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교통 분야 Data 관리와 공유를 위한 DCAT 기반 Data Catalogue 표준 연구: DCAT-Trans

        신도겸,이상화,강정현,박은미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지 Vol.37 No.5

        It is one of the core tasks of Korean Government to build a data-based industrial ecosystem to promote data trades and re-use with opening public data. The transportation sector also generates various data from existing systems such as ITS. The amount of data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is forecast to rapidly increase after AV and C-ITS are introduced into a real world. It is an important matter and concern for data managers and users to efficiently manage a large amount of data. EU leads to establish standards for data catalogues to manage metadata in order to manage, share and re-use data. This study suggests standards for data catalogue for transportation data based on DCAT. The study examines cases using DCAT and analyses ITS, BIS and C-ITS field test data sets to derive features of transportation data of Korea. DCAT-Trans, which this study suggests, will well represent relationships between transportation data and geographical features of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attempt to standardize managing and classifying transportation data. 공공부문의 데이터 개방을 통해 데이터 유통과 활용을 촉진하고, 데이터 기반 산업의 발전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정부의 중점 과제 중 하나이다. 교통분야 역시 ITS 등 기존의 데이터를 생산하던 시스템에 더하여 자율주행차량과 C-ITS의 도입으로 향후 교통 데이터의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가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관리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공유, 활용을 위해 메타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 카탈로그 표준이 EU을 중심으로 제정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교통분야 데이터를 위해 DCAT에 기반한 데이터 카탈로그 작성 표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CAT을 사용한 해외 사례의 분석과 국내 ITS, BIS, C-ITS 시범사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합한 표준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표준인 DCAT-Trans는 교통분야의 데이터 연결관계와 공간정보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통 분야 데이터의 관리와 분류 체계를 표준화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미래형 공동주택의 청년계층 카셰어링 이용수요 분석

        신도겸,기호영,변완희,Shin, Doh Kyoum,Kee, Hoyoung,Byun, Wanhee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공유교통서비스로 상징되는 카셰어링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자동차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미래에 공유교통 서비스가 자율주행자동차와 결합하면 공유교통 서비스가 갖는 접근성 문제를 해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개인 승용차를 위한 주차장을 없애고, 카셰어링 서비스에 기반을 둔 미래형 공동주택 모델도 구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형 공동 주택 모델의 주요 입주 대상을 청년계층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카셰어링 이용수요 예측과 카셰어링 차량의 통행 처리 효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청년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9개 행복주택단지를 선정하여 통행수요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년계층의 카셰어링 이용 특성과 수요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었다. 수도권에서는 1일 약 1회, 1회 대여 시 평균 80분 정도 이용하였으며, 8~12시의 오전 시간에 이용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1일 약 2회, 1회 대여 시 약 200분 이상 장시간 이용하였다. 또한 8~10시의 오전 시간에 집중하기는 했지만, 오후와 저녁 시간에도 이용수요가 높았다. 카셰어링의 통행 처리 효율은 수도권에서는 차량 당 3~4통행, 비수도권에서는 차량 당 2통행 정도로 수도권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attitudes to cars have changed from buying a car to sharing a car,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Shared transport services and autonomous vehicles together can resolve the accessibility issue of shared transport services. Furthermore, they will make it possible to develop a new model of apartments without car parking. Therefore, the study estimated the demand for car sharing by young people and the running efficiency of car-sharing dealing with their car-based trip demand. The study chose nine apartment complexes for study sites where a majority of the residents were young peopl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n the trip demands of young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sharing use patterns and demand between the apartment house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and non-capital region. Young people living in apartments in the Capital region used car sharing once per day per person for approximately 80 minutes per trip and tended to hire that between 8 AM and 10 AM. On the other hand, the young people living in apartments in the non-capital region used car sharing twice per day per person for approximately 200 minutes per trip. They tended to hire that frequently in the afternoon and evening as well as in the mornin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 single car-sharing vehicle could deal with 3~4 trips per day in the Capital region and around 2 trips per day in the non-capital region.

      • KCI등재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신도겸,변완희,도명식,기호영 한국ITS학회 2019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8 No.3

        공유교통과 대중교통을 통합하여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MaaS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LH 역시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교통 중심 의 MaaS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위치해 있는 임대아파트는 입주민 특성, 지역 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MaaS 도입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주민 특성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공유교통 공급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H 임대아파트에 대해 입주민 및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유교통서비스를 찾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RT 방 법을 활용하여 입주민의 공유교통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과 카풀, 공 유주차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위치한 임대아파트에서 높은 선호 경 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카셰어링이나 카풀에 대한 선호가 높았고, 공 공자전거의 경우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 트 단지가 속한 지역 특성과 주민 특성에 따라 우선 적용이 가능한 공유교통서비스를 결정하 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aaS, which provides all-in-one service for comfort mobility for customers, has been popularly researched and developed mainly in Europe. Even in Korea, the research on MaaS is also carried out which is fit to the mobility environment and needs of Korea.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LH) also carries out research on MaaS called 'Integrated Mobility' for the residents living in LH public apartments. This study categorised the around 800 public apartments into 12 groups based on 3 key characteristics, then analysed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by the residents of representing apartments for the each group using C&RT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ference on shared-transport services such as car-sharing and ride-sharing (carpool) were higher in the apartments which are located in medium or small cities or lived by the more handicapped resident groups in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s and bounded ertain areas such as apartments or districts and then to introduce shared transport service fit to target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