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코어 CPU 환경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빠른 소수 생성 방법

        손하림(Ha-Rim Sohn),장재찬(Jae-Chan Jang),이윤호(Youn-H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40 No.6

        본 논문은 RSA 알고리즘에서 키 생성 등에 필요한 소수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는 현재의 PC 및 스마트폰 환경이 다수의 코어를 갖는 환경인 것을 이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Miller-Rabin test등 확률적인 소수 테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들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알려진 Bit-array 방법에 대한 병렬화를 시도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Bit-array 알고리즘 수행 도중에 작은 소수를 이용하여 나누어 보는 기본 테스트 과정을 통과한, 즉 Miller-Rabin test 의 수행을 통해 소수인지 아닌지 검증해야할 후보 소수들을 다수의 코어들을 통해 한꺼번에 테스트 한다. 구현을 통해 제안 방법의 성능 향상을 검증하였으며, 일반적인 Desktop 환경에서 1024bit 소수 생성 알고리즘 구현 시 2개의 코어를 사용 시 단일 코어 사용의 경우에 비해 약 110%, 4개의 코어를 사용 시 약 265% 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권한 위임을 위해 공개키를 임시키로 사용하는 대리 인증서 환경[14]에서 권한 위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때 공헌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to efficiently generate a prime number using Multi-core architecture. We modify the bit-array algorithm so that it can work in parallel manner. The proposed algorithm searches for the candidates of prime numbers in parallel. Then, the Miller-Rabin primality tests are performed on these candidates using all available cores. Since more than one candidate can be tested, a prime number can be found in a less time than single-core case if the proposed algorithm works on multi-core environment.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about 110% and 265% performance improvements are achieved when two and four cores are used, respectively.

      • KCI등재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하림(Sohn, Ha-Rim),이동귀(Lee, Dong-Gwi),박종철(Park, Chong-Chol),이나희(Lee, Na-Hee),오현주(Oh, Hyun-Joo)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동향 분석과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효과크기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변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출간된 총 24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70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 (1) 2011년을 기점으로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급감하였으며, (2) 미혼모 중 시설거주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3) 만 25세 미만의 청소년 미혼모와 성인 미혼모 참여자가 혼합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4) 미혼모의 연인관계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은 전무했다. 포괄적 메타분석 프로그램(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조절변인에 대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554.(Hedge’s g)로 나타났다. 하위집단분석 결과, (2) 청소년 집단에서는 큰 효과크기(> .7)가, 그리고 성인-청소년 혼합집단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 .5)가 나타났다. (3) 프로그램 운영방식에서 총 회기 수가 11회 이상, 1회기 소요시간은 60분 이하인 경우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4) 종속변인 별 효과크기에서 진로관련변인(> .7)은 큰 효과크기를, 그리고 개인내적(intra-personal) 변인은 작은 효과크기(g = .377)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trend and meta-analysis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Korean single mothers and explored the moderating variable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effect size depending on each program’s characteristics. The trend analysis summarized 24 articles published from 1998 to April 2021 and analyzed 70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tudies on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single mothers increased beginning in 2011 and drastically decreased since 2017, (2)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single mothers in the rehabilitative institutions, (3) most studies made no distinction between a 25-year-old adolescent single mother and a 25-year-old adult single mother, and (4) no study developed programs for those in romantic relationships. A meta-analysis with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was used to compute effect sizes and perform subgroup analyses on each moderating variable. The main findings from a meta-analysis with the CMA program indicate that (1)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the programs for single mothers was .554(Hedge’s g), (2) a large effect size(> .7) among the adolescent group and medium effect size(> .5) among the adult-adolescent mixed population were detected, (3) regarding the program management styles, a larger effect size was detected when having more than 11 sessions in overall and progressing less than an hour, and (4) as for dependent variables, career-related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7) and intra-personal variables had a small effect size(g = .377).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자해 청소년에 대한 대중의 반응 및 태도 : 네이버와 다음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김서영(Kim, Seoyoung),이동귀(Lee, Dong-Gwi),손하림(Sohn, Har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4

        청소년의 자해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자해 청소년에 대한 한국인 온라인 이용자의 반응을 네이버와 다음이 발행한 자해 청소년 관련 뉴스의 댓글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 자연어 분석하였다. 공기어 분석을 통해 댓글에 빈번하게 사용된 단어 간 관계성을 시각화하였으며, LDA 토픽 모델링 분석으로 전체 댓글에서 가장 주된 다섯 개의 토픽(주제)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온라인 이용자의 반응은 자해 청소년을 향한 공감·위로와 조롱·비난으로 양분되었다. 다수의 댓글이 현대 청소년의 자해를 입시위주의 교육 등 환경 맥락과 관련된 사회문제로 해석해야 한다고 설명했지만, 예방 및 개입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자해 청소년이 온라인상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반응들을 살핌으로써, 온라인 경험이 청소년의 자해 행동에 행사할 수 있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예측해보고, 추후 청소년 자해 관련 가설 검증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을 위한 참고사항을 논의하였다. While recent news highlighted the severity of Korean adolescents’ Non-Suicidal Self-Injury (NSSI), the current study text-analyzed Korean online users’ reactions reflected in comments of news about self-harming adolescents. Vi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word analysis was conducted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frequently used words,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as used to draw five prominent topics in the online comment data. Results elucidated Korean users’ reactions were polarized to two extremes - empathy and comfort or criticism and ridicule. Although many users understood adolescent NSSI as a form of social problem in relation to high academic pressure and poor environment, no practical discussion about ideas for intervention was shown. By exploring diverse reactions the self-harming adolescents can encounter, this study allows to make plausible predictions about the influence of these reactions to be tested in future studies. Suggestions for counseling and treatment are provided.

      • KCI등재

        초기 성인기 자해행동

        함경애(Ham, Kyong-ae),김서영(Kim, Seoyoung),이동귀(Lee, Dong-gwi),손하림(Sohn, Har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자해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성인 516명 중 자해 경험이 있는 1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초발 자해행동은 평균 15.70세(SD = 3.11)에 시작되었고, 고의로 자신을 때리거나, 깨물거나, 벽이나 책상 등에 머리를 부딪히는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해행동 시작 계기에 대한 다중응답분석결과, ‘우연히 자해라는 것을 발견해서(45,7%)’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해 경험이 있는 집단이 비(非)자해집단에 비해 의사소통기술을 제외한 심리부적응 관련 변인(정서강도 및 반응성, 분리 상실 경험, 파국화, 고통감내력 부족, 감정표현 불능, 사회적 문제 해결 부족)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자해행동을 판별해주는 예측변인을 탐색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이 높을수록, ‘분리 상실 경험’이 많을수록, ‘고통감내력’이 부족할수록 자해경험이 있는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수정된 통합적 자해행동모형(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Jacobson & Batejan, 2014)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한 결과, 정서강도 및 반응성은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해 자해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분리 상실 경험은 자해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ngagement mechanism of self-injury based on multifaceted risk factors suggested by the revised version of comprehensive theoretical models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the total of 516 participants, 132 young adults who reporte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with self-injury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ly more signs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e.g., higher trait affect intensity and lower distress tolerance) than the group without engagement in self-injury. Among the risk factors, trait affect intensity,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and low distress toler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path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via low distress tolerance, while the childhood separation or loss experience directly predicted the engagement in self-inju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