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 개발

        송낙현,정인수,이찬식,Song, Nak-Hyun,Jung, In-Su,Lee,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 No.3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350만 세대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될 전망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주차장확대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사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차장확대 중 지하주차장에서 공동주택의 주동으로 진입하는 방법(이하 '주동진입방법'이라고 함)은 기존 엘리베이터의 수직 확장, 주차공간의 대소, 공사기간과 공사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확대 시 단지특성, 주동과 주차장의 연계성, 주민의 요구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 없이 경험적인 방법으로 주동진입방법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주동진입방법을 선정하여 지하주차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차장확대 방식과 주동진입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주동진입방법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영향요인은 시공성, 편의성, 경제성이 도출되었다. 그 후 AHP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영향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 결과 편의성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아 주동 진입방법 선정에 제일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밝혔다. 또 리모델링이 가능한 단지를 선정하여 주동진입방법별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후 단지에 가장 적합한 주동진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that are over 20 years old will rapidly increase to more than 3,500,000. Consequently, the remodeling of these buildings is being revitalize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 requirements for such remodeling, the expansion of parking lots has considerable weight.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the access route from an underground floor to the main building (i.e.,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vertical enlargement for elevators, the size of the parking lo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expenses, etc.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the access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parking lot, as well as the inhabitants' requirements for entering the main building, are generally determined based on the designer's experience, rather than on the exact estim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complex.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systematic and rational method is needed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In this study, a selection model is derived for the method of selecting an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order to provid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A research method was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the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On the basis of research carried ou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access route were deduced. The affecting factors selected were construction efficiency, convenienc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Weight values were then estimated for the selected affecting factors by applying the AHP method. Results showed that convenience efficiency, which gained the highest valu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The most suitabl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as also suggested after estim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ite by selecting complexes with remodeling possibility.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cularly for older apartment complexes.

      • 항공라이다 데이터로부터 MDL 원리를 이용한 수목의 위치 추정

        송낙현(Song, Nakhyeon),조우석(Cho, Woosug),손건호(Sohn, Gunho),노명종(Noh, Myoung-Jong),박준구(Park, Junku) 한국측량학회 201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4

        A reliable and accurate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s provides a wide range of canopy-related applications such as urban green and forest inventory management. Traditionally, individual tree attributes including position, height, DBH, upper diameter, height of crown base, species, age, biomass and LAI are measured in the field, which is, however, time-consuming, costly and has limited coverage. Recently, airborne LiDAR successfully demonstrates its great potential of detailed modeling of 3D single trees. However, the automation of single tree extrac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has shown its limited success under constrained environments. This paper presents a local transect analysis based on Minimum Description Length (MDL) principle as an efficient method to estimate position of individual trees from airborne LiDAR data. The MDL criterion based on a parabola model is used to merge initial neighborhood maxima.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presented method has high probability of estimation of individual tree position in highly overlapped white pine trees.

      • KCI등재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 개발

        송낙현(Song, Nakhyun),장민수(Jang, Minsoo),김정은(Kim, Jeongeu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학습자 중심의 교육, 원격교육 활성화 등 초중등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 흥미 및 동기 유발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교수학습 자료로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좋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자 및 교원 등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공인된 연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미래형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교육수요자가 만족하는 교과서개발이 가능하도록 전문성을 함양한 교과서 개발 전문 인재의 양성을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연구기관 등에 산재(散在)된 교과서 관련 연수교육과정의 표준안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관련 연수 교육과정으로서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설문조사, FGI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교과서 유형별 개발과정의 이해’, ‘교과서 개발 기획’, ‘교과서 체제 구성’, ‘교과서 집필의 실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3개의 각 영역별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도출하였다.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함으로써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이 펼쳐질 것이며,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ch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revit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educational demands for learning interest and motiv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are increasing.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can be said to be basic guides for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despite the need for systematic and accredited training for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good textbooks, such opportunities are lacking. Accordingly,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future-oriented curriculum, training courses related to textbooks scattered across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he process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 plan for the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 for textbook developers to manage the quality of textbooks as a textbook training curriculum for textbook develop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survey, and FGI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of using the research method, the four types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for each textbook type’, ‘textbook development planning’, ‘textbook system composition’, and ‘textbook writing practice’ Classified into domains, a total of 23 textbook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s for each domain were derived. By developing a standard for the textbook cyber training center training program, it is expected that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creat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igh-quality textbooks, and the competence of textbook developers will be strengthened.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 인력양성 사업에 대한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

        송낙현(Song Nakhyun),박윤희(Park Yoonhee),임수원(Yim Suwon),정동훈(Jung Donghu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대상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197명, 훈련기관 담당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인식 분석 및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는 해당 사업이 학생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취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되며, 학생들의 신기술 역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전공능력, 진로 및 성장경로 설계 수준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사업운영의 한계로 교사는 행정지원, 업무 부담, 훈련기관 담당자는 학생들의 수준 고려와 흥미 유발 촉진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분석 결과로, 고교 졸업 후 좋은 기업으로의 취업, 미래유망분야 인재 양성, 학교-훈련기관-기업 간 협력 강화, 그리고 학생의 중장기적 성장경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의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training institution managers about the training program of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ne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197 teachers and 69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ward, the perceptions of both teachers and managers was analyzed, and need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ere derived using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managers respond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o students,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and strengthening new technology capabilities.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responded that their major ability, career path design level had changed positively. Third, as the limitation of program operation, the increased work burden due to administrative support by teachers and the facilitating of students interest by managers were suggested. Finally, as a result of needs analysi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employment at a good compan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high schools, institutions, and companies, and mid-to long-term growth paths for stud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program were presented.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산업체 경력 수준에 따른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인식

        송낙현(Nakhyun Song),장민수(Minsoo Jang),김정은(Jeongeu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교사의 산업체 경력 수준에 따른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등을 활용하여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 교사는 전반적으로 산업체 경력수준과 무관하게 산업분야별 현장직무연수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직무연수 참여 의사는 산업체 경력 수준이 낮거나 없는 전문교과 교사일수록 신기술 분야, ‘현행 교육과정 전공 실무역량 제고’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장직무연수 운영에 대해 Bottom-up 방식 개설, 학교 교육과정 매칭, 학과 개편 등에 따른 학과 세부전공 역량 제고, 부전공 분야 전공실무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등에 따른 전공실무역량 제고에 대해서 산업체 경력이 없는 교사, 저경력 교사가 중경력 및 고경력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경력 교사와 산업체 경력이 없는 교사의 경우 타 집단에 비해 ‘연수과정과 산업체 현장과 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전문교과 교사 모두 현장직무연수를 OJT, S-OJT 등 산업체 연계 기반연수로 개선하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교과 교사들은 현장직무연수 참여 장애요인을 ‘대체인력 수급 부족’, ‘담당업무 차질’, ‘담임교사 부재로 인한 학급운영 공백’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중경력 및 고경력 교사의 경우 ‘학교 관리자의 반대’를 장애 요인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ield 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industry career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field job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generally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field job training by industry sector regardless of the level of experience in the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ield training was higher in the field of new technology, ‘improving the practical competency of the current curriculum major’, as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with low or no industry experience level. Second, teachers without industry experience and low-experience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Bottom-up method, school curriculum matching, department reorganization, training to improve major competency in minor fields, and national-level curriculum revis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w-career teachers and teachers without industry experience, it was recognized that ‘connection with the training process and the industry field’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Third, it was found that all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were importantly aware of improving field job training to industry-linked base training such as OJT and S-OJT. Fourth, teachers in professional subjects responded to the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field work training in the order of ‘lack of supply and demand of substitute manpower’, ‘disaster of work in charge’, and ‘vacancies in classroom operation due to absence of homeroom teacher’.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middle and high careers did not recognize ’school administrators’ objections as obstacles.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원양성 경로별 현장직무연수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분석

        송낙현(Nakhyun Song),장민수(Minsoo Jang),김정은(Jeongeu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의 목적은 기술과 산업환경변화와 함께 전문교과 교원의 전공 분야 실무능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전문교과 교원 양성경로에 따라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필요성과 참여의사, 운영, 및 개선 등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토대로 현장직무연수 인식에 대한 조사도구를 3개 영역 13개 문항으로 개발하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 14,754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으로 4일간 진행하였으며 총 6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문항별 기술통계분석, 문항별 신뢰도 분석 및 교원양성경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의 교원양성경로별 모든 집단에서 현장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기술분야’ 현장직무연수의 필요성, ‘산업체 실무 경험이 없는 교원의 실무역량 제고’ 에 대한 현장직무연수 참여 의사, ‘단기 연수(1주일 내외)’ 참여 의사는 교원양성 경로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 개설 수요조사 등의 운영은 기존 Top-down방식에서 Bottom-up방식으로 개선 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가 교원들의 전공 수준 및 생애단계별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수로 개선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경우 교수자로서의 전문성과 더불어 전공분야의 실무를 지도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문교과 교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생애단계별 연수 개설 및 운영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operation, and improvement, as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practical skills in major fields became important along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tool on the recognition of field job training was developed into 13 questions in 3 area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feasibility review,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754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or 4 days, and a total of 67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a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each item,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item, and teacher training path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groups by teacher training paths of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recognized that field job training w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new technology"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ield job training for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of teachers without practical experience in industrial compani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hort-term training (about a wee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 training paths. Secon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ave a high demand to improve their operation from the existing top-down method to the bottom-up method. Thir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ope that field job training will be improved to a more systematic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major level and factors by life stage. In the case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y have the expertise as instructors and the specificity of guiding the practice of their major field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for professional and systematic life-stage training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저경력 교사의 고교학점제 개념 및 운영에 대한 인식

        송낙현(Nakhyun Song)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저경력 교사들이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에 터하여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저경력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개념은 적정하며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제공, 융합인재로의 성장, 진로 및 취업경로 중심의 과목선택과 학생중심 교육과정, 진로탐색과 체험의 활성화 등의 의미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고교유형별 학점제의 순차적 도입은 적정하며,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와 준비과정, 교원연수의 우선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기반 교육과정은 자율적이고 다양한 운영, 학교 밖 교육의 활성화, 세부전공과 융합형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다만, 교사들은 학교 밖 교육에 대해서는 학생 안전사고 및 책임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미이수제의 도입은 책임교육과 기초학력 보정차원에서 적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직업계고등학교의 학점제 인프라 구축은 실습실 재구조화 및 타고교와의 시설 공유, 학점제 전담교사와 진로 및 취업 코디네이팅 교사(가칭)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1교사 다과목 수업 지도는 필요하나 교사의 업무 부담 가중을 우려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with low experie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s perceive the concept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appropriate and was recognized as the meaning of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for learning experience, growing as a convergent talent, selecting courses centered on career and employment paths,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activating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Second, the sequential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for each type of high school was appropriate, and it was recognized that priority support for school members consensus, preparation process, and teacher training was necessary. Thi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based curriculum was highly recognized for autonomous and diverse operation, revitalization of out-of-school education, and sub-major and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teachers had a burden of student safety accidents and responsibility for out-of-school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F credits was recognized as appropriate in terms of responsible education and correction of basic academic ability. Fourth, it was recogni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redit system infrastructure of vocational high schools required restructuring of the practice room, sharing facilities with other schools, and the placement of a dedicated teacher in charge of the credit system and a career and employment coordinating teacher(tentative name). A teacher needed instruction in several subjects, but was concerned about the increased burden on the teacher s work.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원 및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

        송낙현(Nak-Hyun Song),정동열(Dong-yul Jung),조정윤(Jeong-Yoon Cho)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에 대해 교원과 학생이 인식하는 성과와 개선 사항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디. 첫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전반적인 인력양성에 대한 인식, 운영 성과, 교육과정 운영, 학생 진로 및 성장 지원, 교원의 전문성 제고 등에 대해서 성과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인력양성에서의 학생 지원, 인력양성의 만족도 및 학생 자신의 변화 부문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력양성 과정에 참여한 학생의 변화로 신기술 분야 기초 및 실무 등에 대한 전공역량이 높아졌고, 신기술 분야에 대한 직업 선택과 취업 등에 대한 진로개발, 전공분야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지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으로 각 부문별 1순위로 인력양성의 목적 설정은 신기술 분야 실무학습, 인력양성의 차별화는 다양한 형태의 일기반 학습 시행, 인력양성의 양적 확대 개선은 신기술 분야의 확대, 질적 확대 개선 사항은 신기술 분야 산업체 등과 협업 확대, 운영 개선으로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사항으로는 인력양성에 대한 기대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다. 학생들이 제시한 구체적인 개선사항으로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을 위해 학생중심 및 실무중심의 수업 운영, 신기술 분야 산업체 취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and improvement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manpower training, operational performance, curriculum operation, student career and growth support, and enhancement of teacher expertise.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student support, satisfaction, and student s own change as above average level. On the other hand, students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willingness in major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in new technology fields, and learning in major fields. Third, with the improvement recognized by teachers, the purpose of manpower nurturing was practical learning in the new technology field, differentiation was various types of work-based learning, the expansion of manpower nurturing was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operational improvement was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Fourth, as improvement items, students suggested the operation of student-centered and practical-oriented class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various information provis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 in industri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