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경인물(點景人物)의 변천과 현대적 조형 가능성

        서윤희(Suh, Yo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4 미술문화연구 Vol.4 No.4

        점경인물(點景人物)은 동양의 산수화에 등장하는 간단하고 작게 묘사된 그림 속 인물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기승절경을 여행하며 자연과 교감하는 친자연적 존재로 혹은 옛 이야기나 문학작품을 그린 고사(故事)의 주인공 등을 소재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이는 산수를 표현하는데 있어 인간을 배제하는 대신, 인간과 더불어 조화로운 삼라만상을 대변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여기에는 삼재(三才)를 구성하는 천지인(天地人)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원리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상이 깔려 있다. 이러한 점경인물의 전통은 산수화가 발전하게 되는 만당(晩唐)이후 오대(五代, 907-979)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하여, 이후 북송대(北宋代, 960-1126)에 대관식 산수화가 유행하면서 높은 산이나 계곡을 유람하는 여행자들이 산수화의 고정적인 소재가 되었고, 이 과정에서 거대한 산 사이를 여행하는 여행자의 표상이며, 자연과 교감하는 보편적인 인간상으로 구현되었던 점경인물상은 산수화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잡게 된다. 동양의 세계관을 담고 있는 이러한 관념적 표상은 산수화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조선의 문인과 작가들에게도 고스란히 수용되었으며, 특히 조선 후기 정선과 김홍도에 이르러 점경인물이 ‘보편적 인간상’ 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시대를 반영하는 현실적 인물의, 현실적 풍속으로 변모되었고, 이후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유효한 형태로 전승되었다. 근본적으로 그 독특하고도 의미 있는 기능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산수화에서 점경인물은 해당 장르의 한 구성요소로서 부가적 영역에 위치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내 작업에서 점경인물은 회화 상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훨씬 중요한 의미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2004년 이후 본인의 지속적인 작품 주제가 된 <기억의 간격> 시리즈는 우연에 의해 생성된 거대한 얼룩-때로는 수묵의, 때로는 식물과 광물로부터 추출한 얼룩으로 이루어진 추상적 화면 위로 작은 점경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전통 산수화에서의 점경인물들이 보편적 인간상이었다면, 이들 작품에서는 모두 작가의 삶과 그 개별적 기억에서 추출된 특정의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가진다. 이는 바로 개인의 삶을 고스란히 투영하는 ‘사진’이라는 매개에 의한 것으로, 각각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추출된 기억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 일부만을 하나의 화면 속에 구현함으로써 나에게는 기억의 환원을 매개하는 표식으로, 관객에게는 원래의 의미로부터 박탈된 채 각각의 개별적 연상과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따라서 본인의 작품에서 점경인물은 단순히 부가적 형식을 넘어서, 내 개인의 기억과 타자의 심상 작용에 관련된 작품의 주제에서 주요한 표식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연에 의해 생성된 거대한 얼룩의 추상적 평면 위로 극사실적으로 묘사된 자그마한 인물들은 공간의 추상성을 구상적인 풍경의 공간으로 전환시키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대조적으로 여전히 추상적인 배경의 색 면들은 몽환적인, 혹은 모호한 상태 그대로 남겨둔다. 이를 통해 내 작품에서 점경인물의 첨가는 추상적인 배경 화면을 추상과 구상의 모호한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양자의 대조를 통해 각각의 특색은 더욱 생명력을 얻게된다. 이러한 인물들을 통해 본인의 추상적 심상화는 비로소 나와 타인의 세계와 관계를 맺게되고 생동감 넘치는 풍경으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억의 간격> 연작은 작가 개인의 삶과 기억을 토대로 하는 심상적 풍경화,혹은 추상적 심상풍경화로 접근 될 수 있다. 따라서 전통 산수화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가적인 요소로서 관례적으로 그려졌던 ‘점경인물’은 내 작품에서는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 KCI등재

        발현적 유아교육과정 이해를 위한 탐색 연구

        서윤희(Suh, Yoon hee)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3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유아교육에서의 발현적 교육의 의미는 무엇인지 둘째, 발현적 유아교육 과정이란 어떻게 구현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아동을 무언가 받아들 이는 존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완전한 존재로 보는 자연주의, 낭만주의 교육에서의 발현성은 아동 본성의 개화와 생명력의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진보주의, 구성주의 이론에서의 발현성은 공동체적 소통을 통한 지식의 구성과 몰입과 탐구를 통한 사고의 발현에 중점으로 두고 있다. 두 가지 전통 모두 아동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통해 고유성, 잠재성의 발현을 교육의 기본으로 보며, 발현적 교육과정 운영에서 중점 두어야 할 것은 유아의 고유한 능력의 발현에만 집중하여 아동이 수월성을 갖게 하는 것이나 지식의 축적으로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둘러싼 환경, 지식 공동체 안에서의 대화와 타협, 소통을 통한 공동의 의미구성과 삶으로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emergence and implementation of an emergent curriculum.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meaning of emergence in an emergent curriculum centers around the understanding of child as a self-sufficient and revitalizing being based on naturalism and romanticism rather than a passive recipient of external stimuli. Emergence based on prograssivism and constructivism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by collective communication and thought-provocation by engagement flows and analyses. The two distinctive traditions view the accommodation of the emergence of potential as the overarching framework for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chief concern in an emegent curriculum should be in the promotion of meaning making and practice through discourse, negoti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environment and knowledge community where the child is situated rather than simply accommodating the child s knowledge accumulation processes.

      • KCI등재

        당대(唐代) 예술(藝術)이 반영(反映)된 현대(現代)패션에 관(關)한 연구(硏究) -1998년(年)부터 2000년(年) Collection을 중심(中心)으로-

        간호섭 ( Ho Sup Kan ),서윤희 ( Yun Hee Suh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00 패션 비즈니스 Vol.4 No.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new orientalism fashion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analyze the art of the Tang dynasty, China. Tang dynasty has high culture, economy, polity and art. Also the character of Tang`s culture is very international. Therefore that point is coincide with fusion culture in the early 2000`s. As a method of accomplishing this research, the documents and fashion magazines related to the art and fashion were examined. Through analyzing the art in the Tang`s related to fusion culture, reach a conclusion that the modern fashion has four characters. 1. The cause of high culture and economy, the trend of fashion was decorative 2. The cause of realism, the trend of fashion were modern and simple. 3. The cause of rhythmical line, the trend of fashion had natural drape. 4. The cause of globalism, the trend of fashion mixed east with west This research keep going for showing new orientalism and coinciding with 21th century`s trend

      • KCI등재

        문화적 의미 구성과 소통의 매체로서 어린이들의 먹 놀이

        오문자(Oh, Moon Ja),서윤희(Suh, Yoon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본 논문은 시각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전통 문화 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 5세 어린이들이 먹을 만나서 탐색해 나간 한 현장 수업 사례를 통해, 먹이 지닌 교육적 잠재성과 어린이 자신들이 먹 놀이에 부여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어린이들은 미리 선정되고 계획된 일련의 활동들을 거치는 대신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원리를 토대로 장기간에 걸쳐 먹과 한지를 탐색하고 실험해보는 프로젝트 경험을 하였고, 교사들은 그 과정의 기록을 남겼다. 기록물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먹 놀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에게 일어난 학습, 둘째, 먹 놀이가 어린이들에게 하나의 ‘언어’가 되어가는 과정, 셋째, 어린이들이 자신들의 먹 놀이에 문화적으로 부여하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교육 목표와 실천의 비연속성 및 프로젝트 접근과 시각문화교육의 연관성이 논의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field practice or “a story,” in which a group of five year old children encountered the Korean traditional medium or art, black ink. They explored and investigated the black ink and Hanji, not as a series of preplanned activities in art curriculum, bu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roject, follow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Reggio Emilia, Ital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umented materials, it examines educative potentials of the black ink and the meanings the children attributed to the black-ink-play, along the following three lines: learning embedded in the black-ink-play, the black-ink-play as “a language”, and children's construction of cultural meanings of the black-ink-play. The lack of continuity between the goals/ideals of art curriculum and the dominant instructional practice is noted and some possible relevance of this project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