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전통주기 개발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최병건 ( Byong Keon Choi ),황승욱 ( Seung Wook Hwang ),이석진 ( Seok Jin Lee ),안정현 ( Jung Hyun Ahn ),신종환 ( Jong Hwan S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문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영역에서 내재하고 있는 스토리를 바탕으로 콘텐츠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디자인 분야는 지식이나 정보에 경험적 요소를 가미하여 궁극적으로는 미적체험과 경험을 제품개발에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공예분야는 다양하고 방대한 내용의 사실기반 스토리를 공예가 개인의 능력과 경험, 감성적인 결정에 의존하여 심도 있는 접근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짧은 개발 기간으로 인해 기획내용, 디자인과 완성된 공예 제품사이의 개연성이 떨어지고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기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주기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의 분석을 통한 프로세스 패턴화 및 공예제품 형태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재구성하고, 공예가의 디자인 모티브를 직관적으로 프레임워크에 대입하여 표준에 입각한 주기개발 모델을 제시코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주기 스토리텔링을 정보 및 감성기반으로 분석하고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였다. 둘째, 텍스트 기반 프레임워크를 시각정보 기반 프레임워크로 전환하기 위한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항목 요소를 분석하고 시각화 방법을 수립하였다. 셋째, 전통주 키워드를 도출하고 모티브를 직관적으로 정보 및 감성기반 프레임워크에 대입함으로써 표준에 입각한 감성적 주기를 개발코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기 스토리텔링의 합리적 분석을 통한 정보 및 감성기반 프레임워크는 전통주기 디자인 개발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토리텔링 항목 및 시각화 요소의 대입을 통해 주기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가 확립되고 모티브를 직관적으로 대입한 결과 표준에 입각한 주기 개발이 가능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cultural society, contents are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stories inherent in various fields. Particularly, design field is ultimately applying esthetic experiences to product development, reflecting experiential factors on knowledge or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craftwork, however, a massive amount of fact-based stories has been decided for use by the skill, experience and emotion of an individual craftsman. Therefore, no in-depth approach has been made to the use of the stories. In addition, crafts developed on storytelling have loose connectivity between a product itself with a story that the product is based on due to relatively low cost and short development time. So this kind of story-based craftwork often fails in drawing out a good response from market. Therefore, this research patternizes the process of story-based craftwork development and reorganizes the framework of the shape of craftwork by storytelling analysis. To do so, the present study chooses traditional drink bottles and glasses as research objects and then applies craftsman’s design motif to the framework intui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ormation- and emotion-based framework through logical analysis of the storytelling of drink bottles and glasses can propose a basic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s of drink bottles and glasses. In addition, it was known that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items and visual factors can establish the process of design development of drink bottles and glasses and the intuitive introduction of motif enables to develop drink bottles and glasses based on standard.

      • KCI등재

        감성특성을 반영한 술잔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연구

        최원호(Won-Ho Choi),김광신(Kwang-Shin Kim),최병건(Byong-Keon Choi),황승욱(Seung-Wook Hwang),김우리(Woo-Ri Kim),이석진(Seok-Jin Lee),안정현(Jung-Hyun Ahn),신종환(Jong-Hwan S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3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막걸리 붐 이후 주춤한 발전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통주의 특성을 반영한 술잔을 활용한 명품화 및 세계화 전략을 통한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전통주 술잔 디자인 개발은 심미성 및 유통 편의성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디자인 개발의 세분화?고급화?연구화 등의 일시적 발전양상을 보여오긴 하였으나, 전통주의 특성을 기획 단계부터 반영하여 상품화한 사례나 프로세스는 없었다. 따라서 전통주의 특성을 반영한 술잔 디자인 설계 프로세스 기술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주의 특성을 감성요소인 오감과 스토리텔링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들 중 술잔 디자인에 필요한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통주 술잔의 형태?소재 같은 시각화하는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소 중, 특히 대상 전통주가 갖고 있는 역사나 설화와 같은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술잔의 라벨, 문양, 장식적 요소 등 디자인을 결정하여 해당 전통주의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소규모 가양주의 수출이 주춤하고 있는 상황에서 감성요소와 스토리텔링이 있는 전통주의 특성을 살려 경쟁력 있는 술잔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수출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n traditional alcohols growth gets declined after Makgeollis boom and its time to enter the takeoff stage using cu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lcohols in order to their global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For now, there are 3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s cup design development ; subdivision, quality improvement, systematization. However, theres no product design case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cohol from the planning phase. Therefore, it needs to establish process technology for storytelling and emotion based cup design. This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specification for cup design and to find out the visualization element of cups shape and material by studying 5 senses and traditional alcohols objective informations. Through the study, the elements that can maximize the specific traditional alcohols marketability: cups label, pattern, decorative element based on the storytelling like history and tale were found. As a result, those result can give a newexport strategy by developing competitive design that has emotional element and storytelling from the traditional alcohols characteristics in a situation of stagnant export of the small sized home-brewed liquor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