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사회적 인식

        최유정,신아름,최샛별,Choi. Yu Jung,Shin. A-Reum,Choi. SetByol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는 대중매체나 마케팅 분야에서 창출되거나 소개된 알파맘, 기러기 가족, 딩크족, 싱글맘, 골드미스 등의 용어들을 통해 그와 연계된 다양화된 가족 형태에 대한 일반인들의 평가나 태도가 재생산되거나 변화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이 용어들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과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적 핵가족을 전제하는 ‘알파맘’ 이외의 개념들에 대한 시각은 부정적이다. 평균 점수는 알파맘, 골드미스, 싱글맘, 기러기 가족, 딩크족의 순이다. 성별에 따라서는 각 개념 을 여성이 남성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특히 골드미스에 대한 의견에서 남녀간 입장차가 크다. 둘째, 알파맘을 제외한 나머지 개념들에서 연령대별 차이가 확인되는데, 6, 70대가 가 장 보수적이고, 30대는 가장 개방적이다. 딩크족, 싱글족, 골드미스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우호적으로 바라보고 기러기 가족은 4, 50대, 2, 30대, 6, 70대로 가면서 더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셋째, 성별과 연령의 복합적인 효과를 보면 알파맘에 대해서는 4, 50대에서, 기러기 가족은 40대와 60대에서, 딩크족은 20, 30, 50대에서, 골드미스는 2, 3, 4, 50대에서 여성 이 동년배 남성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남성 집단 내에 알파맘, 기러기 가족에 대한 이견은 없으나, 딩크족, 싱글맘, 골드미스에 대한 의견에서는 더 보수적인 6, 70대와 타 연령대가 대비를 이룬다. 여성 집단 내에서는 모든 개념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진다. 알파맘의 경우 30대 여성이 다소 부정적이고, 기러기 가족은 3, 4, 5, 60대 여성이 상대적으로 덜 비판적으로 본다. 딩크족과 골드미스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여성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강화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중매체에 의한 새로운 가족 개념들은 다 양한 가족 형태와 연계된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하기보다는 재생산하거나 고착시키는 성격이 강하며, 이러한 효과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상이하다고 할 것이다. The terms related to diversified family types such as Alpha mom, goose family, DINK (Double Income No Kids), single mom, gold miss have been newly coined by mass media. This study is based on a premise that the social perceptions on the family types can be reproduced or changed through the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the perspectives on concepts excluding Alpha mom, which is premised on stereotypical nuclear families are negative. According to gender, females perceive each concept more positively, especially in viewing gold miss.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by age groups in other concepts except Alpha mom; 60s and 70s are the most conservative and 30s are the most open. More the younger perceive DINK, single people, and gold miss more amicably, and goose family is perceived more negatively in the order of the 40s-50s, 20s-30s, and 60s-70s. Thirdly, from the complex effect of gender and age, females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compared to men of the same age towards Alpha mom in their 40s-50s, goose family in their 40s and 60s, DINK in their 20s, 30s, 50s, and gold miss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There are no different opinions of Alpha mom and goose family within male groups, but 60s and 70s are more conservativ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on DINK, single mom, and gold miss. In female groups, there is a conspicuous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ll the concepts according to age groups. In the case of Alpha mom, females in their 30s have a rather negative viewpoint while females in 30s, 40s, 50s, and 60s are less critical of goose family. A negative attitude towards DINK and gold miss is reinforced as the female age is older.

      • KCI등재

        계급과 젠더의 교차를 통해 본 여가의 의미

        최유정(Choi, Yu-Jung),신아름(Shin, A-Reum),최샛별(Choi, Set-Byol) 한국가족학회 2012 가족과 문화 Vol.24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여가에서 드러나는 계급적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되,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해 행위자의 인식체계에 접근함으로써 그러한 차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 중, 하로 분류된 각 계급별로 총 36명의 여성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외현적인 여가 행위의 상이함 이외에도 여가에 부여하는 목표나 의미, 구체적인 방식 등에서 계급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상층은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바탕으로 자기 계발에나 문화 자본 향유와 연계된 개인적인 여가를 누리는 유일한 집단이며, 자녀 및 가족과의 여가에서는 주로 자신이 가진 문화 자본, 특히 영어 실력이나 문화예술적 소양을 자연스럽게 자녀에게 전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지향하는 면모를 보인다. 반면 중층은 대개 자녀나 가족의 요구에 맞추는 공동체적인 여가관을 내면화한 가운데,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이나 가족 단위의 여가 시간 모두를 자녀 교육이라는 목표 하에 수단화하는 경향에 뚜렷하다. 특히 자녀의 학업이나 성적에 방점을 두고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이나 ‘주입’을 통해 자녀가 영어 능력이나 문화 예술적 소양 같은 문화 자본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 또한 중층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경제 자본이 더욱 부족한 하층의 경우 미래의 직업활동을 위한 준비나 자녀 및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에 한해서만 부분적으로 여성의 여가가 인정된다. 이들은 타계급에 비해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중시한다거나, 자녀가 영어 실력이나 문화 예술적 소양을 쌓는 것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그 자체를 강조하면서 ‘엄마가 직접 가르치는 것’, ‘부모가 함께 하는 활동’ 등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차별성을 보인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las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focusing on full-time housewives who hav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 will utiliz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pproach the performer’s cognitive system and specifically examine the meaning of these differences.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of 36 women classified into high, middle, lower classes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objectives or meanings of leisure, specific methods, etc. according to their class. First of all, the high class was the only group that enjoys leisure through self-development or persona1 leisure related to cultural capital based on economic means and time to spare. Also, when spending leisure time with children and family, they pursue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naturally pass down their own cultural capital, especially English skills or cultural arts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class usually internalize a communal leisure based On the needs of their children and family. They have a strong tendency to take the time they spend with their children or all of their family leisure time to make it a means, under the objective of educating their children. Especially, i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class to support the children,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obtain English skills or cultural knowledge by putting emphasis on the children’s education or grades through “direct-education” or “implantation.” For the lower class, who have insufficient economic capital, only job preparation for the future or time spent with children and family were limited to being partially acknowledged as women’s leisure. Unlike the other classes, the lower class does not emphasize their children’s English skills or cultivating cultural arts knowledge, but emphasize the overall education process and the various experiences itself by giving meaning to “mom teaching first-handedly” and “activities done together with parents.”

      • KCI등재

        지상, 수상, 항공레저스포츠관광을 통한 여가만족이 웰니스(Wellness)에 미치는 영향

        김설향(Seol Hyang Kim),신아름(A Reum Shin),황선환(Sun Hwan Hw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2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0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based on ground, water, ai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on wellness. A total of 437 respond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such as ground, water, and ai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using the quota sampling metho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with ai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was higher than ground and wate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and it of wate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was higher than ground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Second, the perception of wellness from ai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was higher than it from ground and water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Finally, leisure satisfaction with leisure sport-tourism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wel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