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성의 결절점: 식민지 시기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8 No.-

        이 글은 조선은행(朝鮮銀行) 앞의 광장과 그 일대가 경성(京城)의 도시 이미지와 맺고 있는 관계를 논의하려는 시도이다.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역사적으로 특수한 지점에 있다.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한성(漢城)이 경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교통의 중심지이자 문명의 통로였다. 미츠코시백화점(三越百貨店)이 지어져 광장을 이루는 하나의 요소가 된 1930년대의 조선은행 일대는 경성을 대표하는 시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조선은행 앞의 광장과 그 일대는 이른 시기부터 도로가 정비된 이후 문명 시설이 갖추어졌다. 둘째, 당대인들이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하여 가진 복합적인 감정은 경성의 도시 이미지 형성과도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당대인들은 조선은행 앞의 광장에서 극대화된 문명과 그로 인한 소외 모두를 마주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의 초점은 조선은행 앞의 광장이 이상과 현실이 중첩된 장소로서 경성의 도시 이미지의 한 단면임을 살피는 데에 있다. 조선은행과 남대문통(南大門通)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조선은행 앞의 광장은 한성이 경성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부상한 지역이다. 조선은행 앞을 지나는 가장 중요한 도로인 남대문통은 이른 시기부터 정비되었다. 그중에서도 남대문(南大門)에서 조선은행으로 이어진 도로는 경성의 도시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1912년 이전부터 그 정비가 진행되었다. 이는 세 가지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첫째, 남대문통은 일본인 거주지인 본정(本町, 혼마치)으로 이어졌기에 일본인들은 남대문통 일대의 정비에 주력했다. 둘째, 본정에 있던 조선총독부는 남대문 일대를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셋째, 남대문에서 조선은행 일대를 지나 경성으로 들어가는 도로는 문명의 통로로 만들어져야 했다. 이로 인해 남대문통이 지나는 조선은행 앞 광장은 점차 높은 건물, 반듯하고 넓은 도로, 밤에도 붉을 밝히는 전등 등으로 채워졌다. 1930년대에 들어 조선은행 앞 광장은 문명이 극대화된 번화가가 되었다. 이는 두 상황을 통해 비롯되었다. 첫째, 미츠코시백화점이 1930년대에 지어져 조선은행 앞 광장을 이루는 요소가 되었다. 당시 백화점, 특히 미츠코시백화점은 선망의 대상으로서 경성의 유행을 선도하며 도시문화를 이끌었다. 둘째, 조선은행 앞 광장이 번화가가 되자 교통난을 해결한 과정에서 그 일대는 다시 한번 정비되었다. 광장 가운데는 로터리 형식으로 만들어져 통행 방식이 바뀌었으며 분수대가 자리하며 작은 공원으로 꾸며졌다. 심지어는 지하도를 만드는 계획까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경성의 중앙시가로 여겨지기도 했다. 그러나 당대인들의 조선은행 앞 광장에 대한 인식 및 반응은 한 방향으로만 귀결되지 않았다. 당대인들에게 조선은행 앞 광장은 근대 도시 경성으로 기대되는 장소이면서 동시에 문명의 그늘을 드러내는 장소이기도 했다. 조선은행 앞을 부유하는 부랑자들의 모습이 바로 그 예이다. 인텔리와 룸펜의 경계에서 관찰자라고 불린 이들조차도 조선은행 일대를 배회하며 광장에 쉽게 발을 디디지 못했다. 이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이 이상과 현실 사이를 매개하는 결절점(結節點)과 같은 지역임을 알려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and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present-day Seoul). A plaza is an open space in the city and located at the center of urban culture. However,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is an unusual area. The plaza, a hub of transportation, was the passage of civilization which was form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Hanyang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o Gyeongseong. In the 1930s, the Mitsukoshi Department Store was built and became a part of the plaza. As a result, the plaza was also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place of Gyeongseong.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the plaza was a hub of transportation and came to be transformed into the center of urban culture. Secondly, people’s various feelings about and perceptions of the plaza are linked to the formation of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In the plaza, people could experience both civilization and alienation.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at a fragment of the city image with the plaza is the node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plaza, centering around the Bank of Joseon and Namdaemun-tong (the Southern Gate District), is an area that emerg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Hanseong (Hanyang) to Gyeongseong. Namdaemun-tong, the most important road passing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has been maintained since an early age. The road from Namdaemun to the Bank of Joseon was made before 1912, when the urban planning of Gyeongseong began. As the Bank of Joseon was built, the plaza already had a basic form. The main roads which were connected to the plaza were also repaired early. This is due to three situations. First, the Japanese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Namdaemuntong because it was connected to their residence. Second, the building f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was located on Namsan (South Mountain) and wanted to make the Namdaemun area a center. Third, the road from Namdaemun to the Bank of Joseon area had to be built as a path to civilization.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was filled with tall buildings, straight and wide roads, and street lights to illuminate at night, like the entrance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In the 1930s,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had become a bustling downtown. There are two reasons. Firstly, the Mitsukoshi Department Store was built in the 1930s and became a part of the plaza in front of Joseon Bank. Department stores were the center of trendy urban culture. Secondly, the road was completely renovated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raffic difficulties around the plaza. A rotary was built and the city space changed. Above all, it should b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laza is the entrance to Gyeongseong and the central city. The perception and reaction of the people of the time towards the plaza varied in its layers. In the postcards portraying the attractions of Gyeongseong, the plaza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appeared as the central place of Gyeongseong. However, the plaza was both a symbol of modernized Gyeongseong and a place to reveal alienation. One of the examples is the appearance of the low-class people wandering around the square. This depicts the plaza in the city image of Gyeongseong as an area like a node that mediates between ideal and reality.

      • KCI등재

        한성과 경성의 불안한 공존: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에 대한 연구

        성효진 ( Sung Hyoji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2 No.-

        이 글은 식민지시대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漢城)과 경성(京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공존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변화와 그 이미지의 형성을 이분법적인 분리보다는 복잡하게 얽힌 중첩으로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 한성과 단절된 듯한 도시로 여겨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둘째, 경성의 도시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과 시각문화를 활용한 일본의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 본고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한성과 경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기 구분은 당대인들이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전환을 인식할 만한 시각적인 변화들이 나타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1897년에서 1910년까지의 시기에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 나타난 변화들은 한성의 저항과 경성의 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는 대한제국의 상징인 경운궁(慶運宮)을 중심으로 근대화사업이 시행되었으며 아울러 서양 공사관 영역과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었다. 이들 사이의 균형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무너졌다. 한성은 경성으로 불리기 시작하였으며 남촌 전반으로 확장된 일본인 거류지 인근에서는 경성박람회(京城博覽會)가 열렸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남대문(南大門) 일대의 성벽은 해체되었으며 창경원(昌慶苑)은 동물원으로 격하되었다. 덕수궁(德壽宮)으로 불리게 된 경운궁에는 1910년에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石造殿)이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경성의 태동과 한성의 쇠락은 도시 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났다. 1910년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어가던 과정은 식민지 조선의 수도인 경성의 건설과 조선왕조의 왕도(王都)였던 한성에 대한 기억의 공존으로 논의될 수 있다. 경성으로 바뀐 도시 공간에서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점차 사라졌다. 이 공간은 식민 지배를 상징하는 건물들인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 조선신궁(朝鮮神宮) 등으로 채워졌다. 경성의 건설은 다양한 행사와 매체를 통해 기념되었다. 당대의 조선인들은 새로운 시각 경험을 즐겼으나 동시에 조선인 지역인 북촌과 일본인 지역인 남촌을 구분 지으며 일본인들의 북부 진출을 우려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사라져간다는 사실을 인식하며 이 장소들을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는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지속적으로 남아있었다. 경성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대경성(大京城)’으로 불렸다. 1926년에서 1939년에 이르기까지 대경성과 그 이미지는 소비문화의 정점에 있었으나 이는 허상에 가까웠다. 남촌의 중심인 조선은행 일대는 백화점과 함께 근대 도시 대경성의 핵심적인 이미지로 굳어졌다.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여가의 중심지인 공원으로 변용되었다. 그러나 대경성은 남촌과 북촌이라는 각각의 도시로 여겨질 정도로 격차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인들은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 속에서 스스로를 파편으로 보았다. 산책자(flaneur)도 그들 중 하나였다. 대경성의 거리를 부유하며 남촌과 북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이들은 조각난 대경성이미지 그 자체였다. 이는 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종합으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음을 보여준다. 경성의 도시 이미지 안에서 이렇게 한성과 경성은 불안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Hanseong and Gyeongseong in the urban image of Seoul during the colonial period.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nseong to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and the formation of the image of the city.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the fact that elements representing Hanseong are found in the image of Gyeongseong, which seems to be disconnected from Hanseong. Secondly, the image of Gyeongseong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apanese politics. The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Great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o the 1910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itnesse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Modernization projects on the Gyeong’un Palace (Gyeong’ungung) were carried out. At that time, there were a Legation Quarter around the Gyeong’un Palace and a Japanese town near the Catholic Cathedral. The political balance among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superpowers, and Japan collaps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is event, Hanseong began to be called Gyeongseong. The Gyeongseong Fair was held near the Japanese settlement that extended to the whole of Namchon (South Village). In contrast, the walls near Namdaemun (the Great Southern Gate), a place symbolizing Hanseong, were demolished. In the Gyeong’un Palace, which was called Deoksu Palace (Deoksugung),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Stone Hall), a Western-style building, was completed. The emergence of Gyeongseong and the decline of Hanseong appeared together simultaneously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10 to the mid-1920s, when Hanseong was replaced by Gyeongseong, the image of Seoul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al capital was created. During the time, Korean people attempted to remember the lost Hanseong. Their strong feelings of nostalgia for the lost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in numerous textual records. The places symbolizing Hanseong were gradually dismantled. This space was filled with buildings that symbolized colonial rule.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was commemorated by various events and popular media. While Koreans enjoyed a new visual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birth of a modern city, they worried that the Japanese would occupy Bukchon (North Village), the Korean territory in the city.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and remembered the places symbolizing the old capital city of Hanseong that was disappearing and fading into oblivion. As a result, the urban image of the new capital city of Gyeongseong was filled with Korean people’s sorrowful memories of Hanseong. After the mid-1920s, Gyeongseong came to be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created and constantly reproduced in popular media. The rise of modern consumer culture played a key role in the proliferation of the urban image of Dae- Gyeongseong. However, the image of Dae-Gyeongseong was nothing but an illusion. In the urban space of Dae-Gyeongseong, the difference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as extremely huge to the extent that they appeared to be two separate cities. In this situation, the city-dwellers of the time saw themselves as fragments in the city. The flaneur was one of them. The flaneur who did not belong to either Namchon or Bukchon strolled the streets of Daegyeongseong. The sense of alienation and uncanniness that the flaneur felt was inseparable from the fragmented urban landscape of Dae-Gyeongseong. The urban image of Dae-Gyeongseong can only be achieved by a synthesis of fragmented images rather than a single image.

      • KCI등재

        일상화된 공공미술을 통한 새로운 방향성의 모색

        성효진(Hyojin S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고의 목적은 도시적 삶에 유입된 공공미술 작품인 안토니 곰리의 <지평선>을 통해 공공미술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관람객과 그 일상을 공공미술 안으로 끌어들여 그영역을 확장한 안토니 곰리의 <지평선>을 통해 공공미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위해 2장에서는 공공미술의 개념과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안토니 곰리의 대표적인 공공미술 작품이 지역 사회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었는지를 다루었다. 4장은 런던에서의 전시를 중심으로<지평선>이 갤러리를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여 도시의 문화적 지형을 포괄하며 동시에 일상으로 유입된공공미술 작품임을 조명하였다. 5장은 뉴욕에서의 전시를 통해 <지평선>이 시공간을 넘어선 공공미술작품으로서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공공미술이 도시인들의 삶과 어우러져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것이 공공미술이 추구해야 할 새로운 방향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new direction for public art through Antony Gormley's “Event Horizon”, a public art work introduced into urban life. Therefore, Chapter 2 deals with how Antony Gormley's representative public art works harmonized with the local community. Chapter 3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Event Horizon” expanded the gallery into an urban space and established itself as a public art encompassing the cultural topography of the city. In Chapter 4,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public ar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vent Horizon” that led to New York.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ublic art is a new direction to become the lives of urban people and to create a better tomorrow by illuminating the various lives of the c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