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여성 대장암 발생과 비만의 관련성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신애선,윤하정,유근영,Shin, Ae-Sun,Yoon, Ha-Chung,Yoo, Keun-Young 대한예방의학회 2002 예방의학회지 Vol.35 No.2

        Objectives :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ole of obesity in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Methods : Three hundred and twenty four histologically confirmed female colorectal cancer cases and 26,998 non-cancer control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invited to the Aichi Cancer Center, Nagoya, Japan between 1989 and 1995. Information concerning demographic factors, medical history, family medical history, reproductive factors and dietary factors were obtained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medical records. The effects of weight and body mass index to colorectal cancer were examin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control for other risk factors.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emale colorectal cancer and obesity. Heavier weight adjusted for height or body mass index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association between colorectal cancer risk and obesity in women.

      • KCI등재

        10~18개월 영아 어휘력 발달의 종단연구: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을 중심으로

        신애선 ( Ae Sun Shin ),김영실 ( Young Sil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10~18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 발달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18개월(T1)인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 및 어휘력을 검사하였고, 1년 뒤인 22~30개월(T2)일 때 어휘력을 재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1에 비하여 T2에는 영아의 이해어휘의 비율은 낮아지고 표현어휘의 비율은 높아져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체적으로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빈도와 T1 및 T2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 수는 상관이 있었다. 셋째, 영아의 기질과 T1 및 T2의 이해어휘 및 표현어휘 수는 상관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T1과 T2 모두 접근-회피의 점수가 낮을수록, 반응강도 점수가 높을 수록 어휘수가 많았다. 넷째, T1과 T2에 대한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및 기질의 어휘력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이해어휘는 T1과 T2 모두 관습적 몸짓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표현어휘는 T1은 관습적 몸짓이 높았고 T2에서는 표상적 몸짓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longitudinally the relation among communicative gestures, temperament, and vocabulary development of infants aged 10 to 18 months. To this end, communicative gestures, temperament, and vocabulary of infants aged 10 to 18 months(T1) were examined, and 1 year later, when they turned 22 to 30 months(T2), their vocabulary was re-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1, in the case of T2 the percentage of infants`` receptive language got lower, while the percentage of infants`` expressive language got higher. Second, in general,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infants`` communicative gestures and the number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T1 and T2.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fants`` temperament and the number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T1 and T2. In general, in both T1 and T2, the lower the points of approach-withdrawal, and the higher the points of response intensity, the more the number of vocabular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fants`` communicative language and temperament on their vocabulary, in both T1 and T2, conven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receptive language. In T1, conven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expressive language, while in T2, representational gesture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expressive language.

      • KCI등재

        만 1세 영아들의 Baby Sign 사용에 대한 의미

        신애선(Ae Sun Shin),신애란(Ae Ra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J시, D 어린이집 만 1세 영아들이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Baby Sign 사용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만 1세 영아들의 Baby Sign 사용에 대한 관찰 자료를 수집한 후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Baby Sign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Ethnographic research method)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만 1세반 영아들의 Baby Sign 사용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Baby Sign은 영아기 어휘발달의 촉진제 역할을 해준다. 둘째, Baby Sign은 영아-교사와의 애착형성을 증진시켜다. 셋째, Baby Sign은 영아와 상호작용 시 의미를 다시 한 번 더 확인해 주어야 한다. 넷째, Baby Sign은 영아-교사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의해 빈도와 유형이 정해진다. 다섯째, Baby Sign은 영아기 인지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만 1세 영아가 타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돕고, 영아와 상호작용하는 부모나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quiry into the meanings of baby sign uses by one-year-old infants for communication purposes in D Daycare Center, J City, Jeollabuk Province. Method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collected observational data about the use of baby signs by one-year-old infants,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content method of Lincoln and Guba(1985). In addition,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adopted for the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baby signs. Result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meanings in the use of baby signs by one-year-old infants: first, baby signs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in infancy; second, baby signs promote the formation of infant-teacher attachment; third, baby signs verify the meaning of interaction with infants; fourth, the frequency and type of baby signs depend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experiences; finally, baby signs are essential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useful basic data to help one-year-old infants communicate with others effectively and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parents and teachers interacting with infants.

      • KCI등재

        영아교사의 민감성, 전문성 및 행복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애선(Shin, Ae Sun),김영실(Kim, Young Sil)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민감성, 전문성 및 행복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64곳에 재원중인 만 0, 1, 2세 영아교사와 영아 276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영아발달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민감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긍정민감성은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문제해결, 개인-사회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전체적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과 영아발달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전문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지식과기술의발달, 자기이해발달, 생태적발달 모두 의사소통, 소근육운동, 개인-사회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영아발달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행복감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직장행복은 대근육운동과 직장생활은 의사소통, 대근육운동, 소근육운동, 개인-사회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영아발달에 대한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전문성 및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직장행복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발달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의사소통과 소근육운동은 지식과기술발달이 문제해결은 긍정민감성이 대근육운동과 개인-사회성은 직장생활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인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을 위한 영아교사의 민감성, 전문성, 행복감의 관계를 밝히고,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아 영아발달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 보다 효과적이며 가치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nsibility, professionality, and happiness on infant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aged 0, 1, and 2 and their 276 infants in 64 day care centers located in J city and G city, Jeolla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infant-teacher s sensibility and infant develop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sibility, positive sensi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gross motor, problem solving and personal sociality. Second, in general, infant-teacher s professionality and infant develop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fessionality, 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cological develop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and find motor, personal sociality. Third, in general, infant-teacher s happiness and infant develop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appiness, work happi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ss motor, and work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fine motor, gross motor and personal socialit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ensibility, professionality, and happiness on infant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work happiness had the greatest effects.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infant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of professionality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communication of infant development, fine motor. positive sensibility is in problem solving, and work life is in personal sociality and gross motor. The study is full of many suggestions in that the study disclosed the relations among infant-teacher s sensibility, professionality, and happiness, and produced effective and valuable information in finding out effects on infant development and improving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애선(Shin, Ae Sun),안경숙(Ahn, G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ffects of the musical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included musical instruments for young children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to appreciate art. After drawing the direction of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included musical instruments fo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tal of activiti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e-activities, main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and post-activ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 children in I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and the mus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onnected with famous paintings included musical instruments were conducted through 12 week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of which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scored high in emotion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lso,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of which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scored high in the ability to appreciate ar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were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help improv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art appreciation 본 연구는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미술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I 시에 소재한 I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7명(실험집단 18, 비교집단 19)을 선정하 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음악활동은 유아의 미술감상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악기가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미술감상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임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신애선(Shin, Ae Sun),안경숙(Ahn, G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I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의 바깥놀이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I 유치원의 바깥놀이 과정에 대한 관찰 자료를 수집한 후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상호작용을 통해 바깥 놀이를 확장해 나가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자연물에 대한 탐색과 탐구를 통해 자연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 다. 셋째, 자연과의 상호 호혜적 관점에서 자연친화 교육적 경험을 갖게 되었다. 넷째, 놀이를 통한 통합적 학습 경험을 갖게 됨으로써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다섯째, 호기심과 경이감을 통한 생태학적 조망수 용능력의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5-year olds’ outdoor play activities process based on constructivism approach of I kindergarten. Toward this aim, which was investigated by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of Lincoln & Guba(1985). Th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interac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expanded children’ play actively. Second, children has been constructed the knowledge about natural world together through explore and inquiring mind. Third, play was changed to the play space. Forth, play provided for the chance integrated learning. Fifth, the children originated ways of interactive playing with nature in various ways.

      • KCI등재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검증 효과

        신애선 ( Ae Sun 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영아의 어휘력과 그들의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질요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에 재원중인 10∼24개월의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219쌍을 대상으로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 어머니 양육행동을 조사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은 어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영아의 어휘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기질이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의 어휘력 발달을 위한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모-자녀 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fants’ vocabulary, their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about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infants’ vocabulary. This study also aimed to find out mediating effects of temperamental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n infants’ vocabular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19 pairs of infants aged 10~24 months and their mothers of home day-care centers in Jeollabukdo. Infants’ temperament, their vocabulary,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structural model.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infants’ temperament has direct effects on their vocabulary. Second, it is shown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have direct effects of infants’ vocabulary. Third, it is shown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function as a medium in the process of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their vocabulary. Thes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about mothers’ parenting role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for improvement of infants’ vocabulary and a follow-up study.

      • KCI등재

        10~18개월 영아교사의 성인애착과 영아의 기질이 영아의 몸짓언어(Baby Sign)에 미치는 영향

        신애선 ( Shin Ae-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영아교사 성인애착과 영아 기질, 영아 몸짓언어의 관계 및 영아의 몸짓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J시의 27곳의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0~18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9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성인애착은 영아의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성인애착 유형별로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지시적 몸짓언어, 관습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몸짓언어와 기질의 하위요인 중 적응성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 기질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는 관습적 몸짓언어와 정적 상관관계를, 적응성은 지시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를, 반응강도는 지시적 몸짓언어, 표상적 몸짓언어와 정적 상관관계를, 기분은 지시적 몸짓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 성인애착과 영아 기질이 영아 몸짓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지시적 몸짓언어와 관습적 몸짓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성인애착 중 불안애착이, 표상적 몸짓언어에 대해서는 영아 기질의 반응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몸짓언어 발달을 위한 영아교사의 심리적 요인과 영아의 내적 요인에 대한 탐색과 영향력을 밝혀 영아와 상호작용하는 영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infants` affection with teacher and temper on baby 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7 infant-care center in I city and ninety two infants from infant-care center in J city, Jeollabuk-do province. Th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ffection with baby sign. Second, there exist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n infants` baby sign and adaptability of temper. Third, the most strongest influence is anxiety affection on infants`s affection on adults. Anxiety affection of adults` affection has the most influence on baby sig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of teacher between infants is very import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is critical to improve infants` communication ability about baby sign.

      • KCI등재

        6~25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발달 및 기질 간의 관계

        신애선(Shin, Ae-Sun),김영실(Kim, Young-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출현 빈도와 기질 간의 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에 소재한 가정어린이집 10곳에 재원 중인 6∼25개월의 영아 100명이고, 연구도구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의향(2006)의 상징 행동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영아의 기질은 IBQ(Rothbart & Derryberry, 1981)를 위영희(1994)가 번안하여 한국 영아를 대상으로 적용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월령에 따라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의 출현 빈도는 14~17개월까지 증가하다가 17개월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몸짓 유형별로 보면, 영아의 지시적 몸짓은 14~17개월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관습적 몸짓은 10~13개월에서 18~21개월까지 증가를 보인 후, 18~21개월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상적 몸짓은 6~9개월 부터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표상능력인 언어가 발달하면서 지시적 몸짓은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표상적 몸짓은 증가를 보였다. 둘째,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 전체와 기질 중 주의지속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gestures and temperament of infan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00 infants of 6 to 25 months old in 10 Home Daycare Centers located in I city, Jeollabukdo. The Symbolic Behavior Scales of Kim Euihyang (2006) was revised and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communicative gestures of infants. The Revised IBQ(Rothbart, 1981) adapted for Korean infants by Ui Younghee (1994)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temperament of infa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gestures of infants increased by 14th ~ 17th month, but decreased after 17th month. According to the types of gestures, deictic gestures decreased consistently ever since 14th~17th month, while conventional gestures increased from 10th ~ 13th month until 18th~21th month, and decreased after that. The Representational gestures increased after 6th~9th month. As language skills, major representational abilities developed, deictic gestures decreased, and representational gesture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gesture as a whole and temperament, especially attention continuity, of infants.

      • KCI등재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분석

        신애선(Shin, Ae Sun),안경숙(Ahn, G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한 후 선행활동과 본활동, 확장활동을 포함하여 총 24개 활동을 개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의 M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이며, 2017년 4월 1주부터 6월 1주에 걸쳐 8주 동안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들은 명화 속 악기에 대한 흥미가 매개가 되어 능동적인 악기 탐색을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명화와 악기의 미적 요소를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명화 속 악기 소리에 대한 상상을 통해 음악 만들기를 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악기 디자인과 연계된 창의적인 악기를 만들었다. 다섯째, 유아들에게 미술과 다른 학문 영역과의 통합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the direction of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tal of 24 activiti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e-activities, main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and post-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0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and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through 8 weeks. Analysis materials to examine educational meaning ar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sult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of Lincoln and Guba(1985) was used to analyse.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s interest made children s active search about musical instruments. Second, children recognized the elements of beauty about famous painting and musical instruments. Third, children made music making through imagination of sound. Fourth, children made musical instruments related design creatively. Fifth, children experienced integrated learning related arts and other learning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