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계일기』에 나타난 이중언어적 상상력, 유교적 세계관, 미래이미지

        손현주(Son, Hyeonju),이정덕(Jeong Duk Yi)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2

        This paper examined the bilingual imagination, the confucian world view, and the image of the future from Keumkye Diary which had been written by Sang Young Kwak from 1934 to 2000 for 64 years. Kwak had been a teacher(1941~47), deputy-principal(1947-57), and principal(1957-1980) of an elementary school. He had written the diary in Japanese while under Japanese colonialism(~1945), then mainly Korean and a little Chinese after the liberation(1945) until 1961, then a little Korean and mainly Chinese characters after 1961. When he had used mainly Korean in his diary, he had expressed rich emotion and extensive personal thoughts everyday. His writing style was romantic. But his Chinese diary showed that he just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events without emotion. He had lost the romanticism in his diary after depending heavily on Chinese characters. He also had been stucked on a Confucianism perspective and Confucian style of education. He expressed universal love or benevolence(仁) for his students with the attitude and mindset of parents. In this sense, filial loyalty and a spirit of benevolence are extended to family, kin members, students, and neighbors. Thus, he was trying to fulfill very hard the creeds of Confucianism in daily life. The future image of Kwank also influenced the desire and image for future, and he focused on the present rather the vision of hope for the future. Because the present is more realistic, he focused on present life and profit. He gave more importance on the communal gain, future of family, and neighbors. Kwak dreamed of communal society without the discrimination over female or by status and wealth.

      • KCI등재

        인공지능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의 미래

        손현주 ( Son Hyeonju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인공지능은 디지털 정치혁명을 통하여 정치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데이터 과학의 등장과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정책결정과 정치의 각 분야에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런 맥락에서 인공지능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자유·평등·정치활동의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인공지능은 시민의 정치적 참여, 디지털 자유주의의 확대, 인간능력의 향상을 통하여 인간 자유의 영역을 확대시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반면에 인공지능은 인간의 양화된 자아, 알고리즘의 인간 권위 대체, 로봇의 인간노동 대체 등을 통해 인간으로부터 정신, 직관, 자유의지, 자율성을 박탈함으로써 개인의 자유를 쇠퇴시킨다. 평등의 측면에서 살펴볼 때, 인공지능은 공정한 사회건설에 기여를 하지만, 인공지능이 갖고 있는 편향성으로 인종·성별·사회계층에 대한 차별을 심화시켜 사회 불평등을 낳는다. 정치과정의 자동화는 정치권력의 축이 인간에게서 인공지능으로 넘어가 알고리즘 권력이 등장하여 알고리즘 민주주의가 전망된다. 알고리즘 민주주의는 데이터주의와 데이터정치를 특징으로 하며 민주주의의 규범적 기초인 자율성을 훼손시키고 정치인의 역할을 감소시킨다. 또한 정치활동을 수동적으로 만들고 딥페이크·마이크로마켓팅을 통해 탈진실을 가속화시켜 여론형성 및 선거과정을 왜곡시켜 민주주의를 위협한다. 인공지능은 실질적 민주주의보다는 절차적 민주주의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데이터주의에 매몰되어 디지털 독재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알고리즘은 인간의 마음과 감정을 조정할 있고, 모든 개인을 끊임없이 관찰하는 오웰적인 감시체를 만든다. 알고리즘은 소수의 엘리트 계층에게 통제권이 부여될 가능성이 높아 새로운 형태의 권위적 지배양식이 등장할 것이다. 인공지능 거버넌스는 현대 대의민주주의의 문제를 극복하고 시민들이 정치에 적극 참여하여 민주주의를 회복할지 아니면 데이터엘리트집단에 의한 디지털전체주의로 갈지에 대한 기로에 서 있다. 디지털 독재를 넘어서서 새로운 대안 정치체제를 이루기 위해서는 시민사회가 데이터 통제권을 확보하고 인간의 권위가 데이터의 권위로 대체되지 않아야 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shaping the future of politics in the digital revolution. AI begins to take definite shape in policy-making and politics with the rise of data science and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In this context, this paper discusses how AI will change democracy in terms of liberty, equality, and political activity. First of all, AI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extension of human liberty through increasing civilian engagement of politics, extending digital freedom, and making human enhancement. On the other hand, AI will undermine civil liberties as a profound threat to our mind, intuition, free will, and autonomy by the quantified self, algorithm displacing human dignity, and deployment of robots for human jobs. Regarding with equality, AI will contribute to make our society more equal, while it is likely to reinforce ethical, gender, and social inequality with its biases and prejudices. And automated political process is to shift more political power from individual humans to algorithm, and to realize algorithmic democracy with the rise of algorithmic power. The algorithmic democracy features dataism and data politics, and thus undermines human autonomy as the normative foundations of democracy and decreases the roles of politicians. It makes political activities seem passive. Also, it makes post-truth accelerated using deepfake technology and micro-targeted political advertisements, and threatens democracy distorting public opinions and election processes through them. AI is likely to be trapped to digital dictatorship due to paying attention to more procedural democracy than substantive democracy and getting more obsessed by dataism. In order to overcome digital dictatorship and establish new alternative political system, civil society is to gain control over data. We should not let data make many decisions for ourselves and take more authority over our lives.

      • KCI등재후보

        사회변동과 미래준비

        손현주 ( Son Hyeonju ),송영조 ( Song Young-jo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논문은 사회변동의 5가지 이론을 살펴보았고, 국가의 미래준비를 위해 사회변동의 각 이론들이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유물론적 관점에서 국가의 미래준비는 미래유망기술에 관심을 갖고 끊임없는 기술혁명을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야 하고, 경제성장을 촉발할 수 있는 산업과 공공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관념론적 관점이 던져 주는 의미는 미래는 데이터 기반 사회와 포스트휴먼 사회가 도래하여 인간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데이터가 중요한 사회변화의 요소가 되기에 국가는 바람직한 데이터의 생성과 인간본질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 기능주의가 제시하는 것은 구조의 분업과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절한 적응이 중요하기에 국가적 차원에서 구조적 긴장을 완화하고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갈등론적 관점에서는 국가는 미래준비를 위하여 극단적인 갈등의 형태인 혁명을 회피하여 갈등을 창조적 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사회의 신뢰수준을 담보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어야 한다. 사회변동론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거시사적 관점의 미래사회론이다. 미래사회론적 관점에서 국가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미래문명의 장기도전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five theories of social change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m for the future preparedness of the nation. The materialistic view shows that we should be interested in promising technologies in the future and create conditions in which an endless technology revolution can take place. It also suggests that investments in industry and public infrastructure should be made in order to stimulate economic growth. The idealistic view is as follows. Future society is expected to be a data-based society and a post-human society. In these future societies, philosophical inquiry and data on human beings become important factors of social change. Thus, the state is required to produce desirable data and a broad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Structural functionalism shows the importance of proper adaptation to division of structure and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There must be a way to mitigate structural tensions and pursue innovation at the national lev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 theory, the state needs to avoid the revolution, a form of extreme conflict, to transform conflict into creative forc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refore, it should be able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guarantee the trust level of society. The most noteworthy aspect of social change theory is the future social theory of the macro-historical perspective. From a sociocultural point of view, the state should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s and identify the long-term challenges of future civilizations and present desirable futures.

      • KCI등재

        『아포일기』에서 나타난 농민의 근대적 관광 경험에 대한 연구

        손현주(Son, Hyeonju)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1969년부터 2000년까지의 급속한 산업화 기간 동안 『아포일기』에서 나타난 농민 권순덕의 근대적 관광 경험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노동과 관광의 개념, 관광활동의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관광활동에서 드러난 양가성을 고찰하였다. 권순덕은 노동중심의 가치관에 근거하여 여가는 낭비적인 일로 여기고 관광은 여러 곳의 장소를 방문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지 중심의 관광을 한다. 권순덕이 경험한 관광활동의 특징은 단체관광에서 개인관광 및 체험중심의 관광으로 변화를 보여 주고 있고, 가족여행과 해외여행 경험이 없으며, 공동체 연대를 증진시키는 통합적 기능이 강하였다. 권순덕에게 관광은 관광절차의 합리화와 객관화된 성적 욕망이 공존하는 양가성을 노출한다. 권순덕의 여행 전체를 살펴볼 때 여행과 관련된 자원도 풍성해지고, 여행횟수도 늘고 기간도 길어지지만 개인의 삶을 뒤돌아보고 성찰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개인 여행이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의의는 그동안 소홀하였던 농민 관광의 특징을 밝혀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a Korean farmer underwent modern tourism, focusing on the concept of labor and tourism, tourist activities, and ambivalence, from 1969-2000 during the rapid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Diary of Apo. Gwon Sun-Deok, who is an author of the Diary of Apo, considered leisure as an useless activity based on his labor-centered perspective. His definition of tourism is focused on visiting attractive places rather than authenticity of the tourist experiences. In the modern tourism of Gwon Sun-Deok, two main features are identified: (1) Gwon’s mass tourim practices slowly changed to small group tour and experience tourism, (2) He had no experience of family trip and overseas travel, and his tourism emphasized the integral role of tourism for the rural community. The apparent manifestation of ambivalence in Gwon’s tourism practice comes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rationalization of tourism process and objectified sexuality in the tourist site. In the general sense, on the one hand, his tourism experienced continued growth and deepening di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it revealed the lack of real meaning of tourism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ure of tourist sites.

      • KCI등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손현주(Hyeonju Son),김희화(Heehwa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 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모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 248명과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부 정적 정서성은 유아의 놀이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유아 의 놀이성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성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놀이성이 낮아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자녀가 표현하는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적 태도가 중요하 고 평소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를 더욱 많이 표현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It aimed to provide parent education materials. Data were gathered from questionnaires for three- 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N=248)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layfulness an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playful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rd,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playfulness. This suggests that mother’s acceptance of emotional expression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re important to prevent a decrease in playfulness of children with high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코로나19와 정치의 미래

        손현주(Hyeonju S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2

        본 논문은 코로나19가 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시나리오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코로나19는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독재화 추세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시점에서 발생하였다는 점이다. 만약 코로나19 위기의 시대가 독재화 경향을 강화시킨다면 민주주의는 심각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정치의 미래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확인한 주요 동력은 ‘정부의 개입’이고, 가장 불확실한 요소는 ‘코로나 자체의 심각성’이다. 정부의 개입과 코로나 자체의 심각성에 기초하여 도출된 시나리오는 1) ‘강한 국가의 귀환’, 2) ‘최악의 위기 넘기기’, 3) ‘포근한 친구가 되는 기업’, 4) ‘대립하는 두 개의 세계’였다. 미래 정치를 위해서 가장 바람직한 시나리오는 ‘포근한 친구가 되는 기업’이었고, 가장 있을 수 있는 시나리오는 ‘최악의 위기 넘기기’이고,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강한 국가의 귀환’과 ‘대립하는 두 개의 세계’이다. 본 논문에서 간과한 시나리오는 분명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네 가지 시나리오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하여 중요한 추론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influence of Covid-19 on politics through scenario methods. The awareness raised by this paper is that Covid-19 occurred at a time when the trend of dictatorship gradually increa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Democracy is in serious danger if the times of crisis in Covid-19 strengthens the tendency to dictatorship. The main driving force identified by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future of politics was government intervention, and the most uncertain factor was the seriousness of the corona itself. Based on government intervention and the seriousness of the corona itself, the scenarios were 1) "Return of a Strong Nation", 2) "Overcoming the Worst Crisis", 3) "Company Becoming Cozy Friends" and 4) "Two Worlds of Confrontation." The most desirable scenario for future politics was "Company Becoming Cozy Friends", the most likely scenario was "Overcoming the Worst Crisis", and the worst scenario was "Return of a Strong Nation" and "Two orlds of Confrontation". hile there are certainly several possible scenarios overlooked in this paper, the four have given man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important reasoning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 인도주의 지수 관련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손현주(Hyeonju Son) 미래학회 2020 미래연구 Vol.5 No.2

        지난 수십 년 동안 인도주의 단체들의 수·종류·규모가 상당히 확대되었고, 군사·다국적 기업·민간 기업 등 인도주의적인 대의를 주장하는 참가자들이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기들이 반복적이고, 장기화되고, 복잡한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인도주의적 필요를 해결하는 장기적 전략과 행동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인도주의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한국의 인도주의 수준 진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인도주의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입각하여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 그리고 한국의 인도주의와 관련된 연구는 국내외 인도주의 지원, 국제인도주의 기구, 국제 인도법 등이 있지만 인도주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고 특히 인도주의에 대한 질적·양적 접근은 거의 전무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은 국내외 인도주의 관련 지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 지수들이 갖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도주의 개념과 그것이 발전된 과정을 살펴본다, 둘째, 국내외 인도주의 지수 현황을 간략히 분석하고 그것들이 제시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number, type, and size of humanitarian organizations have increased considerably,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advocate humanitarian causes such as militar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private companies is increasing. Nevertheless, crises have shown repetitive, prolonged and complex characteristics. This has made it important to develop long-term strategies and actions to address humanitarian needs. Despite growing interest in humanitarianism and the need to diagnose the level of humanitarianism in Korea, there is not much activity in Korea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level of humanitarianism and seek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it. And while Korean humanitarian-related research includes humanitarian assistance at home and abroad, international humanitarian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umanitarian concepts and there is litt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o humanitarianism in particular.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ex related to humanitarianism at home and abroad, and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ose indices. To achieve this objective, we look at the concept of humanitarianism and the process in which it has developed, secondly, we would like to analyze briefly the current status of humanitarian indices at home and abroad and derive the implications they present.

      • KCI등재

        한국인의 가치관과 미래 선호가치

        손현주(Hyeonju Son),강정인(Jung In Ka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를 살펴보고 미래상과 미래 전망에 , 근거한 미래 선호가치를 탐구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인의 가치관을 살펴보면, 전통사회의 핵심적 가치로는 안정을 들 수 있고, 수단적 개념으로는 절약이다. 근대적 가치관은 자유, 평등, 탈권위라는 핵심적 가치와 자제력, 야심, 편익과 같은 수단적 개념을 제시할 수 있다. 미래의 선호가치를 추론하기 위하여 선진국 미래상 ‧ 인구위기론 ‧ 민족통일사회 ‧ 고정보사회론과 같은 미래상을 살펴보았고, 미래에 예상되는 사회는 제4차 산업혁명과 자율화사회 ‧ 포스트휴먼시대 ‧ 디지털 공유경제 등이다. 미래상을 통해서 살펴본 미래 선호가치는 현실과 근본적으로 다른 급진적 가치보다는 장기적 차원에서 실행가능하고 사회를 전환시킬 수 있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반면에 미래 전망에 근거한 미래 선호가치는 가상의 현실화와 현실의 디지털화와 같은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자율화, 인간과 기계의 공생, 협력적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미래사회는 인간의 사회적 ‧ 정치적 ‧ 경제적 역할도 변화하여 인간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게 된다. 미래사회의 핵심적 선호가치로는 정신적 가치와 공존의 가치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 changes and preference values of futures based on images of the future and future prospects in South Korea. First of all,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e core value is security and the instrumental concept is a frugal mind-set. In the period of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he core value is consisted with liberty, equality and antiauthority, and the instrumental concept is self-control, aspiration, and convenience. Moreover, four images of the future can be identified: 1) advanced country, 2) demographic crisis, 3) national unification, 4)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in order to infer the preference values of futures. This paper addresses three possible futures in terms of long-term perspectives: 1) the fourth revolution and autonomous society, 2) the posthuman age, 3) the digital sharing economy. The preference values of futures from the four images of the future focus on a long-term vision and the various dimensions of the feasible transformation of its current values rather than radically different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three possible futures are oriented toward different values for ideal and imaginary futures. In conclusion, the core value of future society would be the spiritual value and the value of coexistence for the future of preference value.

      • KCI등재

        인공지능 혁명과 정치의 미래 시나리오

        손현주(Son, Hyeon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2

        역사적으로 새로운 기술은 사회를 변화시켰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철도, 전기, 전화와 같은 이전의 기술과 다르다. 왜냐하면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이 필요하지 않고 스스로 작동하는 기계이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은 사회의 모든 분야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은 정치의 물적 조건과 지적 조건을 변화시켜 권력구조의 이동과 새로운 정치활동의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다양한 정치과정의 변화, 정치적 갈등 및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 정치와 사회에 끼치는 변화상을 예측하고 미래에 발생할 다양한 이슈를 진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가지 시나리오, 1) 사이보그 정치, 2) 초인공지능 정치, 3) 증강 정치, 4) 알고리즘 정치를 각각 제시하였다. 또한 4개의 시나리오는 인공지능 혁명의 시대의 미래 정치에 대한 포스트휴먼적 상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위계체계, 사회, 기술, 경제, 정치체제, 정치담론, 정치활동, 정치인, 미래이슈 등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Historically, new technology has changed society. But artificial intelligence is different from previous technologies such as railways, electricity and telephones.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machine that does not require human intelligence and works on its ow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volutionizing every sector of society. In particular, artificial intelligence is changing the physical and intellectual conditions of politics,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shift in power structure and new political activities.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ause a variety of political process, political conflicts and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forecast the chang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olitics and society and diagnose various issues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goal, we presented four scenarios, 1) cyborg politics, 2) super artificial intelligence politics, 3) augmented politics, and 4) algorithm politic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ur scenarios were examined in terms of hierarchy, society, technology, economy, political system, political discourse, political activities, politicians and future issues in order to maximize the posthuman imagination of future politic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