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둥지(Artificial Wood Box)의 입구크기에 따른 번식조류의 경쟁구조 분석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둥지의 입구크기에 따라 번식조류의 경쟁구조를 확인하고자 2015년에서 2016년까지 조류의 번식기간(4-7월) 동안에 주 2회 인공둥지를 모니터링 하였다. 인공둥지는 2015년과 2016년 2월에 충청남도 공주시, 금산시, 부여군, 충청북도 영동군, 옥천군 일대에 총 60개를 설치하였으며, 각각입구지름 40㎜(가로150×세로150×높이250㎜) 12개, 7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8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90㎜(가로250×세로250×높이350㎜) 12개, 입구지름 100㎜(300×300×400㎜) 12개를 설치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인공둥지에서 번식한 조류는 참새(Passer montanus), 박새(Parus major), 곤줄박이(Parus varius), 딱새(Phoenicurus auroreus auroreus),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 소쩍새(Otus sunia), 원앙(Aix galericulata)총 7종이였다. 입구의 크기 별로 살펴보면 지름4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70㎜에서 참새, 박새, 곤줄박이, 파랑새, 소쩍새, 80㎜에서 박새, 곤줄박이, 딱새, 90m에서 곤줄박이, 딱새, 100㎜에서 박새, 곤줄박이, 소쩍새, 원앙이 각각 번식하였다. 번식실패요인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주요 번식실패요인으로, 박새는 곤줄박이와 원앙, 소쩍새에 의한 둥지강탈, 곤줄박이는 원앙에 의한 둥지강탈, 소쩍새는 미부화, 원앙은 둥지포기와 미부화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인공둥지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생태적 지위는 원앙이 가장 높았으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조류는 입구가 큰 둥지를 선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큰 조류에게 둥지를 강탈당했다. 따라서 나무구멍에서 번식하는 조류에 있어서 입구의 크기를 달리 제작한 인공둥지를 설치함으로 조류의 종간 경쟁을 최소화 하며, 번식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산란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 주요 산란지인 섬진강 일대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에 관한 연구

        정진석 ( Jin-seok Jeong ),노선호 ( Sun-ho No ),고준서 ( Jun-seo Go ),신세영 ( Se-young Shin ),이정은 ( Jeong-eun Lee ),최한이 ( Han-yi Choi ),채주리 ( Ju-ri Chae ),신규철 ( Gyu-cheol Shin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조섬진강 일대에 서식하는 두꺼비 및 두꺼비서식처의 보호방안을 모색하고자 두꺼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하동군 악양면 일대로 총 14개의 습지가 발달해 있다. 그 중 노전소류지, 정서제, 입석상제 등 6개 지점에서 두꺼비가 산란하였다. 텃개소류지, 중간소류지 등 3개 지점은 매립되어 산란지 기능을 상실하였다. 용정소류지, 신대제 등 2개 지점은 두꺼비의 번식기인 2~4월 동안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지 못하여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봉대천 하류, 동정호, 입덕하제 등 3개 지점은 일정수준의 저수량을 유지하였으나, 두꺼비가 산란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두꺼비의 주요 위협시기는 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2월과 아성체 두꺼비의 이동기인 5월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로드킬로 인한 피해가 컸다. 한편, 두꺼비 산란의 주요 위협요인은 산란지의 감소 및 축소이다. 두꺼비는 이동성이 낮고, 생태특성상 산란지의 환경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두꺼비가 산란할 수 있는 저수지가 매립되거나, 두꺼비의 주요번식기동안 일정수준의 수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그해에는 두꺼비의 번식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두꺼비의 산란지로서 저수지의 보전과 관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