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語』와 『국가』에 나타난 반(反)교육적 인간상 비교

        심승환,장지원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論語』와 『국가』에 나타난 문제적 인간상들을 고찰함으로써 우리가 배우고 가르칠 때 경계로 삼아야 할 반(反)교육적 인간상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論語』에는 우리가 현실적으로 본받아야 할 ‘君子’와 대비되는 ‘小人’의 특징들이 제시되어 있고 『국가』에는 자질을 살리되 이성으로 조화를 이루는 '정의로운 인간'과 대비되는 '정의롭지 못한 인간'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 두 인간형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비교, 대조, 종합함으로써 배우고 가르칠 때 경계로 삼아야 할 반교육적 인간상의 모습을 보다 구체적이고 복합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아울러 이 고찰을 통해 현실 교육에 이러한 반교육적 인간상이 시사하는 바를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nti-educational model in the Analects and the Republic. Historically, many scholars have studied ideal persons such as Jesus, Confucius, Buddha and Socrates. They are called, "Model teachers" as well as "Saints or Sages," so they exemplify the ideal standard that learners and teachers should model after. However, learners and teachers need more concrete and practical standards than the ideal model. The Analects contrasts Jun Zi as the good example with Xiao Ren as the bad example. The Republic contrasts righteous persons in the righteous nations with unrighteous persons in the unrighteous nations. We can know more easily what we should follow in our learning and teaching when we know the bad example that show what we should avoid. And we can discover a more complete picture of the bad example when we approach it through different points of view.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i-educational model through the comparison and synthesis of Xiao Ren and the unrighteous person. The common points between the two bad examples are 1) they both pursue exterior means such as wealth and fame without the pursuit for the intrinsic goal of self-cultivation, 2) both cannot distinguish the righteous behavior from the wrong because they are mastered by desires, 3) both are created through bad relationships with bad persons, 4) both give bad impacts to learners, 5) both have inner conflicts because of unsatisfiable desi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 1) the fundamental problem of Xiao Ren is the absence of will to learn while that of the unrighteous person is defunction or mal-function of reason(wisdom) to control desires, 2) an important problem of Xiao Ren is to pursue partial knowledge and skills while that of unrighteous person is to pursue everything without consideration into his unique physis.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인간 이해와 사회 정의 이론을 통한 교육방향 고찰

        심승환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2

        Based on Reinhold Niebuhr'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his view of social justice, this study examines desirable human ideals and educational directions. Niebuhr believes that humans, on the one hand, have transcendence, on the other hand, selfishness and arrogance. Man seeks intellectual pride, moral pride, and the arrogance of power, but he can rise above his limits by reflecting on himself through reason and contemplating meaning in a wide range of contexts. The dual nature of human transcendentality and limitations requires a dialectic of love and justice in the direction of a desirable society. Love is the ultimate value that human beings should pursue and the ideal criterion for justice, and justice is the way in which the love is realized practically in conflict of interests, injustice and inequality. According to Niebuhr's human view and social view, the human orientat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to build a just society are critical ration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based on insight into self and man. Through critical rationality, members of society recognize inequality and injustice and seek balance of power, and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respect various positions and demands and seek fair agreement. Niebuhr describes Gandhi's non-violent resistance as ‘the power of truth' or ‘the power of the soul’ and presents it as an example of education that reconfigures true reason and good will. It is not compulsion or propaganda, but patience and consideration for the other person, and leads them to reflect themselves and analyze the problem objectively. Based on Niebuhr's point of view,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be repentant based on intellectual humility, and reflect on the need for meaning in a broader context beyond the instant need, and broaden the ability of compassion and horizon of thinking through various interaction. 본고는 라인홀드 니버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회 정의에 대한 관점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인간상과 교육방향을 고찰한다. 니버는 인간이 한편으로는 초월성을 지니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기심과교만의 한계를 지닌다고 본다. 인간은 지적 교만, 도덕적 교만, 권력의 교만을 추구하나 이성을 통해 자신을 반성하고 폭넓은 맥락에서 의미를 사유함으로써 자신의 한계를 초월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인간의 초월성과 한계성의 이중적 성격은 바람직한 사회를 위한 방향에 있어서도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적 조화를 필요로 한다. 사랑은 인간이 추구하여야 할 궁극적 가치로서 정의의 이상적 기준이 되고, 정의는 충돌하는 이해관계의 갈등과 대립, 불의와 불평등 속에서 현실적으로 사랑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적 원리가 된다. 니버의 인간관과 사회관에 의거할 때, 정의로운 사회를 구현 하기 위한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은, 자아와 인간에 대한 통찰에 근거한 비판적 합리성과 민주시민 성의 함양이라 볼 수 있다. 비판적 합리성을 통해 사회구성원은 불평등과 불의를 인식하고 힘의 균형을 모색하게 되며, 민주시민성을 통해서는 다양한 입장과 요구를 존중하며 공정한 합의를 추구함으로써 자유와 질서의 조화를 가능하게 한다. 니버는 간디의 비폭력저항을 ‘진리의 힘’ 또는 ‘영혼의 힘’으로 묘사하며 참된 이성과 선의지를 일깨우는 교육의 예로 제시한다. 이것은 강제나 선전이 아니라 상대를 인내하고 배려하며 자기를 돌아보며 객관적으로 문제를 분석하게 한다. 니버의 관점에 근거하여 볼 때, 교사와 학생은 지적 겸손을 토대로 무엇보다 반성하는 자세를 지향하여야 하며, 즉각적 요구를 넘어 폭넓은 맥락에서 의미를 숙고하며 다양한 교류를 통해 공감능력과 사고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교육철학과 교육의 실제적 방향 모색

        심승환 한국교육사상학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3

        Based on the suggested educational directions for realizing ecological sustainability, this study examined how ecological sustainability relates to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fromfrom this perspective,e. The concept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is problem, is to pursue open interaction while meeting humans’ needs to continue to coexist and prosper stably and harmoniously along with the wid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Educational philosophy in terms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that the self is a part of the larger “we” and is constantly reconstructed throughout life in that network. The larger “we” includes humans, things, nature, technology, and culture. Based on this educational philosophy, the specific direction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should first overcome stereotypes, prejudice, and selfishness; recognize differences in gender, race, class, and species; modify one's perspective; and foster an adaptive view of the outside world. Second, ecological sustainability education should move away from the existing method of emphasizing answers and solutions and aim to develop a way of thinking that feels and changes with the world while thinking about the problem itself in the context of real life. Third, students should consider and practice ways to create a better environment in the various cases that they experience daily. To this end, critical thinking should be developed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causes of various problems in the world, such as environmental and social justice problems, and to thoroughly review the possibilities and expected effects of various alternatives to solve them. 이 연구는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교육철학의 연관성 및 교육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폭넓은 자연환경 및 사회 환경과 더불어 계속하여 안정적이며 조화롭게 공존, 번영하는데 요구되는 필요들을 충족시키며 열린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것이다.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차원에서의 교육철학은, 자아가 더 큰 우리의 조각이며 그 연결망 속에서 인생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재구성된다는 의식이 기본이 된다. 더 큰 ‘우리’는 인간, 사물, 자연, 기술, 문화 등을 포함한다. 이 교육철학은 불확실성과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며 각 주체의 창의성과 감성을 수용하는 가운데 상호 간의 조화와 협력을 추구하는 인간성을 지향한다. 이러한 교육철학에 근거하여,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방향은, 첫째 고정관념, 편견, 이기심을 극복하고, 성, 인종, 계층, 종 등의 차이를 인식하며 타자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자신의 관점을 수정하며, 외부 세계에 대해 적응적 견해를 키워가는 자세를 함양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생태적 지속가능성의 교육은 정답과 해결을 중시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실제 삶의 맥락에서 문제 자체를 고민하면서 세계와 더불어 느끼며 변화해나가는 사고방식을 키워주는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은 매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례에서 더 나은 환경을 창조하는 방법을 숙고하고 실천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경 문제, 사회정의의 문제 등 자신이 살아가는 세계의 다양한 문제의 실태와 원인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안의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심도 있게 검토하는 비판적 사고를 키워주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종합적 시각을 통한 가르침의 목적 고찰

        심승환 안암교육학회 2010 한국교육학연구 Vol.16 No.2

        이 논문은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관점을 종합하여 가르침의 목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유주의의 기본관점을 롤즈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자유주의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로운 선택을 중시한다. 이것은 국가와 사회의 공동이익을 위해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무시될 수 없다는 관점에 의거한다. 또한 자유주의는 어떠한 관점도 지배적 으로 군림할 수 없으며 모든 편견과 선입관을 배제한 중립적인 자아관에 기초한다. 자유주 의 관점에 기초한 가르침의 목적은 무엇보다 학생이 스스로 학습내용에 대해 자율적으로 사 고하고 그 근거를 찾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있다. 아울러 이 관점은 학생이 내부적인 반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고를 수정해가며 다양한 가치를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 는 자율적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다음으로 공동체주의는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 선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 관점은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인간, 인간관계, 연고적인 자아관을 강조한다. 사회적 관행에 참여하며 개인의 뿌리가 되는 공동체의 문화, 전통을 탐구하며 서 사적인 자아를 찾고자 한다. 종합적 시각의 가르침의 목적은 상호 교류라는 공통점에 근간 하여 양 관점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종합적 시각은 학습자가 타인 및 외부 대상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공동체의 가치와 전통을 소중히 여기며 자신의 뿌리를 탐색하는 한편, 어느 한 관점에 지배당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다양한 관점을 비교․평가․선 택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도록 이끄는 데 가르침의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ims of teaching through the synthesi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For this purpose, it examines basic perspectives of liberalism mainly through Rawl's theory. Liberalism focuses on individual rights and free choices. This shows individual rights and freedom cannot be discounted by common profits of a nation and a society. Also, any perspective cannot govern others and every bias is excluded in the neutral self concept. Aims of teaching in perspective of liberalism, first of all, are to lead learners to think autonomously what they learn and to discover logical evidences and evaluate them. Also, this perspective aims at the ability of autonomy to correct thinking continuously through inner reflection and to select values comparing various values. Communitarianism focuses on values of community and common good rather than individuals. This perspective emphasizes human beings in society, relationships and encumbered self. Communitarians pursuit participating in practices, studying cultures and traditions of community and discovering narrative self. Aims of teaching in synthetical perspective are based on interaction and complement mutual weakness. Interaction with others and objects lead learners to know values and traditions of community and discover roots of themselves while it also focuses on improving the autonomous ability to compare, evaluate and select value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particular value.

      • KCI등재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으로 제조된 silicon boride 세라믹스의 열전 특성

        심승환,이대웅,채재홍,심광보,Shim, Seung-Hwan,Lee, Dae-Woong,Chae, Jae-Hong,Matsushita, Jun-Ichi,Shim, Kwang-Bo 한국결정성장학회 2005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고온 융점과 높은 Seebeck 계수로 인해 고온 열전 재료로서 매우 우수한 silicon boride ($SiB_6$)의 고밀도 소결체를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spark plasma sintering, SPS)을 도입하여 제조하였으며, 소결된 시편의 미세구조 및 열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1500^{\circ}C$의 비교적 저온에서 이론 밀도의 약 99%의 소결밀도로 SPS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SiB_6$를 치밀화 할 수 있었으며 이들 시편들의 열전특성 평가로부터, hot-press법으로 제조된 시편과 비교하여 매우 향상된 Seebeck 계수를 얻을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인자 값을 나타냈다. Silicon boride ($SiB_6$) is very promising for use as thermoelectric materials at high temperature because of its high melting point and relatively large Seebeck coefficient. In the present work, spark plasma sintering (SPS) was applied for preparing dense $SiB_6$ ceramics, and their thermoelectr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eir microstructural evaluation. The SPS proces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nsifying a $SiB_6$ ceramic, typically 99 % of the theoretical density at low temperature of $1500^{\circ}C$. In comparison with $SiB_6$ specimen prepared by hot-pressing, the SPS-processed specimen exhibited the significantly improved Seebeck coefficient, resulting in the higher power factor.

      • KCI등재

        시민 교육의 방향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 것맨과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심승환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시민 교육의 방향을 교육철학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것맨(Amy Gutmann)의 민주주의 교육론과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의사소통행위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민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것맨은 가족국가, 종족국가, 개인주의 국가의 편중성을 지적하고 시민 교육의 목표로 의식적 사회재생산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국가, 부모, 교육전문가가 교육적 권위를 공유하고 공동체의 가치 전수와 개인의 자율적 판단 능력 함양을 동시에 추구하는 민주주의적 합의과정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비판적 심의능력이 요구된다. 하버마스는 경제체계와 정치체계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확대됨에 따라 생활세계가 식민지화되는 것을 문제시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대화자들이 생활세계 안에서 객관적, 사회적, 주관적 세계를 상호관찰하며 이해가능성, 진리성, 정당성, 진실성을 상호 검증하는 의사소통행위를 회복하여야 한다. 두 이론은 다양한 가치와 입장이 충돌하는 교육현실에서 민주주의적으로 심의하고 진정한 상호 이해와 동의에 기초한 합의를 유도할수 있는 기초를 제시한다. 또한 두 이론은 공동체의 가치와 개인의 합리적 선택을 동시에 강조하기에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일면적 한계를 극복하는 목표를 제시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aim of civic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hilosophy. For this goal, I examined the democratic education theory of Amy Gutmann and the communicative action of Jürgen Habermas, and I discussed the aim of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m. Gutmann showed the partiality of the family state, the state of families and the state of individuals, and she argued conscious social reproduction. Conscious social reproduction is the democratic decision making process in which the state, parents, experts shar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tudents pursue values and the common good of communities and rational autonomous thinking and decision. Habermas criticized that impacts of economic system and political system became so great that lifeworlds of people were colonized.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communicators in lifeworlds should examine mutually objective world, social world and subjective world, and understandability, truth, honesty, legitimacy, so they should recover communicative action. Two theories show the basis of consensus that is derived from sincere mutual understanding and agreement in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which diverse values and positions collide one another. Also, they highlight synthetic goal that overcome limitation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n that they consider both values of communities and rational choices of individuals. Communicative action and critical deliberation should be the teaching-learning model. Civic education should foster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of communities and decide rationally. Two theories show how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interact each other. Above all, teachers should show sincere heart to learners and they should examine the whole lifeworlds. In so doing, they build trust and on the basis of the trust, they should examine the legitimacy of world and of each other.

      • KCI등재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통해 본 교사의 인격적 권위 고찰

        심승환 안암교육학회 2010 한국교육학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통해 교사의 인격적 권위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성질은 권력이나 친분 관계가 아닌 권위에 속한다. 교사의 권위는 직위상의 권위와 지식의 권위 등이 있는데 이들보다 더욱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이 인격적 권위이다. 예수는 인류의 존경하는 스승으로 평가를 받고 성경에 당시의 교사들과 달리 권위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통하여 나타난 인격적 권위는 첫째, 권력, 친분 관계뿐만 아니라 직위상의 권위나 지식의 권위 등과 구별된다. 둘째, 인격적 권위는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가 삶을 공유하고 공감함으로써 신뢰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발휘된다. 셋째, 인격적 권위는 가르침이 가르치는 자의 모든 삶과 일치되며 배우는 자를 아무런 조건 없이 온 몸과 마음을 다해 사랑하고 섬길 때 발휘된다. 넷째, 인격적 권위는 가르치는 자가 배우는 자의 의도, 성향, 배경 지식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의 삶을 통해 예증되는 살아있는 지식과 논리를 통해 배우는 자를 개별적으로 인도할 때 발휘된다. 교사의 인격적 권위는 교육현실에서 교권실추와 학생의 도덕성 약화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향을 제시한다. 교사의 인격적 권위는 학생의 의지와 태도의 변화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oncept of personal authority of teacher through the life and teaching of Jesus Christ. The character of influence that teachers give to students belongs not to power or familiar relations but to authority. There are authority of position and of knowledge in authority of teacher, but personal authority of teacher has more fundamental and continuous impacts. Many people respect Jesus as a great teacher and it was recorded in the Bible he had a special authority different from other teachers. Personal authority of Jesus Christ is, first, different from authority of position or of knowledge as well as power and familiar relations. Personal authority does not depend on physical press or reward, and it has clear intention to change learners. It does not depend on formal position or specific facts or informations, but it influences learners through human relationships and the total situation of life. Personal authority is, second, built on the relation of trust through sharing and sympathizing of life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hird, it is built on the consistency between teaching and the life of teacher, and it needs sincere love and service with all their hearts and bodies. When learners see these sincere behaviors, they develop sincere respects towards teachers. Forth, it is realized when teachers know intentions, personalities, and background knowledges of learners and lead them individually through real knowledge and logic manifested in the life of teacher. Personal authority of teacher presents a fundamental answer to problems of modern educational practices such as weakening of teachers' authority and of learners' morality. It influences fundamental changes of learners' wills and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