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컴퓨터 환경에서 OTP를 활용한 컴퓨터 이중 잠금

        신선경 ( Sun-kyung Shin ),이덕규 ( Deok Gyu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사용자의 PC에 대한 보안 중, PC를 사용하는 자가 본인이 맞는지에 대한 인증에 주목한다. 기존에 패스워드로만 이뤄졌던 사용자 계정 보안에 OTP(One-Time Password)를 접목 하는 프로젝트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인터넷과 같은 통신 기술 능력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많은 비즈니스들이 온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은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일회용 패스워드의 기술과 필요성을 소개함으로 사용자 컴퓨터 환경에서 OTP를 활용한 컴퓨터 이중 잠금을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음악 정서 표현 분류 체계 정립을 위한 시안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0 텍스트언어학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priate method for classifying emotional expression for music from the user perspective. As a first step, we compiled a list of music relevant emotional expressions using the Sejong Korean Corpus. The list includes 101 terms collocated with "music" or Music related words. As a second step, we classified the 101 terms. Firstly, we devided the 101 emotional terms into 3 classes according to 3 elements of the qualia structure of "music"; constitutive, form, agentive. Secondly, we subcategorize each 3 classes into 7-8 groups based on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and frequency of use in the corpus. In this study, whole process of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accessibility and feasibility in using.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대학 글쓰기 교육과 계열별 글쓰기 ; 공학인증과 공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

        신선경 ( Sun Kyung Shin ) 반교어문학회 2009 泮橋語文硏究 Vol.0 No.27

        본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의 시대적 변화와 이를 반영한 대학에서의 공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고 변화하는 새로운 시대의 공학도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합리적 모델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21세기 공학 교육의 방향을 공학인증의 평가 내용 기준을 바탕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공학 전공자를 위한 의사소통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들을 7개의 항목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이상의 항목의 검토를 통해 공학자를 위한 글쓰기 교육에 새롭게 보완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 논의하였다. 새롭게 수정 보완될 내용으로 첫째, 기초 실용문 쓰기에 대한 내용은 과학기술자의 학문과 직업 활동상의 글쓰기 특징을 고려하여 설계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문제 중심적(problem-based) 방법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과 둘째, 자기 설명력을 갖춘 과학기술자 양성을 위해 학습 포트폴리오의 작성과 활용에 대한 내용이 보충되어야 한다는 것, 셋째, 다학제적 상황에서의 협력과 소통을 위한 교육 내용이 보충되어야 한다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학 글쓰기의 두 가지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전 학년에 걸쳐 학년별로 전공 교과목과 융합하여 이루어지는 통합 모델이며 두 번째는, 글쓰기 교과목의 내용을 공학의 학문적 성격과 공학 전공자의 기본 소양을 중심으로 재편한 다학제적 모델로 공학과 인문사회적 이슈를 이해하고 인문 사회적 문제를 공학 기술을 통해 해결하는 PBL (Problem Based Learning) 방식을 기반으로 설명과 설득의 다양한 방법을 글과 말의 통해 훈련하고 이를 구체적 소통 상황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하는 교육 모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issue confronting engineers and the engineering profession and establish new instruction model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As the first step, we explore new trend of engineering education based on the ABEEK`s new engineering accreditation criteria. ABEEK reaffirmed a set of "hard" engineering skills while introducing a second, equally important, set of six "professional" skills. These latter skills include communication, teamwork, and understanding ethics and professionalism, which we label process skills, and engineering within a global and societal context, lifelong learning, and a knowledge of contemporary issues. As the second step, we suggest new instruction model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 The model is an integrating communication skill to engineering subjects for 4 year track. we also suggest an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course integrating with engineering subjects. The main teaching method is based on PBL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e main contents are consist of 8 small topics: globalization and engineers, portfolio writing, the current issu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writing skill, new product design, explanation and persuasion. ethic of writing and profession.

      • KCI등재

        공통 과학 교과서의 텍스트성 연구 -텍스트의 의도성과 용인성을 중심으로-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1 텍스트언어학 Vol.31 No.-

        The aims of the paper is to examine textuality of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role of textbooks in science education. Textbooks have been written according to guidelines for effective learning. We consider the importance of writers` intentionality and learners` acceptability in text production and use. We attempt to analyze the textual structure and language used in science textbooks and how they affect the embodiement of writers` intentionality and learners` acceptability. As the first step, we off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 as a text. Secondly, we argue that educational policy and discourse community rules are critical factors in embodying the intentionality into the text structure in science textbooks. Thirdly, we examine the way of embodying acceptability into text structure and language uses, grammatical forms of predicate, style and metaphor in science textbook.

      •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2

        본고는 의과 대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들의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의과대학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의학 교육에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은 의학의 인간 과학적 특성과 21세기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의료 행위와 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라는 두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인문학적 소양, 그 중에서도 특히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발휘되는 의사소통 능력은 바람직한 의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조건이며, 특히 글쓰기는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훈련의 도구로서, 혹은 다양한 의료 상황에서 반드시 행해야 할 의료 행위의 일환으로서 의학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의료 현실을 감안할 때, 의과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크게 ‘학습 도구로서의 글쓰기’ ‘바른 의료 문장 쓰기 중심의 글쓰기’ ‘의사소통 중심의 글쓰기’ 등의 3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학습 도구로서의 글쓰기 교육’은 의료 인문학 및 전공 교육과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면에서 장점을 갖는 반면,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갖춘 학생과 교수, 소규모 강의와 훈련된 강의 조교의 확보라는 선행 조건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는 면에서 현재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실시하기에는 어려운방식이다. ‘바른 의료 문장 쓰기’ 중심의 글쓰기 교육은 비교적 대규모 강좌로 적은 예산을 들여 개설할 수 있는 강좌라는 점에서 장점을 갖지만 동기 부여가 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없고, 글쓰기의 상황적 맥락이나 주제 의식 등과 같은 거시적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글쓰기의 독자성을 살리면서도 고등 글쓰기 훈련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은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이해와 이에 따른 다양한 글쓰기 방식의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중심의 글쓰기’ 방식이다. 의사들의 의사소통 상황이 다양해지고 그에 따른 글쓰기 능력이 요구되는 현재 상황에서 글쓰기 교육의 한 대안으로 이러한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글쓰기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의학, 국어학, 수사학 및 작문학 등 다양한 전공분야의 전문가들의 학제적 연구와 소규모 강좌 및 강의 조교 지원 등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need for writing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Based on such examination, this paper is also to find out writing education methods for medical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writing ability of medical doctors. In the first place, I investigated the need for writing education in medical school in two aspects:first, medicine`s human-scientific aspect and seco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edicine and medical treatments according to the circumstanti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Among liberal arts knowledge, especially communication ability is a critical quality of good doctors in various communication circumstances. In particular, writing is a training tool for cultivating liberal arts knowledge. It is also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of medical education since it is a crucial part of medical treatments in numerous medical conditions. Considering the current medical conditions in Korea, the writing education in medical school can be conducted in three ways:“writing as a study tool,”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writing appropriate medical sentences,” and “writing for communication.” “Writing as a study tool”has its merit in that it is in line with liberal arts medical education and major subjects. On the other hand,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in that such pre-requisites are needed as: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basic liberal arts knowledge;class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and well-trained teaching assistants. Therefo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apply in the Korean medical schools. Secondly,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writing appropriate medical sentences”had its merit in that it is for a large audience in class with small budget. Still, it is less effective in drawing attention from ill-motivated students. It hardly can apply macroscopic methods such as circumstantial contexts of writing and subject matters. Lastly, “writing for communication”is an effective method of writing education because it i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both communication circumstances and various ways of writing. It is useful in making writing education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teaching advanced writing. It serves as an effective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in today`s circumstance where communication environments are getting divergent and the need for appropriate writing abilities are increasing. To make such writing education successful, academic research is needed by experts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medicine, Korean linguistics, rhetoric, and writing study. Moreover, financial supports are essential for selected class and teaching assistant.

      • KCI등재

        유튜브 이용자의 저항과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성격 특성과 혁신특성을 중심으로

        신선경(Shin, Sun Kyung),박주연(Park, Joo Ye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8 No.3

        전통미디어와 뉴미디어 간 융합의 결과로 등장한 유튜브는 가장 보편적인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지만 유튜브의 빠른 확산과 이용 시간의 폭발적 증가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심리적 과잉이나 피로감, 시간적 부담 등 부정적 효과를 야기시키고 있다. 미디어 서비스 이용 중 이용자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의 경우, 서비스에 대한 저항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바, 본 연구는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모델의 주요 구성 개념을 통합한 모형을 기반으로 유튜브 이용자의 저항과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개인화된 동영상 서비스 이용 특징을 고려해 본 연구는 개인 및 기술⋅환경적 특성이 고려된 다차원적인 혁신특성을 중심으로 유튜브 이용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은데, 첫째, 유튜브 이용자의 5가지 성격 특성 중 외향성, 성실성, 그리고 신경증 경향이 유튜브 혁신저항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개방성의 경우, 유튜브 혁신저항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이용자 혁신특성 중 인지된 위험, 혁신태도, 불건전 콘텐츠 확산 그리고 사생활 침해 요인이 유튜브 혁신저항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기존 서비스에 대한 태도는 유튜브 혁신저항에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튜브 혁신저항의 경우, 이용자의 유튜브 수용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서비스 수용에 있어 통합 모형 적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확장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유튜브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원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이용자 연구 범위를 확대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중심의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확산 및 발전을 위한 기초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ey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YouTub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uilt a research model based on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he online survey was used for this pape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86 users who use YouTube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 users’ personality trait (extraversion,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of YouTube. And open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innovation resistance of YouTube. Second, Innovation Characteristics (perceived risk, innovation attitude, spread of harmful contents, and privacy problems) influenced positively on resistance to innovation of YouTube. And the attitude of existing media services influenced negatively on resistance to innovation of YouTube. Third, innovation resistance influenced negatively on YouTube intention to use. These findings not only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s on the research of YouTube and Users, but also help OTT providers to find business strategies.

      • KCI등재후보

        다학제적 연구 상황에서의 성공적 의사소통 조건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다학제적 상황에서의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문제가 언어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그리고 연구와 관련하여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할 몇 가지 점들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학제적 의사소통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다음으로, 다학제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어 사용의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학제적 담화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의 문제 중 특히 문제가 되는 서로 다른 분야 사람들끼리의 전문 용어 사용상의 차이에 대한 문제와, 학문적 방법론과 문화적 차이에 따른 서로 다른 수사방식과 그에 따른 의사소통 상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다학제적 담화 상황에서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에 대한 의사소통 참여자들의 의견은 어떠한 것인지를 다학제적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다학제적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은 성공적인 연구를 위한 조건 중 연구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들고 있으며 다학제적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참여자들 간의 인간적 신뢰와 친밀도, 인문학과 자연 과학의 기초적 지식 습득을 들었다. 다학제적 의사소통의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은 각 분야별 소통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문제에 집중하며 도표나 그림 등 시각적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Communication patterns o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ituation and find out key conditions for effectiv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and the practice of interdisciplinarity. Secondl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examined the language use in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we find out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use of terminology and rhetoric pattern between disciplines and the differences cause disturbances in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inally, we carried out interviews with 12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to verify the results of examination. We asked the informants 4 questions we analysed the answers.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ondition of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research? (2) What is the key of successful communication in interdisciplinary situation? (3) What is the most serious obstac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in other disciplinary fields? (4) What do you do to solve the problems?

      • KCI등재

        언어사용적 측면에서의 문법 기술의 의의와 방향- 학술텍스트의 문어체 선호를 중심으로-

        신선경 ( Sun Kyung Shi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2 텍스트언어학 Vol.33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feasibility of grammatical description for the use of language based on written language preference in academic prose. First, We discuss the necessity of grammatical description from the systemic functional perspective. Secondly, in Chapter 3, we describe the linguistic choice in Korean written language and academic prose. Finally, we investigate tha consciousness of language users about literacy, orality and language register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Proposed direction of grammatical description for language 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