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Myth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and Hidden Labor

        성기헌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6 인간연구 Vol.0 No.31

        This study explores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e conflict between 1) the ideal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the myth of ‘information society’ and 2) human labor to create that myth. The myth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promotes the idea of a ‘better society,’ in which humans do not need to lean heavily on physical activity. Herein lies the inherent conflict between labor and the myth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Labor as the fundamental condition of human beings is somehow invisible in the process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Indeed, the ideology or myth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is to minimize physical labor from human society as much as possible. Thus, if labor is as visible as it was in the past, the information revolution is no revolution at all. Moreover, the more the myth about the information society is prevalent, the more labor is hidden. Any revolution, or the framing and myth of that revolution, does not need to undermine the meaning of labor, i.e., the fundamental reality of the human condition, the solid anthropologic- philosophical insight. No revolution has the right to declare the end of labor.

      • KCI등재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종교교육의 한 주제로서 종교와 미디어

        성기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0 No.-

        종교와 미디어의 생태공간 속에는 현대사회 종교의 특징들이 잘 드러나 있다. 현대의 종교교육내용에는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 드러나는 현대 종교의 함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종교적 미디어메시지’의 ‘생산’과 관련된 내용, 종교미디어의 컨텐츠 - 혹은 세속미디어에서 다루는 종교적 컨텐츠에 대한 내용, 종교미디어 메시지 수용자들에 대한 내용, 인터넷과 종교에 대한 내용, 그리고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관찰한 종교현상에 대한 내용을 주요 주제로삼고, 여기에 나타난 현대 종교의 특징들과 존재양식을 종교 교육의 내용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위의 주제에 대한 성찰을 통해 드러난 종교의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종교교육에서 다루어 져야 함을 말한다. 첫째는, 종교의 확장성에 관한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해 봄으로써, 교육자와 피교육자는 종교가 현대 미디어 사회에서 외연을 넓히는 방법 - 그리고 이 과정에 개입되는 정치-경제-사회적인 요인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는 미디어 시대 종교 변동 시작점의 좌표와 영역의 문제이다. 이에 관해 본 논문은 미디어상의 종교적 컨텐츠가 종교 변동의 진원지가 될 수 있음을 밝혔고, 바로 이런 점을 종교교육 - 나아가 ‘종교와 미디어’교육에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말하였다. 셋째는 종교 효과의 구체적인 메카니즘의 문제이다. 이 문제는 곧 종교의 효과라는 것이 종교자체의 힘에 기인하는 것인가, 아니면 다른 사회적 장치나 제도의 힘과 결합될 때만 발휘되는 것인가, 더 나아가 후자의 효과에 종속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을 숙고하도록 한다. 넷째는 인터넷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다. 인터넷 시대에 이르러, 인터넷이라는 거울을 통해 현대 종교의 다양한 스펙트럼과 구체적인 실상들이 오히려 분명히 드러나는 면이 있다. 바로이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특히 인터넷과 종교의 부침에 관한 문제, 혼종성과 종교 정체성의 문제, 인터넷의 영성화에서 드러난 종교의 인식론적 영역에 대한 확장 동기 등을 종교교육에 포함 시킬 것을 제안한다. 끝으로,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관찰한 종교현상에 대한 내용 역시 종교에 관한 교육의 주된 내용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한다. 종교는 현대 사회 곳곳에서 형태와 모드를 달리하여 존재하고 있고, 종교 교육은 바로 이 점을 포착하여 현대사회 에 종교가 존재하는 그 특유의 양상에대해 설명할 수 있다.

      • KCI등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성기헌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9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9 No.1

        This study explores how mass media works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bioethics. The topology of ethical scopes varies in terms of the way bioethical knowledge is combined with humanistic knowledge. In this case, ‘readjustment of the agenda priority’ occurs, which postpones discussions on the results of life science research in terms of ethical perspectives. In contemporary society, media explains to the public the benefits of life science. In doing so, media interprets and evaluates bioethics through its characteristic working. In media reporting on bioethical issues, there lies a picture of bioethicists depicted by media. Though media cites the opinion of bioethicists in reporting bioethical issues, it often conveys the final judgment of bioethicists only, including the minimal explanations given by bioethicists. At this time, media depicts bioethicists as people who judge without sufficient bases. Also, media describes bioethicists as a ‘life science risk manager’ who resolves ethical dilemma life science faces. Indeed, media publicizes bioethics-related events, reconfirming bioethical principles, evaluating the priority among bioethical principles as well. Sometimes, media skips important principles and perspectives of bioethics, and simplifies complex bioethical issues. In this course, media can limit the social and academic trajectory of bioethics. 본 논문은 생명윤리를 다루는 매스 미디어의 작동방식에 대해 탐구한다. 생명과학 지식과 인문적 지식을 조합하는 방식에 따라 생명과학 현상을 바라보는 윤리적 관점의 중요성은 매우 달라진다. 특정의 조합에 의해 생명과학 연구 성과의 윤리성에 대한 논의가 뒤로 미루어지는 ‘논의 우선순위의 재조정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생명과학의 연구 성과를 대중에게 설명하는 역할은 주로 매스 미디어에 맡겨져 있다. 여기서 매스 미디어는 특유의 작동방식을 통해 생명윤리를 해석하고 평가한다. 생명윤리와 관련된 사안의 보도 속에는 언론이 그린 생명윤리학자들의 모습이 있다. 생명윤리 현안을 보도함에 있어서 미디어는 생명윤리학자의 의견을 인용하긴 하나, 이 때 미디어는 최소한의 설명만이 포함된 생명윤리학자들의 ‘최종판단’만을 보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 생명윤리학자들은 언론에 의해 ‘충분한 근거 없이 판단하는 사람’으로 그려진다. 한편, 언론은 생명윤리학자들을 생명과학이 직면한 윤리적 딜레마를 손쉽게 해결해주어 그들의 앞길을 터주는 일종의 ‘생명과학의 위기 관리자’의 모습으로 그린다. 나아가, 언론은 생명윤리와 연관된 사건을 알리고 생명윤리의 원칙을 재확인 하며, 동시에 원칙들의 우선순위를 매긴다. 때로 언론은 생명윤리의 중요한 원칙, 혹은 관점을 생략하거나 누락시키기도 하며 복잡한 생명윤리적 사안을 단순화시킨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언론은 생명윤리의 사회적, 학문적 동선(動線)을 제한할 수 있다.

      • KCI등재

        개념으로서의 건강: 비판적 고찰

        성기헌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7 생명연구 Vol.46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ubjective and objectiv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health’, and link the health concept with the dimension of existential meaning. Anyone can form a subjective health concept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s and interpretative frameworks. Health as a concept, however, is explained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es health a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is definition clearly emphasized the complexity of health concepts, but overlooked the nature of health as a dynamic process. WHO‘s definition of health was made possible through a perspective that considers humans in the totality of mind and body. The roots of health paradigm based on the human totality extends far back to Mesopotamia, ancient Greece and early Christianity. WHO’s health definition lacks analytical nicety, and this limitation is overcome by scholars’ thoughts which delineated the specific attributes of health according to normativism and naturalism. According to their considerations, the concept of health which is not free from social expectations is summarized as functional normality. The health concept, moreover, can be explained through attributes such as value, pain (discomfort), statistical normality, physical inability, adaptability and homeostasis. This health theory, however, focuses on the ‘factuality’ about health, and there is a lack of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health here. A typical example of an effort to understand health as the basis of existential planning can be seen in the insights of the French philosopher Georges Canguilhem. With the efforts of philosophers such as Canguilhem, it became clear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factuality of health must be integrated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health. 본 연구는 건강개념의 주관적-객관적 속성들을 살펴보고, 건강 개념을 실존적의미의 차원과 연관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건강에 대한 의미규정은 학자들만의몫이 아니며, 삶을 살아가는 누구나 개인의 체험과 각자가 지닌 해석의 틀에 따라 주관적으로 건강 개념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개념’으로서의 건강은 보편적인 전망 안에서 설명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정의에 따르면 건강은 한 사람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정의는 건강 개념이 지닌 복합성을 분명히 부각시켰으나, 역동적 과정으로서의건강의 성격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다. WHO의 건강 규정은 인간을 정신과육체의 총체성 안에서 파악하는 시각을 통해 가능한 것이었으며, 이처럼 인간의전인성(全人性)을 전제로 하는 인간-건강관의 뿌리는 저 멀리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이스, 초기의 그리스도교로 까지 소급된다. WHO의 건강 규정은 분석적 세련됨을 결여하고 있고, 이런 한계는 규범주의와자연주의에 따라 건강의 세부적 속성을 규정한 학자들의 성찰을 통해 극복된다. 이들의 성찰에 따르면, 사회적 기대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건강 개념은 ‘기능적 정상성’으로 요약되며, 가치, 통증, (통계적) 정상성, 육체적 불능성, 적응성, 항상성등의 속성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건강론은 건강에 관한 ‘사실의설명’에 치중하는 관점이며, 여기서 건강의 의미에 관한 성찰은 상대적으로 결여되어 있다. 건강을 실존기획의 토대로서 이해하려는 노력의 한 전형을 프랑스의의철학자 깡귀엠의 통찰에서 엿볼 수 있다. 깡귀엠과 같은 의철학자들의 노력으로, 건강에 관한 사실성의 파악은(수치의 파악) 건강의 의미에 대한 이해 속으로통합되어야 한다는 점이 더욱 분명해졌다.

      • KCI등재

        의예과 교육과정의 자기주도 봉사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경험을 통해 본 교육 컨설팅 사례 연구

        유동미,강화선,성기헌,김평만,이인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education consulting of a self-directed service learning program, the Good Work Project, for premedical students. The Good Work Project includes team activities as follows. First, all students build a team and develop a service learning subject for themselves. Second, they study a service learning subject for more than 10 hours during the summer vacation. Eventually, the participants share their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with each other. After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ogram and to identify and analyze student attitudes about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25 (5-point Likert-type) items were developed, including questions about service experiences and orientation, learning outcomes and learning experiences, team activity and teamwork, and acknowledgement of the overall process of the program. We grouped 74 students into 18 teams and identified a number of service learning themes.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Good Work Project overall (M=4.00). Particularly high awareness was shown for three items: the value of community service, service should be sustained, and community service is a great thing, and a wonderful way to create positive change within the society. The Good Work Project helps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among students recognize by tasking them with designing service learning program for themselves. The service learning is an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tool in the area of the medical humanities.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의 주 목적 중 하나는 예비 의사로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바람직한 인성 함양이며, 특히 봉사활동은 이러한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한편, 의학은 학문 분야의 특성상 끊임없이 새로운 정보와 기술이 개발되어 빠르게 적용됨에 따라 의사는 자신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바탕으로 평생학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가톨릭 의과대학은 의예과 학생을 대상으로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적 봉사활동인 'Good Work Project'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자기주도적 학습 교육의 일환으로 개발된 의과대학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능성과 교육 컨설팅의 사례로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은 자기주도 봉사체험 프로그램인 'Good Work Project'를 개발하여 2015학년도 의예과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또한 'Good Work Project'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지(25개 문항, 5점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하였다. 자기주도 봉사체험 실습 프로그램 'Good Work Project'는 스스로 ‘Good Work Project’의 목표를 기획하고 이를 시행함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존재로서 사회적 책임의 의미를 반추해 보고,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왜 필요한지를 깨닫는 것을 교육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시행 결과, 총 74명의 학생이 18개 조로 나뉘어 ‘Save The Nature’, ‘학교 시설 미화활동’, ‘아낌없이 포기하는 Vegetarian’, ‘구호동물 입양센터 봉사활동’ 등 다양한 주제와 형태의 봉사활동을 직접 기획하고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시행 후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평균 3.42에서 4.30사이의 만족도 결과를 보였다. 특히, ‘Good Work Project’의 과정을 통해 성취감을 느꼈고(M=4.07), 이 과정이 타인과 협력하는 능력을 키워주는데 도움이 되었다(M=4.07)의 응답이 다른 문항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실제 현장에서 질병, 장애, 가난 등의 이유로 고통 받고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직접 만나 봉사하는 경험은 다양한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이며, 환자에 대한 연민과 공감의 마음을 갖춘 의료인을 양성하기 위한 의과대학 인문사회학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연구는 교육컨설팅의 구체적 활용과 방향성 제시 측면에서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의학 교육의 프로그램과 교육의 현상을 교육컨설팅 관점에서 탐색해 본 예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우수등재

        Connected in cinema: educational effects of filmmaking classes on medical students

        남승석,차정호,성기헌 한국의학교육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students experienced in short filmmaking class performed to 1st grade premedical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and to trac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lass. Methods: Taking a qualitative approach, the authors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collect the data. This study employed the quota sampling method to purposefully select students to interview. Data coding and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filmmaking experiences consistently described by the interviewees were labeled and reorganized into categories through the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Results: The students experience the group filmmaking class as a participatory class. Learners also experienced the procedure of performing complicated group tasks according to detailed and scheduled processes. Participation leads to collaboration. Collaboration here is through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not through mechanical cooperation. Students also experience various dimensions of communication. The students learned that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group filmmaking process is enabled through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and experience a sense of connectedness resulting in a type of community spirit. Having fun and interest, finally, the students experience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haring through joint screening. Conclusion: Students’ shared experiences and their education effects of the filmmaking clas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above mentioned seven closely intertwined categories. In this clas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emotions they would not normally express. Through this, the students were able to find the true character and new aspects of their fellow students, forming intimacy, which led to a sense of belonging and connected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