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寺刹의 꽃살문을 應用한 文化商品 디자인 硏究 : 공간막이 발을 中心으로
신경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사찰의 꽃살문은 한국불교 예술의 정수라고 표현되고 있을 만큼 우리나라 특유의 예술성이 깃든 조각품이다. 꽃살문이 사용된 곳은 법당을 중심으로 한 사찰의 주요 전각이다. 사찰 문틀문양은 매우 장식적이고 대부분이 꽃장식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법당을 화려한 꽃살문으로 장식하는 것은 승려들이 생활하는 요사채의 문짝이 단순하고 겸손한 모습을 띠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렇게 사찰의 주요 전각을 화려한 꽃살문으로 장식하는 이유는 사찰의 문이 부처의 세계와 사바의 고통을 안고 사는 중생들의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고리서 ‘극락의 문’이라 하여 중생이 이승의 띠끌을 털고 극락의 세계로 들어가는 ‘경계(boundary)’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문을 통과한다는 의미는 또 다른 공간으로의 진입을 의미한다. 한 공간과 다른 공간과의 통로가 끝이며, 그렇기 때문에 문은 닫아 버리거나 열어버릴 수도 있으며 인접한 두 공간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도 있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꽃살문은 창살문에 꽃 모양을 아름답게 조각하여 살을 짜 넣은 것으로 일부 궁궐과 사찰 등 중요한 건축물에 쓰였다. 시기적으로는 조선시대 중기 이후부터 나타나는 형식으로 그 구성과 표현이 공예적이고 문양의 정교함과 단아함이 우리 민족의 심성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또한 정교하게 조각한 꽃살문의 섬세한 아름다움은 한국적인 미의 특성을 잘 나타 내주는 조형예술이다. 따라서 꽃살문은 미적인 측면이나 정신적 측면에서 볼 때 현대인에게 필요한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정서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 출처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현대적 감각에 맞춘 새로운 디자인의 소재를 꽃살문에서 구하였다. 우리 선조들의 생활문화 속에는 오랜 세월 쌓아온 삶의 지혜와 정취가 깃들여 있는데 생활 속에서 미의식과 정서를 표현해 낼 수 있는 발(簾)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생활도구로서 장식적이고 공예적인 요소를 지니고 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발은 여러 가지 양상으로 변화되어 우리 생활공간에 직․간접적, 靜的으로 예술적인 면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리 것을 찾기 위한 노력과 자연염색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이 인정되면서 더욱 선호도가 높아져가고 있다. 특히 수공예의 하나인 전통 발은 볕을 가리고 바람을 통하게 하면서도 명암의 차이로 집안을 훤히 들여다보이지 않게 하는 것에서 길상의 의미를 가진 그림이나 문자의 문양을 넣어 생활공간에 표현하는 장식적인 것까지 선조들의 지혜와 멋스러움을 아우르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 사회는 디자인이 세계를 지배한다고 할 만큼 모든 면에서 새롭고 개성 있는 디자인을 요구한다. 더불어 현대인이 정서적 안정을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한 가지 방법으로 정신적 쉼터를 제공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 이에 필자는 자연적인 아름다움과 상징적 의미를 지닌 꽃살문 중 연꽃이나 모란꽃, 국화꽃의 이미지를 개성 있고 창의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연구하였다. 본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사찰의 꽃살문에 나타난 꽃의 모티브는 현대적인 공예품, 즉 발, 가방, 모자, 구두와 의상의 코사지 등의 고급 공예품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딱딱한 나무로 만든 공예품보다 천을 사용한 꽃살문의 꽃문양은 소재가 부드러워서 역시 여성들이 애용하는 고급 장식 공예품으로 선호되기에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한국의 전통침선 기법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꽃문양으로 디자인한 공예품들은 현대적인 미의식과 결합하여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아름답고 예술성과 창의성이 뛰어났다. 넷째, 우리의 전통침선기법과 침선공예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생활공간에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하여 제작시간을 합리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다양한 제작기법들의 발전과 적용이 필요하다. 필자는 공간막이 발의 제작 과정 중에서 한정된 꽃살문만을 응용하였다. 이는 시간적인 제약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였고, 결국 제품의 다양화에 한계를 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더 많은 종류의 꽃살무늬와 소재, 기법 등을 응용한다면 꽃살문을 현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 더욱 다양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실용성과 꽃살문이라는 모티브의 강조로 작품표현에 있어 예술적인 면이 부족하였음을 인정하고, 예술적인 면을 더욱 살릴 수 있다면 더욱 고급화된 디자인으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raditional floral pattern of Korean Buddhist temple is an unique sculpture art considered as an essence of Buddhist art. The floral pattern had been applied on hall of main Buddha and other important buildings. Doorframe patterns of temples are mostly decorative and made of floral decoration. Decorating doorframe of main hall and other important buildings is comparative to that of living space monk which is simple and modest figure. The reason to decorate doorframe of important buildings with splendid floral pattern is derived from a consideration that the door of temple is a link between the world of Buddhas and the world of sentient beings who live in a life of suffering; in other words, it is deemed "a door of ultimate happiness" as "a boundary" with which sentient beings are removing their defilements and entering to the world of ultimate happiness. Passing through a door means an entrance to another space. Door is a path and ends of two spaces, hence it has duplicity manifested as connection and separation by opening and closing. Floral pattern was applied on lattice door of which frames were gorgeously carved in a shape of flowers, and utilized at important buildings of palace and temple. It is appeared from middle Choseon dynasty. It is properly expressing mental nature of Korean for its exquisite and graceful pattern and delicate composition. Exquisitely carved floral pattern's delicate beauty manifests a character of Korean beauty of formative arts. From the aesthetic and mental aspects, floral pattern can provide natural beauty and emotional serenity to contemporary people, and can be a decent source of design. In accordance with above reasons, we can find out a source of new design coping with contemporary sense from traditional floral pattern. Life culture of our ancestors contains wisdom and sentiment accumulated through long ages. Among them, Bal, a traditional draping screen which is able to express aesthetic sense and emotion in daily life, contains elements of decoration and folk craft, and also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 as a necessary artifact. The Bal has transformed in various figures and plays a role of expressing artistic aspect in our living space, directly, indirectly and quietly. Its preference is recently increasing for efforts to seek traditional culture, and for recognition for beauty and excellence of natural dyeing. Especially, traditional Bal, one of hand crafts, contains ancestor's wisdom and style with its basic utilities of blocking sunshine, ventilating winds, and screening inside of house by difference of light and shadow, and with its decorative aspect that expresses auspicious drawing pattern or letter in living space. Contemporary society requires new and distinctive design in every aspects as saying "design rules the world." Also, people of contemporary seek various ways for emotional composure, and they sometime create living environment supplying mental rest. Therefore, I researched floral pattern containing natural beauty and symbolic meaning, and among them, images of lotus, peony and chrysanthemum to be characteristic and creative designs. In this study, following points have been found out. Firstly, the flower motifs in floral pattern in traditional temple can be applied on contemporary high quality crafts, such as traditional screen, bag, hat, shoes, corsage of clothes and so on. Secondly, floral pattern on cloth would be preferable as high class decorative crafts for ladies, because of its softness than hard wooden crafts. Thirdly, various floral patterned design crafts with Korean traditional sewing are beautiful and excellent on artistry and creativity, enough to combine with contemporary aesthetic sense. Fourthly, there are so many possibilities to applying traditional sewing technique and sewing craft on living space. Various manufacturing techniques have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shortening manufacturing time reasonably. This study applied limited floral patterns on the procedure of manufacturing space screening Bal. It is because of great pressure of confined time, and it brings limitation of product variation. However, applying many more kinds of floral patterns, materials, techniques and so on, will make various methods to modernize. In this study, emphasis on practicality and motif of floral pattern is not enough to express its artistic aspect on the product. But, if its artistic aspect would be applied more, then we can generate high class design.
세계의 금융시장은 금융자유화와 금융겸업화 그리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국경 없는 경쟁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부실 금융회사들에 대한 구조조정과 자본시장의 재정비 등 금융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어 왔고, 국제화 시대에 발맞춘 금융시장의 다각화와 대형화는 금융시장을 질적 · 양적인 측면에서 성장시켰다. 이렇게 우리나라는 괄목할 만한 금융시장의 발전을 이뤄왔지만 금융산업 중 대형화 된 은행업, 보험업 부문 이외의 증권, 선물, 자산운용 등 자본시장 관련 금융산업의 발전은 미흡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산업간 불균형을 심화시켜 점차 국제화 되어가는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렸으며,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의 자본 조달이 위축되어 금융시장 전체에서 자본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하여 자본시장이 금융산업의 발전을 뒷받침 할 수 있게 하고 자본시장의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금융상품에 대한 포괄주의를 통해 새로운 상품 개발의 유도하고 금융기능별 규제, 금융투자회사의 겸영을 통해 업무범위의 확대시키고, 선진화된 투자자보호제도를 위해 자본시장법이 제정되게 된 것이다. 금융산업 중에서도 특히 증권시장은 공정성과 투명성의 확보가 증권시장의 목표라 할 만큼 가장 우선적으로 추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자본시장법의 제정목적에 있어서도 투자자 보호가 강화된 만큼 증권시장에 있어서도 투자자가 증권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가격을 믿고 투자할 수 있는 공정한 거래시장이 구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신종 불공정거래행위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불공정거래행위 중 특히 부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는 구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자본시장법 제178조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자본시장법이 기존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열거주의에서 포괄주의를 채택하면서 그 규제범위가 확대되었고 그 중에서도 자본시장법 제178조 제1항 제1호는 포괄적 규제조항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던 구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과 마찬가지로 그 규제의 대상을 부정한 수단, 계획 또는 기교를 사용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고, 제178조 제2항은 위계에 의한 부정거래행위를 규정하고 있는 바, 부정거래행위에 대한 포괄적 사기규제조항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자본시장법 제178조의 제1항 제1호는 구 증권거래법 제188조의4 제4항보다 보다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범위로 규정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어 그 범위와 한계를 해석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불공정거래에 대한 규제에 대한 연구를 위해 외국의 입법례와 구 증권거래법에서부터 자본시장법에 이르기 까지 포괄적 규제조항의 범위와 해석의 문제, 죄형법정주의와의 마찰, 보다 나아가 형법에서의 사기죄와의 비교를 통해 포괄적 사기규제조항으로서의 인정여부와 범위, 한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188-4 is a all-inclusive provision against all unfair transactions of securities. This provision was rarely used in the past, but the complicated market mechanism and artfully fraudulent behaviors these days need the active application of this anti-fraud rule.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178-1 have been regulated for all-inclusive anti-fraud provision after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Article 178 was enacted as a model U.S.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Rule 10b-5. The concept of "deceptive schemes" among the provisions in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188-4 and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178-1 especially, brings about controversies in the view of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no crime without a law)" for its over-broadness and vagueness. Unclear provisions can be confusing regulations. But the stock market continues to change, and new crime has occurred.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particular securities fraud. But by enumerating all the criminal law is difficult to define. So all-inclusive provision is necessary. In this paper, Analysis of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178-1 trillion to the terms and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sine lege”, the principle of legality not contrary to the sedentary. To fill the vacuum of regulation and secondary role as a provision is considered to be. So a review of history and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 and scope were studied.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방안 연구
자본시장에서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는 이유는 시장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하고 복잡한 불공정거래행위를 모두 포섭하기 위해 포괄주의를 채택한 자본시장법이 제정되면서 규제의 범위가 확대되었으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수사체계와 제재수단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여전하다. 현행 수사체계에서는 사건 초기에 적법한 증거확보가 힘들고, 수사기관에 고발되고 수사절차가 진행되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등 사건의 신속한 적발과 처리에 장애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보다 효율적인 수사체계를 갖추고, 불공정거래행위 방지를 위한 처벌과 제재수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자본시장법에서는 전통적인 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인 내부자거래, 시세조종, 기타 부정거래행위에 대한 규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불공정거래에 대한 제재는 형사처벌에만 집중되어 있고, 금전적 제재수단이 없기 때문에 위반행위의 억제력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 자본시장법의 개정으로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규제가 도입되면서 불공정거래행위의 일부분에 대한 과징금의 부과가 가능해졌으나, 기존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 확대의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내부자거래, 시세조종행위 등 기존의 전형적인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현황과 유형을 살펴보고, 불공정거래 규제기관의 중복 및 수사절차상의 문제 등 전반적인 규제체계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미국, 일본, 영국 등 각국의 불공정거래 규제체계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개선방향을 고찰해 본다. 공정거래법과 자본시장법상 공시규제에 대한 과징금의 운용실태를 비교·고찰하고, 이와 더불어 미국의 민사금전벌, 일본과 프랑스의 과징금, 영국의 금전제재금 등 각국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금전적 제재에 관한 입법례를 통해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과징금 부과의 타당성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과징금 부과방안과 더불어 과징금 부과주체의 재량권 행사문제, 과징금의 부과절차, 징수된 과징금의 활용방안까지 제시한다. World financial markets are changing and developing to the competitive market without border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financial information technology. Global financial markets are becoming increasingly intertwined under the influence with the flow of capital, and Korea is no exception. In order to adapt for changing financial circumstances, Korea enacted the Act on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in 2007 to bring the revitalization and competitiveness of capital markets. In the capital market,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market must be ensured, and protection of investors should be the first priority. Thus, the unfair trade practices are regulated to ens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market. In the capital market, unfair trading such as manipulation and insider trading is serious criminal offense which should be dealt with criminal penalty. However, there are serious problems in the investigative procedure for these crimes. For example, it takes too much time to be the admissible evidences collected by administrative agencies in criminal trial because of administrative procedure. When reforming the investigative procedure, we have to consider these problems. I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regulatory system is operating against traditional unfair trade act such as market manipulation, insider trading and other trafficking act. However, sanctions for the current unfair trade has been concentrated only in the criminal penalties. Since there is no monetary sanction, the deterrence of violations has not been properly executed. In the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in 2014, the regulations on ‘Market Abuse’ are introduced. Even though it became possible to impose penalty for the part of unfair trade act, large demand to the expansions of penalty against the existing unfair trade act still remains. Therefore we present a scheme for imposing fines against typical unfair trade act such as market manipulation and insider trad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types of unfair trade acts on the capital market law are studied, and the problems of the overall regulatory system, such as unfair trade redundancy of regulatory agencies and the investigation procedural issues are examined. In addition, it is tri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unfair trade regulations of each country, e.g., United States, Japan, UK and etc. The comparative disclosures for operating status of the monetary sanction on Fair Trade Act and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are studied. In addition, adequacy of monetary sanctions imposition against unfair trade practices derived by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ct is deducted through examples of legislation in other countries, such as civil money penalties in US, monetary sanctions in Japan and France and financial penalties in UK. Finally, in addition to specific penalties imposition draft of unfair trade act, exercise of discretionary authority from monetary sanctions charged subject, imposition procedure of monetary sanctions, application plan for collected monetary sanctions are presented.
Paul Hindemith의 ludus tonalis연구 : 다음악적 기교와 그분석
신경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79 국내석사
Early, the young Hindemith completed decomposition of applied harmony in contact with the field of tone in impressionism and he released tension of tone from connection of Chord. As he aimed at a new structure of chord, he very sharply challenged to the trend of romanticism since the movement of the neomusic to deny the romanticism occurred, although there was a strong influence of the later romanticists and impressionists. Since the fame of Hindemith, the young man of neomisic spread all over Germany, it is likely felt by us that these have been a strong trend of neoclassicism which is not atonality likely being atonality and is far away from melody that has a deep disonant chords on top of the counterpuntal form in the style of New Baroque. In Ludus tonalis so called as a masterpiece of Hindemith, a strictness of polyphony trait and unconditional composition, and we came to know the reason to call as Collection of Well-tempered Clavichord of the 20th Century as the abatment of conchord can be compared with the later works of Johann Sebstian Bach. Through his whole tune we can find many of characters, especially just same as the other works tonality of old major and minor but it is not less than that of Collection of Well tempered Clavichord of Bach. And as possibilities to perform the piano are widely prepared in this tune, we can easily find form of tender Pastoral, keen Scherzo, precious Waltz and unrealistic March. Even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very music composer shall take it as a stimulation into reviewing a new composition and style and it is considered if we have to raise our desire to use a technique which may give a new feeling to us.
신경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06 국내석사
지난 반세기동안 한.미 양국은 굳건한 동반자로서 동맹관계를 맺어왔다. 198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미국은 한국 국민에게 있어, 가장 좋아하는 나라이며 한국 경제발전의 선구자로 인식되어온 우방국이었다. 그러나 1980년 광주 민주화항쟁을 시발점으로 점증 되어진 한국의 반미정서는 2002년 여중생 사망사건을 계기로 심화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반미 현상을 분석하고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사회에 다원화된 반미현상의 요인 분석 결과, 한국 내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한.미 사건에 대한 미국정부의 부적절한 대응과 일방주의에서 기인한 종속적이고 불평등한 한. 미 관계가 반미 현상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대칭적인 한. 미 관계에 대한 개선 요구로 국력의 성장과 함께 한미관계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자연발생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미에는 잘못된 한미관계에 대한 개정 요구와 같은 필요한 반미가 있다. 그러나 민족공조와 미군철수를 외치는 이데올로기적 반미운동은 그것이 자주적 반미라 할지라도 한국의 안보전략인 한미동맹을 훼손시키는 반미운동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미의 바람직한 판단 기준은 먼저 국익에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에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다. 최근, 북한의 대포동2호 미사일 위기와 일본의 군사강국화, 중국 등 주변 국가들의 대응적 군비증강은 동아시아 정세를 군사적 대립국면으로 치닫게 하고 있다. 자주국방이 불가능한 한국의 전략적 안보장치는 초강대국인 미국과의 굳건한 동맹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것이 한국안보의 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안보현실을 생각할 때 반미현상의 접근방식에 있어서도 국익에 우선한 접근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한미동맹 성격 변화와 점진적 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방안 모색과 둘째, 미국의 신방위 전략에 대한 전략적 대처 셋째, 한미동맹의 새로운 정립과 발전으로 국익을 위한 실리외교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maintained alliance as firm partners for half a century. Before the 1980s, the United States was a friendly country considered to be most preferred by Korean people and a pioneer in development of Korean economy. Since 5.18 Gwangju pro-Democracy Movement occurred in 1980 and two middle school girls were killed by U.S soldiers in 2002, however, anti-American sentiment has deepened in Korean society, which has changed recognition toward the United States negatively. This study purposed to develope the South Korea-U.S alliance or Korean strategical choice by drawing decision factor of anti-American sentiment and examining its effects on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approaches giving priority to national benefits. Accordingly, the result of analyzing factors of pluralized anti-American sentiment in Korea revealed that it was caused by the U.S government's improper correspondence to crimes of American soldiers which have frequently occurred in Korea and a demand for improvement of subordinate and unjust Korea-U.S relationship which resulted from the unilateralism of the United States. That is, anti-Americanism is a natural phenomenon driven by advancement of national power and changes in recognition toward the United States. Anti-Americanism is needed in case that it is a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wrong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U.S. However, as anti-Americanism in Korea driven by a number of young generation and progressive groups is a claim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withdrawal of the U.S army, anti-Americanism in Korea is not desirable even though it is independent. That is why it damages the South Korea-U.S alliance, the security measures of Korea. As North Korea has fired Daepodong-2 missile recently, Northeast Asia has run up military confrontation and military strain has risen. Under two phas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and North Korea-U.S relationship, North Korea threats other countries with nuclear arms, Japanese military power is strengthened thanks to consolidation of the U.S-Japan military alliance, and adjacent countries including China increase armaments to deal with the threat. In this point of time, South Korea, which can defend itself independently, has no means for security but the firm South Korea-U.S alliance. In judging anti-Americanism, it is desirable to place the standards on whether it turns to the country's profit or causes a loss to the country. Additionally, it is demanded to prepare approaches giving priority to national benefit. This thesis pres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olicy as such approaches. First, it is needed to change the propertie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settle it gradually. Second, Korea must strategically deal with a new defence strategy of the U.S. Third, a strong leadership is requested to strengthen practical diplomacy. In these ways, Korea must cop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단기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 연구의 주목적은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단기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강보건 지식과 행위 및 구강건강증진의 효과를 검증하며, 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성장에 필요한 많은 운동량으로 인해 탄수화물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어 우식 발생률이 매우 높고, 구취현상이 나타나며, 사춘기성 치은염과 흡연으로 인한 치주질환이 진전되는 시기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강보건교육과 관리를 통해 구강건강행위를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고등학생들에게 구강만을 위한 교육시간이 할애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건교육시간의 일부를 활용하여 단기구강보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단기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나타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단기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구강보건행동유발과정모형’을 참고로 개발하였다. 특히, 보건복지부가 제안한 고등학생 구강보건교육 내용 중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부정교합, 기타 구강병 예방, 흡연과 구강건강을 기본 내용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M고등학교 남·여 학생 85명을 대상으로 준실험설계에 의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위한 심층면담을 병행하여 혼합연구를 진행하였다. 적용과 효과검증을 위한 전 과정은 실험윤리 위원회의 심사(KHUSD IRB1103-01)를 거쳐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구강보건 지식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향상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세부항목 분석에서 잇솔질, 잇솔선택, 구강병 예방, 불소, 영양 및 구강보호장치 착용 등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구강보건 행위의 전반적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정기검진과 치실사용의 변화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구강건강증진도의 효과에서 처치영구치지수(FT index)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간이구강환경지수(S-PHP)는 1회기부터 5회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차 낮아졌으나, 구강보건교육을 시작한 뒤 5개월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에서는 다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지역사회치주요양필요지수(CPITN)의 변화는 교육의 회기를 거듭할수록 다소 낮아졌으나, 회기별 점수변화에 대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여섯째, 학습자들의 교육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교육자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교육방법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효율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지식의 전달보다 행위의 변화를 요구하는 교육목표를 강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구강보건 행위의 회귀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고등학생 연령단계별 구강발달 특성상 치석제거 등 치면세마와 관련된 교육내용이 심화내용으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와 그 함의점들은 고등학생들의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과 자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에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short-term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oral health for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ir knowledge, behaviors, and its effectiveness in oral health promotion, and to examine their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In adolescence it tends to take excessive carbohydrates due to exercises for growth, so there seems to be the high incidences of dental caries, the appearances of gingivitis and bad breaths, and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s for reckless smokings. To prevent all those, improving oral health behaviors through the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is critically demanded. Particularly, it is thought to be very efficient to steadily utilize such a short-term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s a part of health education in school, in considering that the oral health education alone cannot be allot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spend most of times at school, under the school health system in this country. This study, thus, is designed to develop the short-term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ultimately,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icacy through its application. The short-term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had been developed with reference to 'Learning Ladder Model for Oral Health'. In particular, it was basically consisted of such contents as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malocclusion, oral infection, prevention of oral disease, smoking and the oral health, all of which are propo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pplying the developed program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he mixed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as administered to the 85 male and female students of M High School at Nowon-Gu District in Seoul. The entire process for verifying its application and its effectiveness was conducted in May-Octorber 2010 by the examination with the Experimental Ethics Committee (KHUSD IRB1103-01).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as a whole was found as its scores were improved, and its level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statistics, after performing the educ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items as tooth-brushing, brush selection, prevention of oral disease, fluoride, nutrition and mouthguard statistically. There, however, was not significant in statistics, even except on the regular checkups and the usage of dental floss. Third, the oral health promotion level through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ermanent effects of index (FT index). Fourth, the effect of S-PHP index was gradually decreased in statistics from the first to the fifth session, but, after five months ever since the oral health education, it seemed relatively higher in the next sessions. Fifth, the change of CPITN level was more and more decreased by repeating educ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for each session. And sixth, the satisfaction ratings were revealed in relatively high, showing the highest in educator's capabilities, and the lowest in teaching method. Taken together all those results, the behavior-change objectives would be rather developed than the knowledge-based objectives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i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for the oral health education to be in force efficiently. In addition, the repeated education for tooth-brushing instruction should be focused on for preventing from returning to the old behaviors, with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Furthermore, in considering of the stage of high school student age due to the nature of their oral growth, such an educational content as plaque removal or prophylaxis should be included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for them, in order to promote its deeper effects. This study, therefore, seems to have its significance, provi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s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rther systematic materials on oral health educ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문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태도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전문적 능력과 태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이 이루어졌다. 하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영향, 즉 독립변수의 주효과이고, 또 다른 하나는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하위변인들에 의해 달라질 것인가에 관한 내용이다. 전문적 능력의 하위변인은 전문적 발달을 위한 지식과 기술, 조직 측면의 지식과 기술, 서비스전달체계 측면의 지식과 기술, 기본적 대인관계기술, 개입을 위한 기술이고, 전문적 태도의 하위변인은 주요한 준거로서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소명의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사회복지 관련 기관과 시설 및 공공기간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비확률 표본추출방법인 임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대상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였고, 총 500부를 배부하여 468부를 수거하였으며, 이중 444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외에 인터뷰를 하였는데 10명의 사회복지사가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위해 빈도분석과 평균분석 등의 기술적 통계분석, t-test와 ANOVA 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인과적 회귀 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 인터뷰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결혼 유무, 종교, 학력, 근무경력, 고용형태, 기관주체, 이직경험여부, 급여, 근무기관유형에 따라서 이직의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50대 이상의 사회복지사보다 30대의 사회복지사가 이직의도가 높았고, 미혼이 결혼보다 높았고, 학력은 낮을수록 사회복지공무원이 사회복지법인, 비영리법인, 개인시설의 사회복지사보다 이직의도가 높았고, 급여수준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개입을 위한 지식 기술’과 ‘자율성’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증가 시키고, ‘자기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직접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조직측면의 지식과 기술’, ‘전문조직활용’, ‘자기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통하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기본적인 대인관계 기술’과 ‘자율성’은 직무만족도를 통하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적 능력과 전문적 태도가 이직의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효과는 전문적 태도의 효과가 전문적 능력의 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적으로 전문적 능력과 전문적 태도의 이직의도에 직접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매개를 통한 간접효과는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이 커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전문적 능력과 태도를 증가시키는 방안과 더불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전문적 능력과 태도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ompetence and Attitude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young-hee, Shin Major in Public Admin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how professional abilities and attitudes of social workers influence directly on turnover intentions and investigateif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and attitudes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s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abilities and attitude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professional abilities and attitudes influence turnover intentions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random sampling, a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mong social welfare agencies and facilities as well as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public offices in Gyeonggi Province. The field research was done from April 1, 2017 till April 20, 2017. Questionnaires,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6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them, 444 sample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en social welfare workers were conduc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which is a non - random sampling method, for social welfare agencies and facilities in Gyeonggi - do and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The survey period ranged from April 1, 2017 to April 20, and the total of 500 copies was collected and 468 copies were collected. 44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addition to these interviews, ten social workers participated. To analyze data, I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of SPSS 21.0. For the goal of this study, I conducted such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s frequency analysis and mean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aus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interview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for the investigation of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s motivat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shows that a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s varied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work experience, employment type, type of institution, turnover experience, salary, and the type of working organizations. In other words, social welfare workers aged over 50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s than those in their 30s, and single higher than married. For those who had the lower level of education, social welfare public officers have the higher degree of turnover intentions than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on-profit corporations, and privat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urnover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work experience, employment type, institutional subject, turnover experience, salary,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more than 30 social worker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s than unmarried persons, and social welfare officers were more likely to quit than non - profit corporations and social workers of private facilities, The lower the salary level,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knowledge skill and autonomy for intervention of social workers increased directly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their vocation decreased the turnover intention directly. Third, social worker 's ‘knowledge and skills of organizational organization side,' 'the us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a sense of calling for their vocation decreased job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utonomy' and human relation skills were foun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rofessional attitude directly or indirectly on turnover intention was disclosed the latter greater than the former. Fifth, the direc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s of professional ability and professional attitude as a whole has a positive (+) effect, bu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resulted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ncrease professional competence and attitude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ways to increase professional competence and attitude that directly affect turnover intentions. It ends with its implications and proposal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Key words: social worker,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competence, professional attitud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빅터 프랭클(Viktor E. Frankl)의 삶의 의미론의 관점에서 고통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 교육에 주는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랭클이 삶의 의미론을 정립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고통이 종교적·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되어 왔으며, 현대사회에서 겪고 있는 고통의 원인들과 문제 상황들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삶의 의미론의 기본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그의 인간상을 이해한다. 넷째, 프랭클의 삶의 의미론의 관점에서 고통의 의미를 이해한다. 다섯째, 고통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한다. 이러한 목적과 내용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와 『삶의 의미를 찾아서』와 같은 주요 저서들을 중심으로 단행본,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 등의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활용하였으며, 고통의 개념과 종교적·철학적 해석도 단행본 및 학술논문 등의 문헌자료를 근거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프랭클은 의지의 자유, 의미에의 의지, 삶의 의미 이 세 가지의 기본원리들을 전제로 인간을 이해한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존재의 의미가 결코 정해져 있지 않으며,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의지에 따라 스스로 삶을 재창조하고 발전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것은 인간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결정할 수 있는 의지의 자유와 의미를 찾고자 하는 의지로 삶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처럼 삶의 모든 순간에 의미가 있다면, 고통의 상황에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프랭클의 삶의 의미론의 관점에서 고통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고통은 일상적인 삶 속에서 자신을 각성하게 한다. 둘째, 고통은 고통에 맞서는 태도를 통해 영적 성장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셋째, 고통은 더 이상 부정적인 회피의 대상이 아닌 삶의 의미를 충족시켜주는 기회이다. 넷째,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은 공동체의 연대와 사회의 새로운 문화 창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통에 대한 이해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삶의 발전을 위한 교육적 성장을 이끌어 내는 계기로서 고통은 의미가 있다. 고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교육적 분위기 속에서 그동안 교육이 간과하고 있었던 삶의 의미 발견을 통한 영적(정신적) 성장을 교육목표로 재고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오늘날의 교육적 한계를 극복하며 자신이 겪는 고통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하여 영적(정신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하나의 실천적 방안으로 철학상담은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방법으로서 철학상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철학적 사유’의 방식은 교육현장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프랭클의 삶의 의미론을 실천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빅터 프랭클의 삶의 의미론과 고통에 대한 이해는 그동안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극복하고 교육의 새로운 목표와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앞으로 그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고통의 의미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pain from the perspective of Viktor Frankl's Meaning of Life and to reveal the implications for today's education.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how Frankl has developed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e analysis proceeded to uncover how pain has been interpreted from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how it is reproduced in modern society today. Third, we identified the basic principles of meaning of life and the human image behind it. Fourth, after understanding the Frankl’s Meaning of Life, we contemplated on the meaning of pain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 of Life. Fifth,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ain was presented. In terms of the data, this study reviewed available literature, including major works by Viktor Frankl, including his books, theses, and academic papers. Viktor Frankl understands human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oncepts: freedom of will, will to meaning, and meaning in life. According to Frankl, human beings are just ‘given’ to the world, but have unlimited potential and are open-ended creatures who can make their own existential decisions in accordance with their freedom and responsibility in a given situa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of the presence of will to find the meaning in their lives. The meaning in life exists under any circumstances. If everything in life is meaningful, it can be found even in moments of pain. In terms of Viktor Frankl's Meaning of Life, pain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pain awakens human beings in everyday life. Second, pain enables mental improvement by letting human beings confront it. Third, pain makes us realize the meaning of life. Pain is no longer the subject of negative avoidance, but an opportunity to find the meaning of life. Fourth, empathy for the pain of others may enable the maintenance of a community and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in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pain in Frankl's Meaning of Life ha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pain is meaningful as an opportunity to lead to educational growth for the development of life. This suggests that mental improvement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meaning of life, which has thus far has been overlooked in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as an educational goal in an educational atmosphere to accept pain as it is. Second,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practical way to overcome today's educational limits and to identify the true meaning of one’s pain and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and achieve mental improvement. The methods of 'conversation' and 'philosophical reasoning' in philosophy counseling are specific methods applicable to educational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