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 개발

        송낙현(Song, Nakhyun),장민수(Jang, Minsoo),김정은(Kim, Jeongeu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학습자 중심의 교육, 원격교육 활성화 등 초중등교육 전반에 걸친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 흥미 및 동기 유발에 대한 교육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교과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교수학습 자료로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좋은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개발자 및 교원 등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공인된 연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미래형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교육수요자가 만족하는 교과서개발이 가능하도록 전문성을 함양한 교과서 개발 전문 인재의 양성을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청, 교육연구기관 등에 산재(散在)된 교과서 관련 연수교육과정의 표준안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교과서 관련 연수 교육과정으로서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설문조사, FGI 연구방법을 활용한 결과, ’교과서 유형별 개발과정의 이해’, ‘교과서 개발 기획’, ‘교과서 체제 구성’, ‘교과서 집필의 실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총 23개의 각 영역별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도출하였다. 교과서 사이버연수원 연수 프로그램의 표준안을 개발함으로써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과 보급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조성이 펼쳐질 것이며,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uch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revitalization of remote education, educational demands for learning interest and motiv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are increasing. Textbooks are the most basic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can be said to be basic guides for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despite the need for systematic and accredited training for textbook developers and teachers in order to develop good textbooks, such opportunities are lacking. Accordingly,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future-oriented curriculum, training courses related to textbooks scattered across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the process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 plan for the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 for textbook developers to manage the quality of textbooks as a textbook training curriculum for textbook develop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alysis, survey, and FGI research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of using the research method, the four types of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process for each textbook type’, ‘textbook development planning’, ‘textbook system composition’, and ‘textbook writing practice’ Classified into domains, a total of 23 textbook cyber training institute training programs for each domain were derived. By developing a standard for the textbook cyber training center training program, it is expected that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nvironment will be created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high-quality textbooks, and the competence of textbook developers will be strengthened.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산업체 경력 수준에 따른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인식

        송낙현(Nakhyun Song),장민수(Minsoo Jang),김정은(Jeongeu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교사의 산업체 경력 수준에 따른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등을 활용하여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 교사는 전반적으로 산업체 경력수준과 무관하게 산업분야별 현장직무연수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직무연수 참여 의사는 산업체 경력 수준이 낮거나 없는 전문교과 교사일수록 신기술 분야, ‘현행 교육과정 전공 실무역량 제고’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장직무연수 운영에 대해 Bottom-up 방식 개설, 학교 교육과정 매칭, 학과 개편 등에 따른 학과 세부전공 역량 제고, 부전공 분야 전공실무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등에 따른 전공실무역량 제고에 대해서 산업체 경력이 없는 교사, 저경력 교사가 중경력 및 고경력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경력 교사와 산업체 경력이 없는 교사의 경우 타 집단에 비해 ‘연수과정과 산업체 현장과 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전문교과 교사 모두 현장직무연수를 OJT, S-OJT 등 산업체 연계 기반연수로 개선하는 것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교과 교사들은 현장직무연수 참여 장애요인을 ‘대체인력 수급 부족’, ‘담당업무 차질’, ‘담임교사 부재로 인한 학급운영 공백’ 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반면, 중경력 및 고경력 교사의 경우 ‘학교 관리자의 반대’를 장애 요인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ield 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industry career level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field job training were analyzed using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generally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field job training by industry sector regardless of the level of experience in the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ield training was higher in the field of new technology, ‘improving the practical competency of the current curriculum major’, as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with low or no industry experience level. Second, teachers without industry experience and low-experience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Bottom-up method, school curriculum matching, department reorganization, training to improve major competency in minor fields, and national-level curriculum revis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ow-career teachers and teachers without industry experience, it was recognized that ‘connection with the training process and the industry field’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Third, it was found that all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were importantly aware of improving field job training to industry-linked base training such as OJT and S-OJT. Fourth, teachers in professional subjects responded to the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field work training in the order of ‘lack of supply and demand of substitute manpower’, ‘disaster of work in charge’, and ‘vacancies in classroom operation due to absence of homeroom teacher’.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middle and high careers did not recognize ’school administrators’ objections as obstacles.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저경력 교사의 고교학점제 개념 및 운영에 대한 인식

        송낙현(Nakhyun Song)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저경력 교사들이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결과에 터하여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제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계고등학교 건설교과 저경력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개념은 적정하며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제공, 융합인재로의 성장, 진로 및 취업경로 중심의 과목선택과 학생중심 교육과정, 진로탐색과 체험의 활성화 등의 의미로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고교유형별 학점제의 순차적 도입은 적정하며, 학교 구성원의 공감대와 준비과정, 교원연수의 우선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셋째, 고교학점제 기반 교육과정은 자율적이고 다양한 운영, 학교 밖 교육의 활성화, 세부전공과 융합형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다만, 교사들은 학교 밖 교육에 대해서는 학생 안전사고 및 책임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미이수제의 도입은 책임교육과 기초학력 보정차원에서 적정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직업계고등학교의 학점제 인프라 구축은 실습실 재구조화 및 타고교와의 시설 공유, 학점제 전담교사와 진로 및 취업 코디네이팅 교사(가칭) 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1교사 다과목 수업 지도는 필요하나 교사의 업무 부담 가중을 우려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with low experie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s perceive the concept and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appropriate and was recognized as the meaning of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for learning experience, growing as a convergent talent, selecting courses centered on career and employment paths, student-centered curriculum, and activating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Second, the sequential introduction of the credit system for each type of high school was appropriate, and it was recognized that priority support for school members consensus, preparation process, and teacher training was necessary. Thir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based curriculum was highly recognized for autonomous and diverse operation, revitalization of out-of-school education, and sub-major and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teachers had a burden of student safety accidents and responsibility for out-of-school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F credits was recognized as appropriate in terms of responsible education and correction of basic academic ability. Fourth, it was recogniz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credit system infrastructure of vocational high schools required restructuring of the practice room, sharing facilities with other schools, and the placement of a dedicated teacher in charge of the credit system and a career and employment coordinating teacher(tentative name). A teacher needed instruction in several subjects, but was concerned about the increased burden on the teacher s work.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원양성 경로별 현장직무연수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분석

        송낙현(Nakhyun Song),장민수(Minsoo Jang),김정은(Jeongeun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의 목적은 기술과 산업환경변화와 함께 전문교과 교원의 전공 분야 실무능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전문교과 교원 양성경로에 따라 현장직무연수에 대한 필요성과 참여의사, 운영, 및 개선 등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및 전문가의 타당성 검토를 토대로 현장직무연수 인식에 대한 조사도구를 3개 영역 13개 문항으로 개발하여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 14,754명을 모집단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온라인으로 4일간 진행하였으며 총 67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문항별 기술통계분석, 문항별 신뢰도 분석 및 교원양성경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의 교원양성경로별 모든 집단에서 현장직무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기술분야’ 현장직무연수의 필요성, ‘산업체 실무 경험이 없는 교원의 실무역량 제고’ 에 대한 현장직무연수 참여 의사, ‘단기 연수(1주일 내외)’ 참여 의사는 교원양성 경로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 개설 수요조사 등의 운영은 기존 Top-down방식에서 Bottom-up방식으로 개선 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원은 현장직무연수가 교원들의 전공 수준 및 생애단계별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수로 개선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경우 교수자로서의 전문성과 더불어 전공분야의 실무를 지도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전문교과 교사를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생애단계별 연수 개설 및 운영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operation, and improvement, as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practical skills in major fields became important along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tool on the recognition of field job training was developed into 13 questions in 3 area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feasibility review,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754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or 4 days, and a total of 67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a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each item,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item, and teacher training path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l groups by teacher training paths of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recognized that field job training w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new technology" field job train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ield job training for "improvement of practical skills of teachers without practical experience in industrial companies",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hort-term training (about a week)"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 training paths. Secon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ave a high demand to improve their operation from the existing top-down method to the bottom-up method. Third,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 hope that field job training will be improved to a more systematic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major level and factors by life stage. In the case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y have the expertise as instructors and the specificity of guiding the practice of their major field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for professional and systematic life-stage training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 인력양성 사업에 대한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

        송낙현(Song Nakhyun),박윤희(Park Yoonhee),임수원(Yim Suwon),정동훈(Jung Donghun)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계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대상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의 인식 및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197명, 훈련기관 담당자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인식 분석 및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훈련기관 담당자는 해당 사업이 학생들에게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고, 취업의 질 제고에 도움이 되며, 학생들의 신기술 역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전공능력, 진로 및 성장경로 설계 수준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사업운영의 한계로 교사는 행정지원, 업무 부담, 훈련기관 담당자는 학생들의 수준 고려와 흥미 유발 촉진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분석 결과로, 고교 졸업 후 좋은 기업으로의 취업, 미래유망분야 인재 양성, 학교-훈련기관-기업 간 협력 강화, 그리고 학생의 중장기적 성장경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의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training institution managers about the training program of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ne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197 teachers and 69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ward, the perceptions of both teachers and managers was analyzed, and need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ere derived using Borich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managers respond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o students, helping them find employment, and strengthening new technology capabilities. Seco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responded that their major ability, career path design level had changed positively. Third, as the limitation of program operation, the increased work burden due to administrative support by teachers and the facilitating of students interest by managers were suggested. Finally, as a result of needs analysi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employment at a good company,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high schools, institutions, and companies, and mid-to long-term growth paths for stud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program were presented.

      • KCI등재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분석

        이찬(Chan Lee),송낙현(Nakhyun Song),최현정(Hyun Jeong Choi)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3

        이 연구는 직업계고 리더의 학교 혁신역량과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를 바탕으로 직업계고 체제혁신을 위한 학교의 혁신역량과 혁신전략 및 과제를 도출하였다. 직업계고 CEO 연수과정에 참여한 직업계고 리더를 대상으로 직업교육 체제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관련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통계 및 대응표본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직업계고의 혁신역량으로 개방성 중 성과추구 역량과 현장성 중 요구반영 역량, 역동성 중 변화관리와 지속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전략으로 역량 있는 교원을 확보하고 전문성을 제고하는 연수전략과 직업계고 인식개선을 위한 전략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체제혁신 과제로 담당 교과 전문성 역량 신장,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컨설팅 등 교원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혁신은 일부 부분적 혁신보다 교육수요자의 요구반영과 학교 역량의 진단 등을 통해 학교 전반의 혁신을 통한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또한, 직업계고 구성원 전체의 협력으로 학교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바, 직업계고 리더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구성원 스스로 리더로서 인식하고 성과 달성의 주축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leaders regarding school innovation competency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nnovation, analyze the results, and draw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main areas in which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improve their innovative competencies. First, active efforts of school members are required for schoo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able to reflect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industry, be sensitive and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tri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econdly, as a strategy to innovate the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training strategies to secure competent teachers and raise their professionalism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are the most urgent. Thirdly,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y, including increasing their subject expertise,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onsulting, was considered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factor to innovate the vocational guidance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we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In order to reorganize the innovative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education demanders and aim to achieve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competency diagnosis and consulting. In addition, school system innov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entire vocational school staff, and the entire school staff should take the lead in achieving results based on leadership.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래지향적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안 개발

        장민수(Jang Minsoo),송낙현(Song Nakhyun),이찬(Lee Chan)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등학교 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경험 기회 제공과 신산업분야 고졸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실습소의 개념, 역할과 기능, 설립 및 조직 등 중심의 개편을 위한 표준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실습소 관련 문헌과 공동실습소 개편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공동실습소를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공동실습소 10년 이상의 근무 경험 교원 2명, 직업계고등학교교장 및 교감, 공동실습소 담당 장학사, 직업교육 분야의 교수, 산업체 전문가 등 공동실습소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공동실습소 개편 관련 문헌과 사례 분석, 현장방문조사, 전문가 FGI 등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 방향, 운영 목적, 설치 주체 개선, 역할과 기능의 확대, 전담인력 배치, 운영 조직 개선, 필요 경비와 예산 지원 등으로 도출되었다. 공동실습소 설치 조례 등 법령 정비를 중심으로 도출한 공동실습소 개편 표준안을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실습소의 운영 목적을 학생의 진로 및 직업 능력 개발을 통한 직업 세계의 적응과 필요한 역량 함양을 지원하고, 교원의 전문성 제고로 하였다. 아울러 공동실습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교육감이 설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둘째, 공동실습소의 역할과 기능은 진로교육 및 신기술분야의 직업 능력 함양을 위한 실습,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 운영과 산학협력 지원, 교원의 전문성 제고 연수강화, 학생의 진로 및 직업 능력 함양을 위한 연구개발 등으로구분되었다. 셋째, 공동실습소의 인력은 교육감이 센터장, 부센터장, 행정실장을 임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담인력은 전문성과 자질 등을 고려한 교원과 행정인력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넷째, 공동실습소의 조직은 직업 능력함양 및 진로체험 지원, 교원연수, 산학협력 지원, 행정지원 담당 부서를 두도록 하였다. 다섯째, 공동실습소의예산은 교육청이 운영비, 시설 및 기자재 확충비, 인건비, 학교지원 경비, 연구개발비, 학생실습비, 교원 연수비등을 중심으로 지원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various learning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learn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develop a standard for reorganization centered on the concept, role and function,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of a public practice centers for nurturing high school graduates in new industr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nd the case of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ere analyzed. In addi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the public practice centers. In addition, a targeted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7 experts i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including two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the public practice centers, the principal and vice-principa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supervisor in charge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 professor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an industry exper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case studies, field visit surveys, and expert FGI were as follows.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 for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derived from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purpose and installation subject, the expansion of roles and functions, the allocation of dedicated manpower,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and the necessary expenses and budget support. The following is the standard draft for re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hich was drawn from the revision of laws such as the ordina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First,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to support students adaptation to the world of work through development of career paths and vocational skills and to develop necessary competencies, an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addition, the name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 was changed so that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became the main body of the establishment. Second,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ere divided into practice to cultivate vocational skills in career education and new technology fields, support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trengthen training to enhance teachers expertise, and R&D to cultivate students career and vocational skills. Third, for the manpower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ppoints and dismisses the head of the center, the head of the deputy center, and the head of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addition, for the dedicated manpower, teachers and administrative manpower were as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Fourth,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to have departments in charg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career experience support, teacher traini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Fifth, the budget of the public practice centers was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focusing on operating expenses, facility and equipment expansion expenses, labor costs, school support expenses, R&D expenses, student practice expenses, and teacher training expenses.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 교원의 직업교육 혁신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연구

        이찬(Chan Lee),송낙현(Nakhyun Song),최현정(Hyun Jeong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 직업교육 변화와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 혁신의 주체가 될 직업계고 교원의 직업교육 인식 및 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직업교육 현장에 적용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하고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통한 직업교육 인식 및 요구에 대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직업계고 교원 651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한 교차분석(χ2 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으로 Scheffee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은 직업교육에 대한 현실적 목적으로 취업과 진로를 동시에 추구하는 데 동의하며 중등 직업교육이 취업만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중등 직업교육 운영에 대하여 부족하다는 평가를 하며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혁신적 변화를 위한 노력에 대하여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들은 중등 직업교육의 혁신적 변화의 필요성에 긍정하며 ‘산・관・학 협력 활성화’를 통한 방안 및 ‘학생 중심의 교육과 학생이 오고 싶은 학교’로 직업계고 전환을 요구하였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들은 중등 직업교육 발전을 위하여 직무 전문성 향상 및 교수학습 혁신을 통한 수업 운영역량 강화를 희망하고 있었다. 아울러 교원의 사기 진작을 위하여 과중하게 부담된 업무부담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산・관・학 협력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야 하며 고졸 취업에 대한 정보와 자원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직업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혁신역량이 우수한 교원을 전문 컨설턴트로 양성하여 혁신역량을 확산해야 한다. 또한, 교원의 인식 및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방향을 설정해야 하되 학교와 구성원들이 함께 변화를 고민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ocational education perceptions and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ho are the target of educational innovation as the need for change and improvement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s. The study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vocational education. As a result, three main findings emerged. Firstl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greed that pursuing both employment and career is a realistic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evaluated as insufficient, but the efforts for innovative change in the school in which they work were evaluated somewhat positively. Secondly,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confirmed the need for innovative change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demanded measures through ‘industry-university-research cooperation’ and ‘student-centered schools that want to come’ through convers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ly,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hope to strengthen their class management capabilities through job expertise improvement and teaching-learning innovation. Additionally, the need to improve the excessive workload to boost teacher morale has emerg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seek specific ways to activate industry-governmental cooperation and build a vocational education platform that can actively share information and resources for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Teachers with outstanding innovation capabilities should be fostered as professional consultants to spread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should be set by reflecting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but schools and members should be able to contemplate and practice changes together.

      • KCI등재

        직업계고의 학교 재구조화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박자림(Jarim Park),이찬(Chan Lee),송낙현(Nakhyun Song)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중등 직업교육의 체제적 개편을 위해 전국 직업계고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정책보고서에서 직업계고 재구조화를 위한 전략 방향과 전략 과제를 도출했으며 현장방문 조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직업계고의 맥락에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고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이후 직업계고 관리자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고, 기술통계, Borich 요구도 분석, IPA 매트릭스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재구조화는 전략적으로 직업계고 차별화를 지향해야 하며, 이는 직업계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산업계참여형 산학협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둘째, 직업계고 재구조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 과제로는 학점제형 교육과정 개설과 자기주도적 교육과정 이수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산업분야 과목을 개설하여 학점제와 연계하고, 학생 개별화 학습을 제공하고 공강시간 교육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요약하면 직업계고가 재구조화를 위해 지향해야 할 방향은 단위 직업계고의 정체성에 맞는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고, 이는 혁신적이면서 동시에 학생 주도적인 교육과정을 설계, 실행, 평가하는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의 운영은 시도교육청의 정책 및 조례 간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직업계고 학점제 활성화를 위한 직업계고 내외 구성원, 산학 간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체제적 혁신이 필요하므로 학교 재구조화에 대한 모델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managers in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s(VHS) for school restructuring. To achieve these objectives,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to reorganize the system of VHS were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policy reports. Validity was inspected through reviews of experts and practitioners. Then, a survey was conducted by 45 managers of nation-wide VHS. The survey consists of the strategic directions and tasks for school system restructur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ollowing methods: Borich s needs analysis, and IPA matrix.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system restructuring should strengthen distinct identity of VHS, which can be achieved by eliminating stigma of VHS and by establishing a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system. Second, the strategic tasks for system restructuring are developing a credit-based and self-directed curriculum. Specifically, they can be achieved by adopting courses in new technology, providing personalized learning for the students, and forming an environment that protects learner’s autonomy. In summary, the directions that VHS should aim for is to establish a differentiation strategy suitable for each unit of VHS; this can be implemented with following stages: desig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innovative and personalized curriculum.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because national VHS differs between the policies and regulations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each province. Second, modeling research on the school restructuring should be conducted since systematic innovation is required in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VHS, industry, and university for the VHS credit-bas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