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교과에서 지적재산권 보호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과 과제

        서제희(Seo, Jae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이 연구는 미술교과에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의 고찰하는 연구이다. 현대 미술은 전통적인 미술 기법과 달리, 다양한 장르와 표현 방식으로 기계나 매체 의 사용까지도 포함하게 되었고 예술가가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기술적인 요소들의 위탁은 대작과 순수 표현의 구분을 어렵게 하기에 충분했다. 현대 미술에서 창작성의 변화는 미술 표현과 관련한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right)의 보호 범위가 어디까지인가에 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게 한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현대 미술의 표현 방식, 혹은 창작의 순수성과 같은 논의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적재산권과 저작권 (copyright)에 관한 교육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미술에서 저작재산권(economic right)과 저작인격권(moral right)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러한 종류의 지적재산권이 미술교과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미술교과에서 지적재산권 관련 영역은 표현 기법의 사용과 차용, 올바른 도판의 활용 범위, 미술가의 권리에 대한 이해, 미술작품의 소유와 판매에 대한 이해 등의 내용에서 다루어질 수 있다. 미술교과가 지적재산권과 관련한 영역을 다루어야 하는 이유는 학습자들이 현대 미술 표현을 이해하고 향유하는 데에 가치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고, 미술 문화와 미술교과를 더욱 풍요롭게 하고, 바른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Modern art has continued through pop art, conceptual art, and parody to pursue diverse genres and representation methods instead of traditional art representation methods. Unlike traditional art techniques, the novelty of the representation method and the creativity of ideas are regarded as the key elements of art representations. The diverse genres and representation methods of modern art have included even the use of machines and media, and the relegation of the technical factors that are difficult for the artists to produce in person has been enough to mak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substitute and pure representations. Such confusion of modern art raises discussions as to the scope of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or representations related to art representations. Also, in order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such discussions as the representation methods of modern art or the purity of creations, researches and education on these matters are urgently needed. So where the copyright of art representations was examined in this research and, along with the legal disputes regarding this, the concepts of artists’ economic rights and artists’ moral rights were examined. Also, how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art class was examined. The reason that the area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art class is because it provides the grounds for value judgment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and enjoy modern art representations. And by extension, this is also the way to help us enrich our art and the art class and make progress in the right direction.

      •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복합만성질환자 유형과 의료비 분석

        서제희 ( Seo Jae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302 No.-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동시에 2개 이상의 만성질환에 이환된 복합만성질환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라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복합만성질환은 관리가 잘되지 않으면 질병이 악화되어 개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의료비 지출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의료비 부담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이 있는 복합만성질환의 유형과 의료비 지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기 한국의료패널 2019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복합만성질환 유병률이 높았으며, 만성질환 보유 개수가 많을수록 본인부담 의료비 지출이 높게 나타나 복합만성질환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은 헬스리터러시가 낮고 관절 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아 여러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여러 진료과를 방문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이용자 중심의 통합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잠재적인 노인 복합만성질환자라고 볼 수 있는 청장년층 만성질환자에 대한 조기 개입으로 복합만성질환 관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As the population ages and the incidence of chornic diseases increases, cases with two more more chronic conditions are increasingly becoming common. Unless they are well managed, multimorbidity cases can exacerbate, low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affected, and increase medical expenditure. To examine the types of multimorbidity and the patterns of medical expenditure,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2nd New Korea Health Panel Study in 2019.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was high in the elderly over 65,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their chronic comorbidities, the higher their medical expenses. Our analysis points to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s in multimorbidity. The elderly have low health literacy and they often have difficulty moving around due to joint diseases. A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visit multiple departments to manage various chronic disea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atient-centered integrated care system. Furthermore, a policy to increase the competency to manage multimorbidity is needed by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who are the potential elderly patients with multimorbidity.

      • KCI등재

        “15초의 소통” : SNS에 나타난 짧은 동영상의 시각적 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서제희(Jaehee SE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 나타나는 동영상을 제작하고 소통하는 초등학생 5명의 짧은 동영상들을 분석하여 그들의 소통 방식에 담긴 문화적 특성과 의미를 온라인으로 탐색하는 가상 문화기술지이다. 급속히 확장되어가고, 긴밀해지는 디지털 미디어 중심의 소통 문화에서 짧은 동영상의 시각적 특징을 분석하여,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소통 방식이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NS에 나타난 짧은 동영상의 시각적 특징은 화면 전환의 시간성에 따라 감성을 전달하고, 시각이미지를 다양하게 결합, 변형시키며 자기표현의 도구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동영상 속에서 다양하게 정체성을 분화시키며 새로운 시각언어를 만들고 소통한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시각적 네트워크 사회화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SNS를 통해 동영상을 제작하고 소통하는 초등학생들이 디지털 시각문화 생산의 주체로서 미래의 창의성과 혁신을 주도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virtual ethnography was to understand communication as a media literacy. In the process of making short video of Social Network Service, young TikTokers express various artistic meaning and use numerous tools for visualization. This article explains the framework describing of young TikTokers.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hort videos use a new approach to their own emotions, but their expressions did not have any narrative. Additionally, young TikTokers tried to visualize their ideas in social media with the visual methods. Interactions on social media is reflected in this research and helps to understand meaningful and educational methods in visual communication.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의 미술교육과 지식재산권 이해에 관한 소고

        서제희(Jaehee SE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1

        이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의 미술작품과 관련한 거래 및 보호의 영역과 디지털 문화콘텐츠와 관련한 지식재산권의 범위 등을 살펴보고, 디지털 미술작품의 창작, 복제, 공표, 전시, 소유 등의 개념을 지식재산권의 관점에서 제언하고자 한다. 디지털 미디어 사용과 관련한 지식재산권은 복제권과 전시권,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인데 이는 원저작물을 이용하여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 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2차 저작물을 작성할 권리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창작 도구와 인터넷의 확산으로 2차적 저작물의 창작이 급증하고 누구나 문화콘텐츠의 생산자이자 소비자가 되고 있다. 2차적 저작물 작성에 대한 원저작자의 배타적 권리가 미치는 것에 대한 적절성, 창작의 자유의 폭넓은 인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이 고려되고 있으나 창작성의 판단 여부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미술교육에서 지식재산권의 이해는 단순히 창작성의 보호나 예술가의 권리에 대한 보호만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의 올바른 미술의 향유와 저작권에 관한 사회적 이해 수준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포함하고 있다. 미술 교육에서 지식재산권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올바른 방식의 미술적 차용과 향유, 소유를 도울 수 있기 때문이며 미술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에 가치 판단의 근거를 제공하고, 미술 창작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In the new media society, expansion of scope of property rights is accelerating in variety of areas inclu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copyrights, patents, trade marks and so on offer the legal protection upon which authors, inventors, firms, researchers and others rely to protect their creation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ctate what use can legally be made of the creative work, and so are essential to ensuring that authors are rewarded for their effort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new media examined. In particular, sinc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herently are created or amended from time to time by legislation with a development of certain society, legal protection for products resulted from human mental activities has been becoming stronger than before. If creators and students do not understand how to protect tangibl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r how protection of intangible adaptation rights can be lost through digital media, then such creators and students may suffer detrimental harm. The reason that the area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ould be dealt with in the art education is because it provides the grounds for value judgment for the learners to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new media.

      • KCI등재

        유튜브 미술콘텐츠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시각예술제작과정 동영상을 중심으로

        오지아(Jia OH),서제희(Jaehee SE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유튜브(YouTube)의 미술콘텐츠 동영상에 관한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디지털 미디어와 미술교육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동영상 매체의 성장과 교육활동의 상관관계는 더욱 밀접해지고 있다. 유튜브 미술콘텐츠 동영상은 미술제작과정과 경험에 관한 내용들을 화면의 다양한 시각적 구성요 소들로 응집력 있게 만들어 공유하며, 감성적 영상미와 함께 삶의 맥락에서 공감할 수 있는 내용들로 구성된다. 또한 유튜브 플랫폼을 자기표현 수단으로 사용하며 디지털 환경 속의 시각적 소통 방법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미술콘텐츠 동영상의 특수 성을 살펴보는 것은 미디어를 통한 네트워크 사회화가 어떠한 문화적, 교육적 특성을 나타내는가를 탐구하는 과정이 된다.유튜브 미술콘텐츠 동영상에 관한 탐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미술교육과 미디어 교육의 관계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ultural and technical study on the aspect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the YouTube art content video of social network service. The growth of video media in the SNS digital environment is the topic of our times. In YouTube art content, the experience of the art production process and the visual components of the screen are made cohesively and shared. These are stories that can relate to the emotional and the context of life. This is a tool for self-expression and it becomes an important educational element in the way that they influence each other in the formation of socialization through communication in digital culture. Therefore, a broad overview from a new perspective of the various context regarding the forms of expression that can be shown through art is required.

      • KCI등재

        “하늘에서 우산이 쏟아진다면” 고등학교의 공공미술프로젝트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강지수(Ji Su KANG),서제희(Jaehee SE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사회와 학교의 교육과정이 계속 변화되었고, 학생들의 생각과 태도도 달라졌지만, 교육 공간은 예전의 모습을 유지해 온것이 현실이다. 현재 학교 공간의 문제는 1962년에 도입된 ‘학교시설 표준설계도’에 따라 천편일률적인 공간을 만들어낸곳에서 학생의 고유성과 존엄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의 미술교과수업이자,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의 일종이었던 공공미술프로젝트인 ‘하늘에서 우산이 쏟아진다면’ 활동에 관한 탐구하고있는데 학생들이 학교 공간의 변화에 참여해보는 과정에서 얻게 된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교육활동은 총 3차시로미술실에서 진행되었고, 일부 반에서만 4차시 수업이 진행되었다. 학교 공간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과 함께 프로젝트의주제를 정하고 난 뒤 수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1차시에는 과거의 학교 공간과 오늘날의 학교 공간을 서로 비교해보고차이점과 보완점에 대해 살펴보았고, 2차시부터 본격적으로 우산을 이용해서 표현활동을 시작하였다. 학생들과 함께 진행한활동을 통해 얻어낸 연구결과는 첫째, 평가 중심, 능력 중심의 표현 활동을 벗어나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둘째, 자발적으로 배려하고 친구들을 돕는 모습을 발견되었다. 셋째,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수업 내용과 결과물은 단순한 성적 산출물을 넘어서서 모든 사람들의 소통의 매개체가 되었다. Although the education curriculum of society and the school has continuously changed, as well as the students thoughts and attitudes, the reality is that the educational space has maintained its former appearance. The problem with the current school space is tha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Standard Design Plan for School Facilities” in 1962. This study is research on learning in an art course for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activity called, If Umbrellas Poured From the Sky , which was a public art project about school space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at the process by which students engage in changes in school space.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in the art room with a total of three classes, while some classes had a total of four classes. After setting the theme of the project with everyone who uses the school space, the class took place in earnest. In the first period, we compared the school space of the past and present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nd in the second period, we began to express ourselves using umbrellas. The results of the work done with the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freely express beyond the evaluation and ability-oriented expression activities. Second, I discovered that students voluntarily considered and helped their friends. Third, the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lessons become more than just grade outputs, and became a “medium” for everyone s communication.

      • KCI등재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전진아(Jina Jun),송은솔(Eunsol Song),박은자(Eun-ja Park),서제희(Jaehee Seo),최성은(Seongeun Choi),김남순(Nam-soon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이하 메르스) 유행 대응에 참여한 사람들의 메르스 대응 당시와 대응 이후 상황에 대한 경험을 반추하고 감염병 예방 및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42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참여자의 언어로 공통된 경험의 본질을 기술하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메르스 대응 참여자의 유행 당시 경험은 ‘준비되지 않은 전쟁에 맞닥뜨린 최일선의 용사’로, 유행 이후의 경험은 ‘끝나지 않은 전쟁에서 잊혀진 용사’로 구조화되었으며, 유행 당시 경험은 총 4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 유행 이후의 경험은 총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중보건위기시의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보 공유와 소통 강화, 위기관리 리더십의 역량 강화와 함께 신종 감염병을 포함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최일선에 있는 참여자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by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the professionals across a range of sectors who participated in responding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in South Korea. A total of 42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which is using the descriptions of participants, was adopted to analyse the essence of shared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during the outbreak were structured into four categories and 12 subcategories, and summarized as “frontliners facing an un-prepared war”. The post - epidemic experiences were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and summarized as “the forgotten warriors in an endless war”. This finding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information sharing, risk communication, and incident management system and crisis management leadership for the better prevention and response with respect to public health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