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소득구조 불평등 기여도 분석

        신규철(Gyu-Cheol Shin),이용재(Yong-J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노년기 경제적 불평등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에서 지니계수와 10분위 분배율로 노인의 소득불평등 기여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소득의 지니계수는 2007년 0.430, 2018년 0.383으로 점진적으로 불평등이 줄어들고 있었다. 또한, 소득분위가 높아질수록 소득증가율이 높아졌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장소득 불평등은 증가하였고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은 감소하였다. 전체소득에 대한 소득구조의 불평등 기여도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적이전소득의 불평등 완화 역할을 공적이전소득이 대체하고 있었다. 노인의 기초생활유지를 위한 공적이전소득의 확대는 사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에도 불구하고 중요한 노인 소득원이며, 노인의 소득구조의 구성요소인 시장소득,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은 상호 전체소득을 보완하는 성격이 있어 노인의 소득불평등을 완화하는데 기여한 소득원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 in the contribution of the elderly to income inequality by using the Gini coefficient and the decile distribution ratio from th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from 2007 to 2018 on economic inequality in old age. According to the study, the Gini coefficient of total income gradually decreased from 0.430 in 2007 to 0.383 in 2018. As a result, inequality decreased. Also, the higher the income quintile, the higher the income growth rate. Market income inequality has increased and inequal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transfer income has decreased. Analysis of the contribution of income inequality to total income confirmed that public transfer income has replaced the role of private transfer income in reducing inequality over time. The expansion of public transfer income for the maintenance of basic living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 elderly despite the crowding-out effect of private transfer income, market income, public and private transfer income,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come structure of the elderly, mutually complement total inco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income sources that contribute to alleviating income inequality among the elderly and reflect them in policy-making process.

      • KCI등재후보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유형이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김효심 ( Kim Hyo Sim ),신규철 ( Shin Gyu Cheol ) 한국장기요양학회 2020 장기요양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유형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합리적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모형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보호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용하는 노인 일수록 방문요양 중심 이용노인 보다 우울감이 낮았다. 둘째, 학력이 낮을수록, 동거가족수가 적을수록, 주택 자가소유가 아닐수록, 경제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노인의 우울감이 높았다. 또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우울감이 높았다. 요양서비스는 이용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셋째, 방문요양서비스와 주간보호서비스 중심 이용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경우 방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노인들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주간보호서비스 이용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지지 수준은 정신건강에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방문요양 이용 노인들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재가급여 이용노인의 우울 감소를 위하여 방문요양급여와 주간보호서비스간의 연계와 통합적인 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presents references that the utilized rate of long-term care services reasonably and identifies that having an effect on depression of elderly by long-term care insurance. With regards to this prior research, the includ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elderly who use the day care service mainly showed lower depression than those who visited care centers. Second of all, depression was higher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non-owned house and the economic condition. Not only that, the depression was higher as the state of health worsened, the more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the period of use of the home-care service, moreover, depression was higher as the use of home-care service was longer. Third of all,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ho use home-care services and day care services are the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 who use the visiting care services, bu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lderly who use the day care service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who use day care services is an import factor for mental health, but does not affect the elderly who use visiting home-care. As a result, the implements for reducing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using long-term care re-supply benefits were discussed.

      •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의 입구크기에 따른 번식조류의 경쟁구조 분석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둥지의 입구크기에 따라 번식조류의 경쟁구조를 확인하고자 2015년에서 2016년까지 조류의 번식기간(4-7월) 동안에 주 2회 인공둥지를 모니터링 하였다. 인공둥지는 2015년과 2016년 2월에 충청남도 공주시, 금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일대에 총 60개를 설치하였으며, 각각입구지름 40㎜(가로150×세로150×높이250㎜) 12개, 7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8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9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입구지름 100㎜(300×300×400㎜) 12개를 설치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인공둥지에서 번식한 조류는 참새(Passer montanus),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딱새(Phoenicurus auroreus auroreus),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 소쩍새(Otus sunia), 원앙(Aix galericulata)총 7종이였다. 입구의 크기 별로 살펴보면 지름4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7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파랑새, 소쩍새, 80㎜에서 박새, 곤줄박이, 딱새, 90m에서 곤줄박이, 딱새, 100㎜에서 박새, 곤줄박이, 소쩍새, 원앙이 각각 번식하였다. 번식실패요인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주요 번식실패요인으로, 박새는 곤줄박이와 원앙, 소쩍새에 의한 둥지강탈, 곤줄박이는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소쩍새는 미부화, 원앙은 둥지포기와 미부화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생태적 지위는 원앙이 가장 높았으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조류는 입구가 큰 둥지를 선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큰 조류에게 둥지를 강탈당했다. 따라서 나무구멍에서 번식하는 조류에 있어서 입구의 크기를 달리 제작한 인공둥지를 설치함으로 조류의 종간 경쟁을 최소화 하며, 번식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산란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 주요 산란지인 섬진강 일대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에 관한 연구

        정진석 ( Jin-seok Jeong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조섬진강 일대에 서식하는 두꺼비 및 두꺼비서식처의 보호방안을 모색하고자 두꺼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하동군 악양면 일대로 총 14개의 습지가 발달해 있다. 그 중 노전소류지, 정서제, 입석상제 등 6개 지점에서 두꺼비가 산란하였다. 텃개소류지, 중간소류지 등 3개 지점은 매립되어 산란지 기능을 상실하였다. 용정소류지, 신대제 등 2개 지점은 두꺼비의 번식기인 2~4월 동안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지 못하여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봉대천 하류, 동정호, 입덕하제 등 3개 지점은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였으나,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두꺼비의 주요 위협시기는 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2월과 아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5월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로드킬로 인한 피해가 컸다. 한편, 두꺼비 산란의 주요 위협요인은 산란지의 감소 및 축소이다. 두꺼비는 이동성이 낮고, 생태특성상 산란지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두꺼비가 산란할 수 있는 저수지가 매립되거나, 두꺼비의 주요번식기동안 일정수준의 수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그해에는 두꺼비의 번식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두꺼비의 산란지로서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