(Woo, Su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청년패널조사(YP2007) 1-4차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참여 여부 및 시기에 대한 실태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은 고등학교 재학 시기에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지 않고 있으며, 아르바이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대체로 고 1~고2 시점의 여름방학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가구소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결과, 가구소득이 하위 25%에 해당하는 고등학생들이 보다 빠르게 아르바이트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고등학생 아르바이트 참여는 지역규모가 클수록 그 시기가 늦어졌으며, 중학교 3학년 때의 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고등학교 입학 이후 아르바이트를 보다 빨리 경험하였다. 한편 중학교 3학년 성적이 아르바이트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전문계고 학생들보다는 일반계고 학생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생활 만족도는 아르바이트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교우관계가 좋을수록 아르바이트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교육기회나 결과에 있어 열악한 환경에 속한 학생들일수록 아르바이트 참여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학업에 열중하는 한국사회에서 아르바이트 참여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환경을 개선하고, 청소년 아르바이트가 이들의 향후 진로계획에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1)high school students’ decisions and their participation in work experience, and 2)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s and the time, using the 1st-4th data of Youth Panel(YP2007) survey.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show that 1)most high school students do not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during their period of attendance at school, and 2)for those who decide to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the most likely time to work is the summer vacation of their freshman and junior year. Furthermore, the students from the bottom quarter of household incomes were shown to start their work earlier than the others. Coming from large regions residence tends to delay the time of the first work experience, while lower academic achievements at middle school hastened it. However, middle school achievements had greater effects o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decision to take up part-time work, peer relationship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working. This implies that students from poorer background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art-time work, and this can be critical in reducing time which could otherwise be devoted to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working conditions need to be developed and that the working experience needs to be more be helpful for students’ career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